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정보마당

생활정보

  1. 정보마당
  2. 생활정보
  • 글자크기

덴마크 교육정보

작성자
주 덴마크 대사관
작성일
2024-11-28

1. 덴마크 교육제도 개관 및 특징


-교육관련 기관: 역할분담 및 자율성

  o 교육부(Ministry of Education)

   - 교육부의 역할은 국가 전체적인 차원에서 교육목표를 수립하고 교육의 질적 수준을 향상하기 위한 연구기능을 담당함

   - 세부적으로는 교육관계 법령의 제개정, 정부 교부금(Grant) 배부, 교과과정(과목) 채택 등을 담당함

  o 지방자치 기관(Municipality)

   - 전국 275개의 지방자치 기관은 지역내 교육문제에 있어 상당한 자율성이 보장되어 있으며, 국가가 설정한 교육목표, 교과과정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이행할 것인가의 실질적인 문제를 담당함.

   - 초중등 교육기관의 예산을 집행(고등교육 이상은 중앙정부가 재정지원 등 실질적 감독권한 행사)하며, 학부모, 교사, 교육전문가 등 3자 협의 위원회를 운용하여 일선 학교를 감독하고 지도함.


2. 단계별 교육제도


 가. 초등교육(7-16세)

   o 1년의 취학전 학교과정과 9년제 초등학교(folkeskole, 우리의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결합), 마지막 10학년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9년제 초등과정은 의무교육임.

    - 취학전 학교과정 및 10학년 과정 이행은 강제 의무교육 대상이 아닌 개인(학생 또는 학부모)의 선택사항임.

   ※ 10학년 과정은 고등학교로 진학하기 전 연결과정(bridge-building course)으로서 자신의 진로와 전공의 선택을 앞둔 학생이 덴마크어, 수학, 영어 및 다양한 선택과목을 추가로 수강하는 과정임.

   o 10세(4학년)부터 영어교육이 의무적으로 시행되고 14세(8학년)부터 제2외국어를 학습함.


 나. 중등교육(17-19세)

   o 대학진학을 목적으로 하는 3년제 일반 중등학교(Gymnasium, 우리의 고등학교)와 2-3년제 직업학교가 있음

    - 직업학교는 3분야로 나뉘는데(농업, 사회보건, 직업교육연수 분야) 동 과정 수료 후 바로 노동시장에 진출 가능

   o 대부분의 초등학교 졸업생이 중등학교에 진학하며. 중등학교 졸업생은 전국적으로 치루어지는 시험에서 취득한 점수(척도: 0 - 13 점)와 유관분야 사회경력(군복무, 사회봉사 등)으로 희망하는 대학에 지원가능. 이밖에 고등 상업기술시험에 합격할 경우도 대학진학이 가능함.


 다. 고등교육

   o 전국에 5개의 종합대학(University, 코펜하겐, 오후스, 남부 덴마아크, 올보오, 로스킬드)이 있으며, 대부분 학사과정(3년) 이후 석사과정(2-3년)에 진학함.

   o 이밖에 왕립 미술학교(Royal Danish Academy of Fine Arts), 음악 아카데미(Academy of Music), 건축, 디자인 등 3-4년제 특수분야 대학교(college)가  다수 있음.


 라. 성인교육 및 재교육

   o 대부분의 고등교육기관들은 정부의 재정지원과 후원하에 직장인 또는 실업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재교육 프로그램을 시행중이며, 특정한 자격과 학위가 요구되지 않는 Open University 형태로 운영됨.

    - 이러한 성인교육은 덴마크 교육제도의 가장 큰 특징중 하나임.

   o 교육비(수업료)는 없으며, 교재비는 본인 부담

    - 만 16세부터 학생의 경우, 정부로부터 보조금을 받을 수 있으나 소액이며, 부모의 소득수준에 따라 차등 지급.

    - 만 18세부터는 정부 교육보조금(SU) 명목으로 학생 일인당 월 약 6,820덴마크 크로나(2024년도 기준*, 부모와 같이 거주하는 경우 부모의 소득에 따라 1,060~2,940덴마크 크로나 지급)가 지급되며, 동 보조금은 소득이므로 과세대상임.

*출처(European Commission) : https://eurydice.eacea.ec.europa.eu/national-education-systems/denmark/higher-education-funding



3. 덴마크 교육제도의 주축: folkeskole 및 교사양성 기관


 가. 초등교육(folkskole) 현황 및 특징

   o 1814년 창설된 초기 folkskole은 7년제 과정으로 종교, 독서, 작문, 산수를 가르켜 왔으며, 그간 수차례의 법개정(1903, 1937, 1958, 1975, 1993 년)을 통해 현재 7-16세의 의무교육제도가 확립됨.

    - 전체 folkeskole 중 약 75%는 공립학교이며, 나머지는 사립학교임. 그러나 사립학교도 의무교육 대상이며 운영주체가 다를 뿐임.

   o 전국 275개의 Municipalities(우리의 기초자치단체)가 folkeskole의 운영을 담당하고 있으며, 1,600여개의 학교와 56만 명의 학생이 있음.

     - 교사와 학생의 비율 1:10.7

     - 한 학급당 평균 학생수: 19.0

     - 여성 교사 비율: 64%

   ※ Counties(우리의 광역자치단체)의 역할

      - 코펜하겐 및 프레데릭스베아 외 13개 Counties는 주로 고등학교 교육을 담당하며, 지역 거점별 중앙도서관(Central Library) 및 자료실 관리를 담당함.

