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장관 외교활동

아세안 사무총장 환영 오찬(5.28.)

부서명
정책홍보담당관실

  조태열 외교장관은 5.28.(화) 방한 중인 '까으 끔 후은(Kao Kim Hourn)' 아세안 사무총장을 환영하는 오찬을 주최하고, 올해 한-아세안 대화관계 35주년 계기 한-아세안 간 최상의 파트너십인 ‘포괄적 전략동반자 관계(CSP)*’ 수립, 한-아세안 연대구상(KASI) 이행, 한-아세안 실질 협력 발전 방안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였습니다.


* 포괄적 전략동반자 관계(CSP: Comprehensive Strategic Partnership) : 아세안-대화상대국 간 최고단계 파트너십 / 2021년 호주/중국, 2022년 미국/인도, 2023년 일본 수립


※ 까으 사무총장 방한 개요


- 방한 기간 : 5.25.(토)~5.31.(금)


- 방한 목적 : 제주포럼 참석, 한-아세안 협력 증진방안 협의


- 주요 일정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등 주요부처 인사 면담, 서강대학교 강연 등



  조 장관은 한국과 아세안이 1989년 대화관계 수립 이래 불가분의 동반자로 발전해 왔다고 하고, 인태지역의 자유, 평화, 번영 증진을 위한 핵심파트너인 아세안과의 협력을 일관되게 심화ㆍ발전시켜 나갈 것임을 강조하였습니다. 이어 조 장관은 올해 10월 라오스에서 개최될 제25차 한-아세안 정상회의 계기에 포괄적 전략동반자 관계 수립을 발표함으로써 한-아세안 협력이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희망하였습니다.


※  아세안은 우리의 2위 교역(약 1871억불, 2023년 기준) 및 2위 투자 대상 지역(약 1467억불, 누적투자액), 양자 개발원조(ODA) 최대 공여 지역(약 8억불, 전체 양자 개발원조 중 약 30%), 우리 국민 최대 방문 지역(약 806만명)



  아울러 조 장관은 올해 출범 2년 차를 맞는 우리 정부의 '한-아세안 연대구상(KASI)' 이행상황을 공유하였습니다. 조 장관은 디지털 전환과 기후변화 대응분야의 시그니처 사업들이 본격 출범하고, 한-아세안 협력기금을 포함한 협력재원들도 착실히 증액되고 있다고 설명하면서 우리 정부의 대 아세안 협력 강화 의지를 강조하였습니다. 아울러 아세안 지역에 진출해 있는 우리 기업들의 원활한 활동을 위해 아세안사무국과 개별 회원국들의 각별한 관심과 지원을 당부하였습니다.



  이에 대해 까으 사무총장은 한국 정부가 한-아세안 연대구상을 통해 한국의 강점 분야와 아세안의 협력 수요를 잘 조화시킨 협력 사업을 내실있게 추진하고 있는 것을 높이 평가한다고 하였습니다. 이어 까으 사무총장은 한국과의 협력을 계속 심화해 나갈 수 있도록 포괄적 전략동반자 관계 수립 과정에서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고 호응하였습니다.



  한편 조 장관은 북한이 적대적 대남정책과 핵·미사일 도발을 지속하여 긴장을 고조하고 있는 상황에 대해 아세안이 단호한 메시지를 발신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담대한 구상 등 우리 대북 정책에 대한 아세안 측의 계속적인 지지를 당부하였습니다.



  이번 오찬 계기 동석한 주한 아세안 대사단*은 한-아세안 포괄적 전략동반자 관계 수립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면서, 동 관계 수립을 계기로 한-아세안간 협력의 폭과 깊이가 한층 더 확대되어 나가길 기대하였습니다.


* ASEAN Committee in Seoul(ACS) : 아세안 10개 회원국 및 동티모르(아세안 옵저버) 주한 대사단의 모임



  한편 강인선 외교부 제2차관은 전날인 5.27.(월) 저녁 제6대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 취임식 겸 아세안사무총장 환영 리셉션에 참석하여, 김재신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의 취임 축하와 까으 아세안사무총장의 방한 환영, 한-아세안간 협력 강화 방안, 한일중 정상회의 개최의 의의와 아세안+3 메커니즘 강화 필요성 등을 주요 내용으로 축사를 하였습니다. 끝.


@관련 보도자료 바로가기


조태열 장관, 아세안 사무총장 환영 오찬(5.28.)


