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뉴스

공관장 활동사항

  1. 뉴스
  2. 공관장 활동사항
  • 글자크기

양국관계

작성자
주알제리대사관
작성일
2004-02-15

1.알제리의 대한 기본 정책

- 알제리는 독립과정 부터 북한의 지원을 받아 왔으며, 1962년 독립 이후 친공 사회주의 노선을 채택함으로서 북한과 특별한 우호관계를 유지, 동서대립의 냉전시대에는 시종 반한입장을 유지

- 1973년 석유파동을 계기로 비동맹 제3세계 세력이 국제정치 무대에 등장하였으며, 알제리는 비동맹 의장국으로서 UN을 비롯한 각급 국제회의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하였는 바 한반도 문제에 있어서는 시종일관 북한 입장을 지지함으로써 우리 외교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

- 1973년 우리나라는 종전의 할슈타인 원칙을 폐기하면서 알제리와 수교코자 노력하였으나, 알제리는 이에 불응하였으며, 1975년 제 30차 UN 총회에서 알제리는 공산측안의 제안국으로서 북한 입장을 지지하여 한반도관련 2개 결의안 동시 통과의 이변을 낳는데 결정적인 역할 수행

- 1985년 소련에 개혁물결이 일어나자 알제리도 민주화, 경제개혁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으며, 이 때 우리나라가 경제 개발 모델로 등장하였으며 이는 1988년 서울 올림픽에 의해 확인되었는 바, 1990년 수교 합의와 주알제리 대사관 설치

- 냉전 종식이후 알제리가 실용주의적 외교 노선을 견지하면서부터 한국과의 경제 협력을 더욱 중시하는 자세를 보이면서 실질적 협력관계가 미미한 북한과는 1998년 상호 상주 공관철수하고, 2001.11 제1차 한-알제리 양국간 경제공동위를 서울에서 개최 양국간 경제협력관계증진 방안 논의

 2. 외교일지

1962. 07. 04. 알제리 승인

1963. 01. 21. 외교관계 수립 교섭

1989. 09. 27. 양국 외무장관(최호중/GHOZALI) UN총회계기 수교원칙 재확인

1990. 01. 15. 주 유엔 양국대사, 양국 외교관계 수립에 관한 공동발표문 서명

1990. 03. 31. 주알제리 한국대사관 개설 (배상길 대사대리)

 

1990. 07. 15. 한석진 초대 주알제리대사 신임장 제정

1992. 10. 08. AHMED BOUTACHE 주한알제리 대사대리 부임

1993. 09. 14. 권인혁 제2대 주알제리대사 신임장 제정

1994. 11. 16. 주재국 치안악화 공관원 잠정 철수 (주불대사관내 근무 ; 정태철 대사대리)

1996. 10. 01. 주 알제리대사관 재개 (이시영 대사대리)

 

1997. 12. 28. 김일건 제3대 주알제리대사 신임장 제정

1998. 06. 21. 차준길 제4대 주 알제리 대사 신임장 제정

2000. 03. 29  최흥식 제5대 주 알제리 대사 신임장 제정

2002. 09. 12  57차 유엔 총회계기 한-알 외무장관 회담

 

2002. 09. 29  박대원 제6대 주 알제리 대사 신임장 제정

2002. 11. 11 제2차 민주주의 공동체회의계기 한-알 외무장관 회담(서울)

 

 3. 주요인사 교류

 가. 우리측 인사 알제리 방문

1967. 10. 10. 최규하 외무장관 (77그룹 각료회의 참석)

1973. 01. 18. 정규섭 주튀니지대사(양국관계개선 및 아국 통상사절단 입국 교섭 )

1975. 02. 15. 윤석헌 주불대사(UNIDO 및 77그룹 각료회의 참석)

1982. 05. 10. 정주년 주제네바공사(77그룹 자본재 분야 개도국회의 참석)

1984. 09.     박정기 한전사장, 세계에너지회의 국제집행위 참석

 

1988. 07.     민간경제사절단 (단장 ; 금진호 무역협회 고문)

1989. 04.     이선기 KOTRA 사장

1989. 06.     노영찬 대통령 특사, 양국간 수교 교섭

1990. 08.     노재원 대통령 특사, 유엔가입지지 교섭

1991. 05.     한우석 대통령 특사, 유엔가입지지 교섭

 

