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한·인도 관계

인도 정치경제 최근동향

  1. 한·인도 관계
  2. 인도 정치경제 최근동향
  • 글자크기

최근 인도 경제동향 (2025년 상반기)

작성자
주 인도 대사관
작성일
2025-07-30

❑ 2025년 1-3월 GDP 성장률 7.4%, 2024/25년 6.5% 추정


  ㅇ 2025년 상반기 인도 경제는 글로벌 경기 둔화 속에서도 2025년 1~3월에 시장 전망치(6.7%)를 상회하는 7.4% 성장을 기록했으며, 정부의 공격적인 인프라 투자에 힘입은 건설업(10.8%)이 성장을 주도함.

  ㅇ 2024/25년(24.4월-25.3월)의 GDP 성장률은 전년도의 높은 성장에 따른 기저효과와 함께, 글로벌 경기 둔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6.5%로 추정함.

    ※ 2024/25년 분기별 GDP 성장률: 1분기(4-6월) 8.2%, 2분기(7-9월) 5.4%, 3분기(10-12월) 6.2%, 4분기(24.1-3월) 7.4%


❑ 산업생산지수(IIP) 둔화 속 혼조세  


  ㅇ 2025년 상반기 인도의 산업생산은 둔화 속 혼조세로, 연초에는 5.0%의 견조한 모습을 보였으나, 4월 2.7%, 5월 1.2%로 점차 성장세가 약화되는 양상을 보임.

  ㅇ 8대 핵심산업지수(IIP Core)는 정부 주도 인프라 투자에 힘입어 시멘트, 철강 등 성장세를 보였으나, 비료 및 정유 제품 등은 부진을 보임.


❑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확장적 모멘텀 지속, 서비스 PMI 독보적 성장


  ㅇ 제조업 PMI(구매관리자지수)는 3월 58.6으로 16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상반기 전반적으로 매우 강력한 확장 국면을 유지했지만 5월에 55.1로 둔화세를 보임.

  ㅇ 서비스 PMI는 상반기 내내 60 안팎의 이례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으며, 특히 2월에는 62.0을 기록하며 정점을 찍는 등, 인도 서비스업은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 속에서도 강력한 성장 동력을 보여줌.


❑ 소비자물가지수 식품 가격 안정화로 6월 2.10%로 6년만에 최저치 기록


  ㅇ 소비자물가지수(CPI) 기반 인플레이션은 1월 4.26%로 다소 높은 수준이었으나 3월 식품 인플레이션이 67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하며 6월 식품 물가가 마이너스(-1.06%)로 전환되며 6월 2.10%로 6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함.  

  ㅇ 도매물가지수(WPI)도 주요 농산물 가격 및 원자재 비용 하락에 따라 5월부터 마이너스(-)로 전환함.


❑ 실업률, 상반기 전체 5% 초중반대로 안정적이나 노동참여율 저조


  ㅇ 상반기 전체 실업률은 5% 초중반대에서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으며, 4월에 실업률이 5.1%, 5월 5.6%, 6월 5.6% 기록함.

  ㅇ 인도의 노동참여율(LFPR)이 상반기 내내 41%대로 4월 42.0%, 5월 41.4%에서 41.0%로 여전히 낮은 수준을 보임.


❑ 상반기 수출 마이너스 성장, 무역적자 매월 200억 달러 상회

  ㅇ 2025.1월-6월간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마이너스 성장한 2,276억 달러에 그쳤으며 수입이 2.7% 증가한 3,533억 달러로 무역적자가 1,257억 달러에 달함(상공부)

  ㅇ 상반기 내내 수출 성장률은 전년 대비 마이너스 성장을 보였으며, 이는 글로벌 수요 약화로 섬유 등 전통적인 노동집약적 품목의 수출 부진이 주요 요인으로 분석

  ㅇ 2024/25 회계연도 인도의 상품 수출은 4,374억 달러(0.08% 증가), 수입은 7,202억 달러(6.2% 증가)를 기록했으며, 무역수지는 2,828억 달러로 최고치 기록


❑ 통화정책, 기준금리 5.5%로 인하


  ㅇ 인도중앙은행(RBI)은 2025년 들어 세 번째로 금리 인하를 시행하였으며, 레포 금리를 당초 6.5%에서 6월 5.5%로 인하(RBI)

    ※ 최근 레포 금리 추이: 2023.2월 6.5%, 2025.2월 6.25%, 4월 6.00%,, 6월 5.5%


❑ FDI 2024/25년 810억 달러, 플러스 성장 전환


  ㅇ 2024/25년 총 외국인직접투자(FDI)는 810억 달러로 전년도(713억 달러) 대비 14% 증가하여 2년 연속 이어진 감소세에서 플러스(+) 성장으로 전환(상무부)


❑ 주요 경제정책


  ㅇ 반도체 미션(ISM) 2단계 발표(3.15): 반도체 설계, 제조, 패키징을 고도화하고, ‘Made in India’ 반도체 제품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도록 지원함.

  ㅇ 전기차 생산촉진계획 발표(6.2.): 전기 자동차에 대한 수입 관세를 낮추기 위한 전기차 생산촉진계획(SPMEPCI)의 포괄적 지침을 발표

  ㅇ 철강 관련: 정부 조달 시 '인도산 철강 우선 구매' 발표(4.1.), 일부 철강 제품에 12% 세이프가드 관세 부과(4.21.), 철강 품질관리명령(QCO), 원자재 대상으로 확대 적용(6.15.)

  ㅇ 인도-영국 FTA 협상 타결(5.6.)


❑ 평가 및 전망


  ㅇ 2025년 1~3월에 7.4%라는 서프라이즈 성장은 건설업(10.8%) 주도로 나타났으며, 부진했던 농업 부문이 회복세로 반전하는 등 내수 기반이 여전히 튼튼함을 보여주었음.

  ㅇ 견고한 내수 소비와 지속적인 정부의 자본 지출이 성장을 이끌 것으로, 2025/26년 경제성장률도 6% 중반대의 강력한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됨.

  ㅇ 인도는 철강재에 대한 세이프가드 관세 및 품질 규제 강화는 자국 산업을 보호하려는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는 사례로 최근 ‘Make in India' 기조를 더욱 강화하고 있음.

  ㅇ 인도는 반도체 미션 2.0, 신규 전기차(EV) 정책 등을 통해 첨단 기술 분야에서 글로벌 생산 허브로 도약하려는 미래지향적 투자를 병행하고 있음.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