      - 현재 논의중인 지자체 개편 논의 결과에 따라서는 Municipalities를 보다 확대하여 Counties 가 담당하고 있는 일부 기능(교육기능 포함)을 이전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음.

   o 역할분담

    - 교육부는 전반적인 교육목표에 부합하는 각 과목의 목표수준(학습성취 도달 수준)을 정하고 교과과정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정함.

    - 그러나 이는 순전히 권고(recommendation) 수준이며 지방학교에 강제적이지 않으며, 당해학교는 교육부가 정한 가이드라인에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자신의 독특한 교과과정을 계획, 이행하는 자율성이 부여됨.

   o 담임선생제도(class teacher system)

     - 담임선생은 교사중의 교사라고 여겨지며, 학생의 사회적 개발( 및 적응)에 관한 모니터링 및 지원에 있어 중심적 역할을 담당. 또한 학교와 가정간의 중재 및 가교 역할을 담당.

     - 담임선생은 여타 선생과 협력하여 교수(교육) 방법을 기획․조직화하고 학생의 교육성적을 평가함.

   o 평가방법 및 졸업시험(leaving certificate examination)

    - 7-9 상위 학년의 경우, 최소한 2년에 한 번씩 서면 리포트를 통해 학생의 학습 성취도 및 응용능력에 관한 정보가 제공됨.

    - 한편, 졸업시험(9학년 또는 10학년)을 본 사람의 경우에 한 해 0 -13 점의 점수가 부여됨. 그러나 동 졸업시험은 강제적이 아니며, 동 시험에 응시하지 않은 자는 점수가 없음.

    - 이외에도 학생 그룹별 프로젝트형 과제(Project assignment)를 부여하고 제출된 서면 보고서를 통해 평가함.

   o 여가활동

    - 각 학교에는 여가활동 담당자(leisure time manager)가 있어 학교 시설 및 주변의 공동체 시설을 이용, 학생들의 여가활동 계획을 수립하고 조정함.

   o 진로지도

    - 6학년부터 9학년까지 학생을 대상으로 상급학교로의 진학을 계속할 것인지, 취업교육을 받을 것인지 지도하고 관리함.

    - 각자의 진로 선정에 따른 기대와 요구수준 등을 충족하도록 교과목을 배정하고 교육함.

   o 10학년(bridging-building) 과정

    - 10학년은 “time of transition” 기간으로 고등학교로 진학하기 전의 준비기간임.

    - 일률적인 계산은 불가능하나 약 20%의 학생이 10학년 과정에 잔류.

    - 10학년 과정에 잔류하는 주 동기는 아직 전공선택을 못한 경우, 조기 입학으로 나이가 너무 어린 경우, 보다 충분한 학습 필요성 등 다양.

    - 10학년 과정의 학생의 경우, 자신의 전공선택, 자신의 능력 배양 등 다양한 목적으로 10학년 과정을 이수하며, 덴마아크어, 영어, 수학 외에 자신이 향후 전공할 선택과목을 집중 수강함.


나. 초등학교 교사 양성기관(Teacher's College)

   o 전국에 18개 교사 양성 학교가 있으며, 일반대학의 학사과정이 3년인 것에 비해 4년 정규과정임.

   o 교사 양성의 중요성에 비추어 교육부가 운영을 전담

   o 재학생 중 약 2/3의 학생이 여성

   o 입학자격 요건

    - 고등학교 졸업시험 결과(주로 상위권 학생)

    - 근로 경험

    - 고등학교 출석율

    - 해외 체류

    - 아동 및 아동시설에서의 경험(청소년 센터, 보이/걸 스카우트 등)

   o 전체적으로 약 75%의 학생이 졸업하고 있으며, 졸업과 동시에 일선학교에서 모든 과목을 교수할 수 있음.

    


4. 참고사항: 덴마크 교육계의 정신적 지도자


  가. 그룬트비히( N.F.S. Grundtvig, 1783-1872)

    o 시인, 신학자, 민중 교육가로서 고등공민학교(현재 고등학교)를 창립한 덴마크의 정신적 지도자

    o 교육을 통한 사회 개발을 주창하여, 1864년 프러시아에의 패전(홀스타인과 슐레스비히 상실)으로 피폐해진 덴마크 국민의 정신계몽을 추구함

    o 400여편의 시는 덴마크 교회에서 찬송가로 불려지고 있음.


 나. 키에르케고(S. Kierkegaard, 1813-55)

    o 그룬트비히와 동 시대인인 철학자 키에르케고는 실존주의 철학(existential philosophy)에 큰 영향을 준 덴마크의 위대한 철학자임.

    o 키에르케고는 주도적인 관념, 사상 또는 체제에 저항하여 “진실은 오로지 항상 소수 안에 있다(truth is always only to be found in the minority)”라는 신념으로 다수(majority)와 추상(abstract)에 반대하고 개인(the single individual)을 강조.

    o 이러한 철학사조는 개인의 능력 개발을 존중하는 실용주의 교육운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그룬트비히와 함께 대학 강의와 저술을 통해 독일의 관념철학에 대항하는 것이었음. 끝.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