1992. 12. 02. 김우중 대우그룹 회장

1993. 01. 25. 정해구  교수(경제전문가 파견 KOICA협력사업의 일환)

1995. 06     반기문 특사 아국의 유엔 안보리지지 교섭 차 방문

1997. 08. 09. 한-알제리 투자보장협정 실무교섭단 방문

1997. 08. 24. 김우중 대우그룹회장(대 알제리 투자 협의)

 

1999. 03. 30  김우중 대우그룹회장(대 알제리 투자 협의)

1999. 10. 11  한덕수 통상 교섭본부장, 양국 투자 보장 협정 서명

2000. 09. 29  무역대리점협회(AFTAK) 통상사절단

2001. 02.     2010 세계박람회 유치 교섭 사절단(단장 허경만 전남지사)

2001. 03. 09  한.알제리 의원친선협회 사절단(단장:송광호의원)

 

2001. 03. 30  통상환경 개선 협의단(오영환 심의관)

2001. 04. 27  민-관 경제사절단(단장:황두연 통상교섭본부장)

             - 제2차 민간경협위, 2001.4.29 알제개최: 알제리 상공회의소와   중소기업협동 중앙회와 업무협정 체결 서명

2001. 09. 22  2010 세계박람회 유치 교섭 사절단(단장 이정빈 전 외교부장관)

2001. 10     곽영훈 (주)환경그룹회장(주재국 초청)

2001. 11     임덕규 DIPOLOMACY회장(주재국 초청)

 

2001. 11.09  최호걸 국방무관(파리주재) 부임예방차 알제리 방문

2002. 04.15  수출입은행 전대자금팀(홍성후 팀장)

2002. 05.03  이승환 한국가스연맹 사무총장(2009년 제24차 세계가스회의 서울유치교섭)

2002. 05.10  국제교류재단 파견, 전통예술공연단(10명)

2002. 05.13  한국직업능력개발원(KRIVET) 장석민박사(주재국초청)

 

2002. 05.13  정진승 KDI국제정책대학원장(주재국 초청)

2002. 05.31  KOICA, Sidi-Abdellah 신도시 개발조사 사전조사단(장재윤/양희승/류중석)

2002. 06.02  수출입은행, EDCF사업 협의단(임성수 경제협력기금부 부장)

2002. 06.12  제 35차 알제 국제박람회 참여 아국업체 직원(약10명)

2002. 07.06  2010 世界博覽會 유치교섭 민간경협 조사단(단장:현대캐피탈 이계안 회장)

 

2002. 07.22  알제리 건설시장 조사단(건설협회 김종현 차장)

2002. 09.22  대한상공회의소 통상투자 사절단(단장 김효성 대한상의부회장)

2002. 10.13 제2차 한-알제리 정책협의회 개최 대표단(단장. 김수동 외교부 아중동국장)

2002. 10.13 제2차 한-알제리 정책협의회 개최 대표단

2002. 10.25 대통령특사(단장:현대캐피탈 이계안회장), 2010 世界博覽會 유치교섭단

2002. 10.31 KOICA, Sidi-Abdellah 신도시 개발조사 사전조사단

2002. 12.10 IT홍보사절단(정통부, 한국전산원, IITA 및 ETRI)

2002. 12.29 국회사절단(단장: 조부영 국회부의장)

2003. 04.21 한-알제리 해운회담 대표단(단장 강무현  해양수산부 해운정책국장)

2003. 05.24-31 알제리지진 구호차, '중119 국제구호대(대장 최철영 소방정)             21명

2003.6.2-8  국립방재연구소 연구관 2명, 알제리 지진피해 실태조사

2003.06.23  노사정위원회 국외홍보담당 오병훈 전문위원

2003.6.23   Sidi-Abdellah 신도시 마스터플랜 수립사업 현지조사단                  - (주)환경그룹 및 과학기술 정책연구원 관계자

 * 주한 알제리 대사관의 알제리 방문 비자발급 수 : 2000년 292명, 2001년 358명임

   나. 알제리측 인사방한

1981. 09. 02. MAHFOUD BENAIRE 경제부 직원

1983. 07.    LARBI HAMID SI ABDALLAH 주일 참사관

1985. 10.    TERBECHE 재무차관, IMF 서울총회 참석

1986. 04.    ABBADI NOC 부위원장, ANOC 총회 참석  

1987. 11.    FOUDIL BEY 국영박람회공사(ONAFEX)회장

1988. 04.    ZERGUINI MOHAMED 및 SIMOHAMED MAGDALI IOC 위원

1997. 03. 06. ADESSELAM BOUCHOUAREB 산업부장관

1997. 04. 09. AHMED ATTAF 외무부장관

1997. 09. 27. ABDELKRIM HARCHAOUI 재무부장관  

1999. 09. 22  제1차 양국 경제 협력 위원회 개최(서울)