조태열 외교장관은 5.28.(화) 방한 중인 '까으 끔 후은(Kao Kim Hourn)' 아세안 사무총장을 환영하는 오찬을 주최하고, 올해 한-아세안 대화관계 35주년 계기 한-아세안 간 최상의 파트너십인 ‘포괄적 전략동반자 관계(CSP)*’ 수립, 한-아세안 연대구상(KASI) 이행, 한-아세안 실질 협력 발전 방안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였습니다. ​ * 포괄적 전략동반자 관계(CSP: Comprehensive Strategic Partnership) : 아세안-대화상대국 간 최고단계 파트너십 / 2021년 호주/중국, 2022년 미국/인도, 2023년 일본 수립 ​ ※ 까으 사무총장 방한 개요 ​ - 방한 기간 : 5.25.(토)~5.31.(금) ​ - 방한 목적 : 제주포럼 참석, 한-아세안 협력 증진방안 협의 ​ - 주요 일정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등 주요부처 인사 면담, 서강대학교 강연 등 ​ ​   조 장관은 한국과 아세안이 1989년 대화관계 수립 이래 불가분의 동반자로 발전해 왔다고 하고, 인태지역의 자유, 평화, 번영 증진을 위한 핵심파트너인 아세안과의 협력을 일관되게 심화ㆍ발전시켜 나갈 것임을 강조하였습니다. 이어 조 장관은 올해 10월 라오스에서 개최될 제25차 한-아세안 정상회의 계기에 포괄적 전략동반자 관계 수립을 발표함으로써 한-아세안 협력이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희망하였습니다. ​ ※  아세안은 우리의 2위 교역(약 1871억불, 2023년 기준) 및 2위 투자 대상 지역(약 1467억불, 누적투자액), 양자 개발원조(ODA) 최대 공여 지역(약 8억불, 전체 양자 개발원조 중 약 30%), 우리 국민 최대 방문 지역(약 806만명) ​ ​   아울러 조 장관은 올해 출범 2년 차를 맞는 우리 정부의 '한-아세안 연대구상(KASI)' 이행상황을 공유하였습니다. 조 장관은 디지털 전환과 기후변화 대응분야의 시그니처 사업들이 본격 출범하고, 한-아세안 협력기금을 포함한 협력재원들도 착실히 증액되고 있다고 설명하면서 우리 정부의 대 아세안 협력 강화 의지를 강조하였습니다. 아울러 아세안 지역에 진출해 있는 우리 기업들의 원활한 활동을 위해 아세안사무국과 개별 회원국들의 각별한 관심과 지원을 당부하였습니다. ​ ​   이에 대해 까으 사무총장은 한국 정부가 한-아세안 연대구상을 통해 한국의 강점 분야와 아세안의 협력 수요를 잘 조화시킨 협력 사업을 내실있게 추진하고 있는 것을 높이 평가한다고 하였습니다. 이어 까으 사무총장은 한국과의 협력을 계속 심화해 나갈 수 있도록 포괄적 전략동반자 관계 수립 과정에서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고 호응하였습니다. ​ ​   한편 조 장관은 북한이 적대적 대남정책과 핵·미사일 도발을 지속하여 긴장을 고조하고 있는 상황에 대해 아세안이 단호한 메시지를 발신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담대한 구상 등 우리 대북 정책에 대한 아세안 측의 계속적인 지지를 당부하였습니다. ​ ​   이번 오찬 계기 동석한 주한 아세안 대사단*은 한-아세안 포괄적 전략동반자 관계 수립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면서, 동 관계 수립을 계기로 한-아세안간 협력의 폭과 깊이가 한층 더 확대되어 나가길 기대하였습니다. ​ * ASEAN Committee in Seoul(ACS) : 아세안 10개 회원국 및 동티모르(아세안 옵저버) 주한 대사단의 모임 ​ ​   한편 강인선 외교부 제2차관은 전날인 5.27.(월) 저녁 제6대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 취임식 겸 아세안사무총장 환영 리셉션에 참석하여, 김재신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의 취임 축하와 까으 아세안사무총장의 방한 환영, 한-아세안간 협력 강화 방안, 한일중 정상회의 개최의 의의와 아세안+3 메커니즘 강화 필요성 등을 주요 내용으로 축사를 하였습니다. 끝.




아세안 사무총장 환영 오찬(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