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불가리아 역사

작성자
주불가리아대사관
작성일
2013-11-19

    . 고 대 

        ㅇ 2만년전 청동기와 철기시대에 트라키아인(불가리아인의 조상)이 최초로 거주 시작

        ㅇ B.C. 480년경 트라키아 인에 의한 도시국가 건설

 

    나. 로마 제국의 지배(B.C. 1세기 A.D. 681)

        ㅇ 로마 제국의 트라키아인 복속(B.C. 46)

        ㅇ 대다수 트라키아 인들의 모에지아 및 트라키아 지역 이탈

        ㅇ 56세기경에는 소수의 트라키아인만이 잔류

        ㅇ 로마제국의 몰락 후 고트족과 훈족의 침략으로 발칸지역의 황폐화

 

    다. 1 불가리아 제국

        ㅇ A.D. 681년 불가리아 국가 건설

        ㅇ 비잔틴 제국의 계속된 침공 격퇴

        ㅇ 9세기에 칸 프레시안 치세하에 영토 확장 후 대제국 건설

        ㅇ 855년 키릴 형제의 불가리아 문자(키릴 문자) 발명

        ※ 키릴 문자는 현재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세르비아, 마케도니아 등에서 사용

        ㅇ 864년 칸 보리스 1, 기독교를 국교로 수용

        ㅇ 시메온 왕 통치기간 중 유럽대국으로 성장

        ㅇ 1018, 비잔틴 제국의 불가리아 통치

 

    라. 2 불가리아 제국

        ㅇ 1185년 비잔틴 군대의 아센과 피터 형제 반란 진압

        ㅇ 아센과 피터 형제의 비잔틴 군대 격파, 불가리아 제국 부활 인정

        ㅇ 이반 아센 2세 때 최전성기 이룩, 동남 유럽에서 가장 강력한 국가로 부상

        ㅇ 1396년 오토만 제국의 불가리아 복속

 

    마. 터키 식민지배

        ㅇ 1396년부터 약 500년간 오토만 터키의 식민 지배

          ㅇ 17세기에 들어 오토만 터키가 쇠퇴함에 따라 불가리아인들에게 민족주의 정신이 싹트기 시작, 특히 18세기 프랑스 혁명의 영향을 받아 근대적 민족의식이 성장

 

    바. 근 대

        ㅇ 1878San Stefano 조약(러시아-터키전쟁) 체결로 터키로부터 해방

        ㅇ 1908년 왕정 수립(터키 간접 통치로부터 완전 독립, 주권 국가 달성)

        ㅇ 1913년 세르비아, 그리스, 터키 및 루마니아 연합군에 의한 패배로 영토 축소

 

    사. 12차 대전

        ㅇ 1919Neuilly 조약으로 영토의 일부 상실

        ㅇ 1919.8 스탐볼리스키 내각 탄생

        ㅇ 1920년말 국제연맹 가입

        ㅇ 1940년 독일의 불가리아 점령

     

    아. 공산화

        ㅇ 1944년 임시 정부 수립

        ㅇ 1945년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공산당 서기장 집권

        ㅇ 1946.9 인민 공화국 선포

 

    자. 민주화

    ㅇ 1989.11 공산 정권 붕괴, 민주화 시작

    ㅇ 1990.6 직접 선거에 의해 의회 구성

    ㅇ 1991.7 민주주의 신헌법 채택

    ㅇ 1991.10 신헌법에 의한 총선 및 지방 선거 실시 결과, 민주세력동맹(UDF) 110석을 획득, 1당으로 도약

- 1991.11 Phillip Dimitrov 내각 출범

    ㅇ 1992.1 Zhelyu Zhelev 대통령(UDF 출신) 당선

    ㅇ 1992.12 정부에 대한 불신임 투표 결과, Lyuben Berov 내각(MRF) 출범

    ㅇ 1994.10 대통령의 국회 해산, 과도내각(Reneta Indjova) 구성

    ㅇ 1994.12 조기총선 실시

- 불가리아사회당(BSP)이 과반수 의석을 획득, 집권

- 1995.1 Zhan Videnov 내각 출범

    ㅇ 1996.11 UDF 소속의 Petar Stoyanov 대통령 당선

    ㅇ 1997.1 BSP 퇴진 및 조기 총선을 요구하는 시위 발생

    ㅇ 1997.2 과도 내각(Stefan Sofianski) 구성

    ㅇ 1997.4 조기 총선 실시 결과,UDF52%의 지지 획득으로 재집권

- 1997.5 Ivan Kostov 총리의 UDF 내각 출범

    ㅇ 2001.6 총선 실시 결과, 시메온 2세 국민운동당(SNM)이 집권

- 2001.7 Simeon 총리의 SNM MRF 연립 내각 출범

    ㅇ 2001.11 BSP 후보 Georgi Parvanov 대통령 당선(2002.1 취임)

    ㅇ 2004.4 NATO 가입

    ㅇ 2005.6 총선 실시 결과, BSP가 제1당으로 부상

    ㅇ 2005.8 Sergei Stanishev 총리를 중심으로 하는 BSP, SNM, MRF 연립 정부 출범

    ㅇ 2006.10 Georgi Parvanov 대통령 재선

    ㅇ 2007.1 EU 가입

    ㅇ 2007.1 Georgi Parvanov 대통령 재취임

    ㅇ 2007.5 유럽의회의원 선거(5.20)

    - 18석 중 BSP 5, GERB 5, MRF 4, Ataka 3, SNM 1석 차지

    ㅇ 2007.10 지방 선거 개최

    ㅇ 2009.6 유럽의회의원 선거 개최(6.7)

    - 17석 중 GERB 5, BSP 4, MRF 3, Ataka 2, NMSS 2, Blue Coalition 1석 차지

    ㅇ 2009.7 총선 개최(7.5)

    - 240석 중 GERB 116, BSP 40, MRF 38, Ataka 21, Blue Coalition 15, OLJ 10석 차지

    ㅇ 2009.7 Boyko Borissov 총리를 정부수반으로 하는 GERB 단독정부 출범(7.27)

    ㅇ 2011.10 Rosen Plevneliev 대통령 당선

    ㅇ 2012.1 Rosen Plevneliev 대통령 취임

    ㅇ 2013.2 Boyko Borisov 총리 내각 사임(2.20)

    ㅇ 2013.3 임시 내각 발표(3.12)

    ㅇ 2013.5 총선 개최(5.12)

    - 240석 중 GERB 97, BSP 84, MRF 36, Ataka 23석 차지

    ㅇ 2013.5 Oresharski 총리의 BSP, MRF 연립내각 출범(5.29)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