2000. 04. 26  A.SEMICHI 아태국장(정책협의회)

2001. 05. 13  CHAKAIB KHELIL 에너지.광물장관(LNG13 회의참가)

2001. 11. 20  H.Temmar통상장관 방한(제1차 양국 경제공동위)

           - 외무부 BEREKSI 아주국장 동 공동위 교체수석으로 방한

           - 제3차 민간 경협위개최(알측, 공동위 대표단등 60명 전세기편 방한)

2002. 04. 21  알제리 언론인 4명 방한(정통부 IT언론인 초청연수 계기)

             - 관련 Media : ENTV, 리베르떼, EL KHABAR, APS 

2002. 6.11-17 외무부 BEREKSI 아주국장 부부(KOICA연수프로그램 참여)      

2002. 7.23-26 상원의원 서울개최 국제IT의원연맹(IPAIT)창립총회 참석 방문단( 단장 BELAYAT ABDERRAHMANE상원 부의장 ,   KHAKHA  MOHAMED 문화분과위의장,   HADJI ATHMANE 상원의원,   MOUSSA BENHAMADI 상원의원 ,   KHELIFA BENALI 상원의원 )  

2002.11.11-12 제2차 민주주의공동체회의 참가단(단장 ABDELAZIZ BELKHADEM외무장관, BEREKSI 아주국장등 7명)

2003.05.18-22 Karim YOUNES 하원의장 방한

2003.08      대구하계유니버스아드 대회 참가 선수단(34명)

2003.08.13   Sidi-Abdellah 신도시 개발관련 인사(3명)

 4. 양국간 체결협정

정부간의 경제 및 기술협력에 관한 협정

   - 발효일 : 2000년 08월 19일(조약 1532 호)

정부간의 문화협정

   - 발효일 : 2000년 08월 19일(조약 1533 호)

정부간의 투자의 증진 및 보호를 위한 협정

   - 발효일 : 2001년 09월 30일 (조약 1574 호)

정부간의 이중과세방지협정

  - 서명일 : 2001.11.24

* 체육협력약정 : 2001.11.23서명(서명일로부터 5년간 유효)

* 외교부간 협력약정 2001.11.24서명(서명일로부터 5년간 유효)

* 한-알제리 문화교류계획서(2002-2003) : 2001.11.24 서명

 

5. 경제.통상관계

  가. 교역추이 : 아래 표(단위:천달러) 참조        

구 분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수 출

50,137

73,434

73,711

188,553

248,618

180,483

152,762

186,447

수 입

151,303

178,827

124,043

59,074

76,292

65,898

114,832

205,017

*  2001년 대알제리 수출총액 152,762천달러중, 자동차 36%, 가전제품29%,기계류가 11%차지     

나. 경제 협력부분

        1) 건축/건설업 : 주재국의 가장 큰 사회문제의 하나는 주택문제로서, 2001. 7현재  200만호의 주택이 부족한 형편이며, 이에 더하여 매년 20만호가 신규소요 발생. 또한 경제개발 개혁의 일환으로 알제리 정부가 적극 추진중인 대형 사회간접 자본시설 건설계획 참여 계기 활용 건설업 진출시, 주재국이 상당량 수입에 의존하는 건자재 분야까지 겨냥 가능하여 전망이 밝은 편인 바, 현지 사정에 밝고, 알제리에 Financing을 제공할 수 있는 외국 건설회사와 콘소시움으로 진출하는 것도 좋은 방법

       - 석유개발 분야, 도로.철도.항만 사회간접자본 분야, 수자원개발관리사업(댐.관개시설, 상하수도, 담수화사업) 및 주택건설 등. 알제리의 담수화 공장은 주로 천연가스 화력 이용한 시설임.

