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북부독일·ITLOS

북부독일 주요동향

  1. 북부독일·ITLOS
  2. 북부독일 주요동향
  • 글자크기

키일 세계경제연구소, 독일 경제 완만한 회복 전망

작성자
주함부르크총영사관
작성일
2024-06-19

키일 세계경제연구소는 6.13(목) 2024/2분기 독일경제 전망보고서 및 세계경제 전 망보고서를 발표하고, 독일의 2024년 경제전망을 이전 분기 전망치 0.1%에서 0.2%로 다소 상향 조정하고 독일 경제의 완만한 회복 국면을 전망한바,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음.


1. 개요

  • 키일 세계경제연구소는 목 분기 독일경제 전망보고서 및 세계경제 전 망보고서를 발표하고 주요 경제전망치를 제시함

  • 독일 경제는 △유럽중앙은행 금리 인하, △수출 증가, △소비 회복 등 경기 회복시그널은 있으나 아직까지 확실한 경제 성장 모멘텀이 관측되지 않는바, 아주 완만한 경기 회복이 전망됨.

  • −︎이에 따라 2024년 경제전망치는 지난 3월 제시한  0.1%에서  0.2%로 약간 상향 조정하였고, 2025년 경제전망치는 직전분기 1.2%에서 1.1%로 다소 하향 조정 

  • 2024년 세계경제는 신흥국의 생산량 증가로 완만한 회복세를 보였으며, 미국의 강력한 성장 동력이 약화되면서 유럽 등 주요 선진국과의 경제 성장의 격차가 완화 됨.

  • −︎이에 따라 키일 세계경제연구소는 2024년 글로벌 경제전망을 지난 3월 2.8%에서  3.2%로 상향 조정하고, 2025년의 성장 전망은  3.2%를 유지

  • 한편, 세계 경제에 대한 불확실성은 대부분 지정학적 요인이며 특히 2024.11월에 예정된 미국 대통령 선거가 변수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됨. 


2. 독일 경제 주요 전망 

  • (총평) 키일세계경제연구소는 6.13(2024년 2분기 경제 전망보고서를 발표하고, 독일 경제가 완만하게 회복되기 시작하였으며, 당분간 이러한 완만한 회복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함. 

  • −︎이에 따라 동 연구소는 2024년 경제전망치를 2024/1분기 전망치 0.1%에서 0.2%로 약간 상향 조정하고, 2025년 경제전망치는 1.2%로 조정 없이 유지

  • (완만한 경기 회복세 유지) 현재 독일의 경제 회복은 특히 유럽중앙은행(ECB)의 기준금리 인하 발표가 경기 회복의 전환점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되며, 그 외 △수출 증대 및 민간소비 회복 등이 작용하여 회복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됨.  

  • ※︎유럽중앙은행(ECB)는  2024.6월 기준금리를  4.5%에서  4.25%로  0.25%p 인하한다고 발표하고, 이와 더불어 2024년과 2025년에 걸쳐 각각 0.25%p씩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하겠다고 발표 

  • (인플레이션 완화) 인플레이션은 2023년  1분기  8.2%를 기록한 이후 지속 하락하는 추세가 이어져, 동 연구소는 2024년 총 인플레이션율을 이전 분기 2.3%에서 2.2% 로 다소 하향 조정하고, 2025년에도 1.9%로 지속적으로 완화될 것으로 전망함

  • (경제 성장 모멘텀 부재)  그러나 기업의 투자와 주택 건설은 여전히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경제적 성장 모멘텀은 관측되지 않아 느린 회복이 예상됨.

  • (수출 전망) 당초 2023년 하반기 약세로 인해 수출 회복은 2024년 말에야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되었으나, 예상보다 빠른 회복으로 2024년 2분기에 수출이 0.8% 증가하는 등 상승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됨.

  • −︎동 연구소는 이에 따라 수출 전망을 이전 분기 -1.7%에서 +0.6%으로 상향 조정하고, 2025년 +2.8%로 전망 

  • (노동시장 전망) 노동시장은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상황이며, 실업률은 이전 예측과 유사한 수준인 2024년 5.9%에서 2025년 5.8%로 전망됨.


2022-2025년간 독일 경제 주요 지표(%)


2022

2023

2024

2025

가격 조정한 국내 총생산¹︎

1.8

-0.3

0.2

1.1

국내총생산 디플레이터(Deflator)¹︎

5.3

6.7

2.9

1.4

소비자 물가¹︎

6.9

5.9

2.2

1.9

노동생산성(근무시간당)¹︎

0.5

-1.0

-0.6

0.4

고용(백만명)²︎

45.6

45.9

46.1

46.1

실업율(퍼센티지)

5.3

5.7

5.9

5.8






명목 국내총생산(%)





국가 순재정 상황

-2.5

-1.9

-1.7

-1.2

총 공공부채

66.1

63.8

63.3

63.2

경상수지

4.4

7.2

6.8

6.8

<2022-2025년 독일 경제 주요 지표 변화>

(¹︎전년대비 변동율, ²︎연방 노동청의 규정, 출처: 연방 통계청, 연방 노동청 / 2024-2025년 수치는 연구소 예측 수치)



3. 세계 경제 주요 전망 

  • (세계 경제 전망) 2024년 세계 경제는 중국을 비롯한 신흥국의 생산량 증가에 힘입어 2024년부터 완만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앞으로도 당분간 완만한 속도의 성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됨. 

  • −︎(글로벌 총생산) 전반적으로 글로벌 총생산 전망치는 2024년 약 3.2%로 2024/1분기 예측치 대비 다소 상향 조정하였고, 2025년에도 3.2% 성장할 전망

  • −︎(글로벌 인플레이션율) 글로벌 인플레이션율은 최근 서비스 가격 상승으로 인해 거의 하락하지 않아 2025년에야 목표 수준인 2%대에 진입할 전망 

  • (선진국 간 경제 격차 완화) 그간 강력한 동력을 보이던 미국의 성장 모멘텀이 다소 둔화되는 반면, 유럽 경제가 금리 인하를 발판으로 개선되고 중국도 생산이 증가하면서 선진국 간 경제 성장의 격차가 완화됨. 

  • (지정학적 불확실성한편, 세계 경제에 대한 불확실성은 대부분 지정학적 요인과 연관이 있으며, 특히 2024.11월 예정된 미국 대통령 선거에 의한 불확실성에서 기인함. 끝.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