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뉴스

주재국 소식

  1. 뉴스
  2. 주재국 소식
  • 글자크기

2025년 09월 22일~09월 28일 쿠웨이트 정세

작성자
주 쿠웨이트 대사관
작성일
2025-09-30

1. 정세 동향


【제80차 유엔총회 고위급회의 주간】


가. Sabah 왕세자, 제80차 유엔총회 고위급회의 주간 참석(9.20-9.25)


ㅇ Sabah 왕세자는 9.19(금)-9.25(목) 간 제80차 유엔총회 고위급회기 계기 △중동정세 관련 유엔안보리 긴급회의(9.23, 화) 참석, △유엔총회 일반토의 기조연설(9.24, 수)을 통해 △이스라엘의 대카타르 공격 규탄 △팔레스타인 문제에 대한 쿠웨이트의 전통적인 지지 입장을 강조


ㅇ 또한, △31개국 정상 및 국가수반 회담 △고위급 관계자 면담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튀르키예 Limak Hodlings 등 11개 글로벌 기업 및 금융기관 관계자와 면담을 실시함


나. Al-Yahya 외교장관, 제80차 고위급회의 주간 참석(9.20-9.25)


ㅇ Abdullah Al-Yahya 외교장관은 9.19(금)-9.25(목) 간 △걸프협력회의(GCC) 의장 자격으로 미국, 프랑스, 영국과 GCC외교장관 회의를 주재하고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실무 만찬 및 △유엔 팔레스타인 난민구호기구(UNRWA) 각료회의에 참석


【주요국과의 외교 현황】


다. Ahmad 총리, 쿠-중국 협정 및 양해각서 이행 점검 회의 주재(9.24)


ㅇ 주재국 Ahmad 총리는 9.25(목) 쿠-중국간 체결된 협정 및 양해각서 이행 상황 점검을 위한 제28차 장관회의를 주재하고 △Mubarak Al-Kabeer 항만 프로젝트 △재생에너지 △주택 △하수처리 △자유무역지대 및 경제특구 등 28개 개발 항목 진행 사항을 검토


        ※ 동 회의에는 Abdulaziz Al-Dakhil 총리실 비서실장, Noura Al-Mashaan 공공사업부 장관, Abdullatif Al-Meshari 주택담당 국무장관, Sabeeh Al-Mukhaizem 수전력재생에너지부 장관 겸 재무장관 대행 겸 경제·투자 담당 국무장관 대행, Meshal Jaber Al-Ahmad Al-Sabah 직접투자청(KDIPA) 청장, Salah Ateeq Al-Majed 파트와 및 법률 관계자, Abdullah Al-Sabah 국방부 차관, Sameeh Hayat 외교부 아시아담당 차관보 참석


- 또한, Ahmad 총리는 중국국영기업(SOE)과의 협력 조율 및 차기 건설 계약 서명을 신속히 진행할 것을 지시


ㅇ Sameeh Hayat 아시아 담당 차관보는 상기 회의 이후 국영통신(KUNA)과의 인터뷰에서 공공사업부가 10월 중 중국 국영기업과 Kabd 하수처리 플랜트(North/Kabd Wastewater Treatment Plant) 건설·운영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며 이 외에도 중국 정부의 프로젝트별 1차 기술·환경평가 통보 완료시 다른 대형 프로젝트 계약 일정을 계속 확정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


- 또한, 쿠웨이트 정부는 Al-Abdaliyah 및 Al-Shaqaya 3,4단계 재생에너지프로젝트 계약 절차에 착수하였다고 발표하였으나, 기업명을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음


        ※ 이와 관련, Hayat 차관보는 9.23(화) 중국 상하이 부성장 제1부지사, 중국 국가전력투자공사(SPIC) 부회장 등 중국 대표단과 면담


라. 쿠웨이트-프랑스 공군, 합동 군사 훈련 실시(9.22)


ㅇ 주재국 공군은 Ahmad Al-Jaber 공군기지에서 프랑스 공군과 합동 군사 훈련(Swift Falcon)을 실시하였으며, 양국 군사 협력 강화 및 합동 작전 효율성 제고를 목표로 작전 경험 교류, 전투 대비 태세 등이 훈련에 포함


마. 외교부, 쿠웨이트-키르기스스탄 제4차 정책협의회 개최(9.23)


ㅇ 주재국 외교부 Sameeh Hayat 아시아 담당 차관보는 9.23(화) 키르기스스탄 Temirbek Erkinov 외교차관과 제4차 정책협의회를 개최하고, 정치·경제·개발 협력을 논의함.


- △경제 파트너십 강화 △투자·무역 확대 △신규 비즈니스 채널 개설 △혁신·기술·창업·금융서비스 관련 전문성 공유 △중소기업 지원 프로그램 논의


- 또한, '26.1분기 양국 정부 서명을 목표로 32건의 협정 및 양해각서 초안 논의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