        2) 정보통신 분야 : 4백만의 잠재가입자가 예상되는 이동통신 시장뿐만 아니라, Sidi-Abdellah 첨단과학 기술단지 조성사업, 전국 교육기관을 연결하는 정보 인프라 구축 계획등 정보통신분야 국가 기본 계획 이행에 아국 업체의 진출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사료됨.

        - 통신망 구축사업(광섬유), 이동통신 부대사업, 정보통신 관련 기자재, 전자주민카드 

        3) 에너지 분야 : 2003년도 정부 예산안 총 세입액 약 185억$중 석유가스 수출 세입이 약 106억$로 세입예산의 57.6%를 차지하는 알제리의 석유 가스산업분야는 동 분야 개발 플랜트 사업, 개발후 에너지 활용과정상의 정유시설, 발전소등 부대 플랜트사업이나 제3국 에너지 개발분야 공동진출등을 통하여 양국 기업간 협력 가능성이 많은 것으로 사료됨.

        4) 제조업: 주재국 공업생산의 80%를 국영기업체가 차지, 그간 사회주의 체제하에서 국영은행의 신용으로 경쟁력이 없이도 명맥을 유지해 왔으나, 최근 시장 경제도입과 더불어 경제 발전에 큰 장애요인으로 등장. 주재국 정부는 이러한 국영 및 공기업 대상 민영화 정책을 추진 중인 바, 아국 업체들이 합작 투자등으로 이러한 기업을 인수, 주재국 제조업 분야  진출 가능성 있는 것으로 판단됨. 

        - 반제품공급 및 기술지원 또는 투자진출 : 제약, 완구, 문방구,프라스틱, 비료, 석유 화학제품, 전기. 전자 제품, 자동차 조립 및 동 부품 제조, 가전제품 조립분야. 

        5) 광업 : 석유류외 부존자원 현황(확인 매장량/잠재매장량 순임)

구   분

확인 매장량

잠재 매장량

35억톤

50억톤

인광석(PHOSPHATE)

16억톤

25억톤

납/아연

160만톤

400만톤

수은(금속)

37,000톤

50,000톤

금(금속)

110톤

200톤이상

우라늄(U3O8)

26,000톤

30,000톤

소금

10억톤

20억톤

중토(BARYTE)

950만톤

160만톤

규조토

660만톤

1400만톤

천청석(CELESTINE)

600만톤

1000만톤

대리석

2400만㎥

3억5500만㎥

유황

2000만톤

-

BENTONITE(표백제용 아교질 찰흙)

1430만톤

2700만톤

망간

150만톤

-

텡스텐-주석

124,000 톤(WO3), 37,000 톤(Sn)

-

휘귀금속(Ta-Nb-Rb)

Ta2O5 123.8톤, Nb2O 4.2 톤,  Rb2O 133톤

-

고령토

1530만톤

2000만톤

표백토

6백만톤

-

정석(FELDSPATH)

4백만톤

6백만톤

- 출처 : 알제리 에너지 광물부 웹사이트

 자원부국인 주재국 정부는 2001.7.3일 광물자원개발 관련법(석유/가스/물 분야 제외)을 개정, 지금까지 국가독점 사업을 개방하고 외국인 투자 유치등 동 분야 개발에 노력하고 있음. 

다. 한국의 대알제리 수출입품목

       - 수출 : 2001년 한국의 대 알제리 수출총액 152,762천달러(알제리 총수입의 약1.4%)중, 자동차 36%, 가전제품29%,기계류가 11%차지

       - 수입 : 광물성 연료(부탄가스)와 그 부산물이 주품목이고 그 외 (양)원피와 구리 및 알루미늄임

라. 우리기업의 알제리 시장 진출 가능성 및 유의점

    0. 마그레브 지역 국가 중 GDP 규모, 인구(3천만), 석유등 부존자원 측면에서 잠재력 이 가장 큰 국가이며 중동, 아프리카, 유럽을 연결할 수 있는 전략적 위치등으로 수출 투자 시장으로서의 가능성이 큰 국가로 평가되며 또한 알제리 소비자들의 한국이나 한국 상품에 대한 호의적인 인식도 우리의 알제리 시장 진출의 긍정요소로 평가됨. 알제리는 정치 경제적으로 큰 변혁 과정에 있는 바, 회교근본주의자들의 테러문제가 장애요소라고 할 수 있으나 동 변혁기의 적절한 활용은 또다른 관점에서 시장선점을 위한 도전기회로도 평가됨.

 

   0. 치안 : 1990년대 초부터 알제리의 테러문제는 국내적인 사회불안 요소로,그리고 대외적으로는 알제리 이미지 손상요인으로 작용하여, 알제리 경제 발전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 그러나, 우리나라를 비롯한 외국 상사원들이 알제리를 방문 상담을 저해할 만큼 장애요인은 아닌 것으로 사료됨. 다만, 테러문제를 염두에 두고 주재국 주재 대사관 및 KOTRA등과 유기적 연락관계를 유지하면서 체류호텔등에서 상담에 임하는데는 문제가 없다고 판단됨.

   0. 학교 : 수도 알제에는 외국계(미국 또는 프랑스) 학교가 없는 관계로, 초등학교 저학년은 현지인 학교(아랍어 및 불어로교육)에 보낼수 있다고 사료되나, 중고등학교 취학자녀가 있는 경우 자녀들의 학교관계를 사전에 조사 대비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됨.

     - 프랑스계 학교가 2002년 개교하였으나 상금 고등학교 2-3년 과정만 있으며, 초중고 취학 자녀가 있는 당지 체류 한국 근무자(지상사원 및 공관직원)중 자녀등 가족은 제3국(프랑스 및 모로코)에  체류하고 단신하는 경우가 많음 .

마. 우리기업 진출 현황 및 교민 현황

  1) 투자 현황

      0 대우건설의 Hilton Hotel 건축, 경영

         - 1993. 8월 개관

         - 1996. 10월 호텔 잔여 지분 완전 인수

         - 2001. 11월 매각,철수

 

      0 (주)대우의 자동차 Workshop 건설, 운영

         - 1996. 9월 건립

         - 투자액 : 약 5백만불

         - 2003.1 현재 매각추진 철수준비중  

 

      0 유전개발사업 투자 (유개공.대우.한보.삼성물산 콘소시움)           

         - 1994. 11월 석유탐사 계약

         - 투자액 : 약 2천만불

         - 1997. 7월 철수

 

      0 석유탐사업 참여 (삼성물산.경인 에너지)

         - 1991. 11월 양회사 콘소시움으로, 스페인 Repsol 및 네델란드의 Orange Nassau 와 합작으로 Issaouane지대 석유탐사사업에 30% 지분 참여(그후 진행내용 미상)

   2) 상주직원 파견 한국기업 진출현황

      0 (주)대우INTERNATIONAL : 지사운영(모로코 상주)

      0 (주)대우 ; 대우자동차 현지판매법인(직원 3명 상주)

       - 직원 2명 상주(2003.1 현재 매각추진 철수준비중)

      0 LG 전자 ; LG 지사 운영(직원 2명 상주)

      0 삼성전자 ; 지사 운영(직원 1명 상주)

      0 KOTRA 알제지사(관장 1명 상주)

 

 3) 교민 현황 : 한국인 약 40명 체류

 

   상기 기업 체류자 및 동반가족 이외에, 식당업(1가구), 개인사업자(3가구), 종교인(목사 및 수녀 각 1명)

 

6. 경제협력  

   가. 인력개발

     1) 연수생 초청 훈련

        - 2001년 18명 초청연수 실시

        - 2002년 25명 확정, 연수실시중

        - 2003년 20명 확정, 연수실시중

      2) 아국 전문가 파견

          - 1993년 (2명) : 경제 기획분야, 마켓팅 분야 각 1명

      3) 직업훈련 분야

      - 주재국 직업훈련부 초청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KRIVET) 장석민박사 알제리 방문(2002. 05.13), 양국간 직업훈련분야 협력 방안  논의

  나. 경제개발 협력기금(EDCF)

          - 2001.11.21 양국간 공동위 개최 계기, 알제리 정부 5개사업 제출

          - 2003.8월 현재 양국간 EDCF기본협정 체결 협의중

  다. 무상원조

   - 2001.11월 알제리 홍수피해관련 3만불 지원

   - 2002.09월, 11만5천불 상당 컴퓨터등 물자지원(알제리 외무부용)

   - 2002.12월, 1만불 상당 체육용품지원(알제리 체육청소년부용)

   - 2002.11.6  알제리 신도시 조성 사업관련, 마스터플랜 수립용 1백만불 원조지원키로   양국간 합의하고, 동 플랜 수립사업 2003.5월 착수

   - 2003.06.15 알제리 2003.5.21 지진피해구조 원조금 10만불 지원

 라. 전대차관

   - 수출입은행과   BNA 및 BEA은행간 협력 : 수출입 은행 실무자 2명  알제리 방문(2002. 4.15-18), 전대차관 협의 필(상반기 중 양측 관계  계약 서명 예정이었으나, 2003.8 현재 진척사항 없음)

 마. 경제개발 경험 전수

   - 주재국 통상부 장관 초청으로, 정진승 KDI국제정책대학원장등 관계자   알제리 방문(2002.5), 세미나등 개최하고 양국관련기관 협력방안 논의

 바. 경협위 및 경제공동위 개최

   - 1997년 주재국 산업부장관 방한시 우리 전경련-알제리 상공회의소간   양국 경제 협력위원회(Business Council)을 구성. 운영하기로 합의

   - 제1차 민간경협위 99.9.20-22간 서울개최: 양국 친선 협회 구성, 운영키로  합의

   - 제2차 민간경협위, 2001.4.29 알제개최: 알제리 상공회의소와 중소기업  협동중앙회와 업무협정 체결 서명

  - 제1차 경제공동위 개최 : "경제 및 기술협력에 관한 협정(발효:00.8.19)" 상의 제 1차 경제공동위 2001.11.21 서울개최, 양국간 협력방안 논의

   - 제3차 민간경협위,  2001.11월 제 1차 경제공동위 개최계기 서울개최

 7. 문화. 교육 교류

   가.  문화협정(발효:00.8.19)과 체육협력약정 서명(01.11.23)으로 양국  교류 증진 도모

           - 2001.11.24, 한-알제리 문화교류계획서(2002-2003) 서명

   나.  2002. 05월 국제교류재단 파견 전통예술공연단(10명), 알제 2회공연

           - 2003년 알제리 민속무용단 서울공연 희망

           - 그 외에 근년에 미술전시회, 영화주간등 개최

   다. 기관간 교류

          - 한국해양대학과 알제리 해양연구소(ISM)간 자매결연 체결(2001.9.19)

          - 여수시와 JIJEL시간 자매결연 : 여수박람회 유치활동의 일환으로 2002.7  현재 진행중이었으나 2003.1 현재 진척사항 없음

          - 아리랑 TV와 ENTV간 협력협정 추진(2001.11월 공동위계기 협의/2002.7현재 진행상황 미상)

 

          - 양국의 친선협회활동 :

            ▷ 한-알 의원친선협회

                - 아측 : 송광호(회장), 정형근(부회장)의원등 7명

                - 알측: LAALAOUI BELMOKHI의원(회장)외 14명(2002.5월 총선으로 재구성 예정)

            ▷ 한-알 민간친선협회

               - 알제리(2000.6.28 설립총회) : 회장 A.ACHAIBOU 기아차 현지 딜러

               - 한국 : 회장 LG전자 우남균 부사장(DDM 사업본부장으로, 2002.6월 주한 알제리대사 제의 수락)

            ▷ 한-알 민간 경제협력 위원회

                - 아측 회장 : 손 병두 전경련 부회장

                - 알측 회장 : SIAD Mohamed(자동차부품업 사장)

       라. 충청대학교 태권도 시범단(15명:단장 오경호, 감독 오노균),  2000.11월  알제방문 2회 시범 경기실시

       마. 2003년 LG컵 국제 축구대회 알제 개최 예정

       바. 국제교류재단  초청사업

          - 2002.3.10-17 알제리 경제전문가 CHIKAOUI씨 방한

------------------------------------------------------------------

○ 주 알제리 한국대사관 : 공관소개 참조

○ 주한 알제리대사관 : http://www.algerianemb.or.kr/

▷ 주소 : 서울시 용산구 이태원2동 2-6
▷ 연락처 : 전화 794-5034/5 / 팩스 792-7845
▷ 업무시간 : 09:00-12:00 & 13:00-17:30, 토요일 휴관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