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정보마당

해외여행안전정보

  1. 정보마당
  2. 해외여행안전정보
  • 글자크기

공지 파키스탄 안전여행 길잡이

작성자
주 파키스탄 대사관
작성일
2024-06-03

<파키스탄 개요>


  파키스탄은 인도대륙 북서부에 위치하여 인도, 중국, 아프가니스탄, 이란과 국경을 접하고 있습니다. 면적은 한반도의 약 3.6배에 달하며, 우루두어와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지만 각 지역마다 펀잡어, 파슈토어, 신드어를 사용합니다. 국교는 이슬람교로 국민의 97%가 이슬람교도(수니파 77% 시아파 20%)이며, 이슬람교가 사회, 문화, 정치, 경제, 법률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파키스탄 여행 경보> (2024. 6월 현재)


  파키스탄 정부는 KP주 아프간 접경지역과 발로치스탄주 일대에서 알카에다 및 탈레반, 발로치스탄해방군에 대해 대대적인 소탕작전 실시해 왔고, 이에 대한 보복테러로 치안 사정이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습니다. 아울러, 정쟁에 따른 정치적 불안상황이 가중되어 과격 시위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최근 경제난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중파경제회랑(CPEC) 사업비 부채 문제가 지목되면서 동아시아인을 대상으로 한 테러도 발생하고 있어 일부 지역을 제외한 전역이 ‘여행경보제도 3단계(출국권고)’인 국가입니다.




ㅇ 황색경보 지역 (여행 자제)

   - 이슬라마바드(수도), 파이잘라바드(경제무역특구), 라호르(우리 국민 다수 거주 도시), 길깃, 훈자, 스카루드(북부 산악지역 관광특구)


ㅇ 적색 경보 지역 (출국 권고)

   - 황색경보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


<참고> 단계별 여행 경보 및 행동 요령


ㅇ 1단계(남색경보) 여행 유의

  - 국내 대도시보다 상당히 높은 수준의 위험

  - 신변안전 위험 요인 숙지 및 대비


ㅇ 2단계(황색경보) 여행 자제

  - 국내 대도시보다 매우 높은 수준의 위험

  - (여행예정자) 불필요한 여행 자제, (체류자) 신변안전 특별유의


ㅇ 3단계(적색경보) 출국 권고

  -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심각한 수준의 위험

  - (여행예정자) 여행 취소, 연기, (체류자) 긴요한 용무가 아닌 한 출국


 4단계(흑색경보) 여행 금지

  -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매우 심각한 수준의 위험

  - (여행예정자) 여행금지 준수, (체류자) 즉시 대피, 철수



  파키스탄을 방문할 예정인 우리 국민께서는 여행 계획단계에서부터 여행경보를 반드시 확인하시고, 아래 유의사항을 참고하셔서 안전한 여행되시길 바랍니다. 사건․ 사고 피해 발생시 우리 대사관으로 즉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참고) 외교부 해외안전여행 ‘파키스탄


ㅇ 사건사고 발생시 연락처


※ 주파키스탄대사관

- 주소 : Block 13, St. 29, Diplomatic Enclave Ⅱ, G-5/4, Islamabad, Pakistan

- 이메일 : pakistan@mofa.go.kr

- 대표번호(근무시간 중) : (92) 51-227-9380

- 긴급연락처(사건사고 등 긴급상황 발생 시, 근무시간 외) : (92) 301-854-6944

카카오톡플러스 ‘주파키스탄 대한민국대사관’ 추가시 신변안전 공지 수신 가능

- 민원인 요청에 따라 사건사고 피해 발생시 통역인, 법률전문가(변호사) 명단 제공


※ (신드주 관할) 주카라치분관

- 주소 : 101, 29th Street, Phase VI, DHA, Karachi

- 이메일 : karachi@mofa.go.kr

- 대표번호(근무시간 중) : (92) 21-3585-3950



<현지 관습 및 문화>


1. 회교(이슬람교) 국가에 대한 문화 존중


  파키스탄 국민의 97%가 이슬람교도로서 이슬람교는 사회, 문화는 물론 정치․ 경제․ 법률 등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주요 풍습으로는 ▲인사를 할 때 고개를 숙이지 않으며 ▲ 악수는 남자들끼리 만났을 때만 하며 남녀간에는 하지 않습니다. 또한 ▲손님 초대시 분에 넘칠 정도로 음식을 접대하는 편이며, ▲분위기에 쉽게 휩쓸리는 경향이 있어 집단행동이 발생하면 과격한 면모를 보이는 경우가 많아 주의가 필요합니다.


(모스크(마스지드) 방문) 파키스탄 각지에 있는 모스크(이슬람 사원 ‘마스지드’)를 방문할 때 신발을 벗고 경건한 자세를 취하시기를 바랍니다.


(여성에 대해 보수적인 문화) 여성 여행자는 단독 행동이나 외출은 가급적 피하고, 외출시에는 노출이 심한 복장은 착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현지 여성을 촬영하는 행동도 종교적으로 금지되어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 실제로 파키스탄 내에서 가장 종교적으로 보수적인 KP주 일부지역에서 외국인 저널리스트가 현지 여성을 촬영하려다가 부족인들로부터 돌맹이 기습을 받고,차량, 카메라, 여권 등 소지품을 빼앗기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함


(음주, 돼지고기 금지) 이슬람 율법에 따라, 음주행위와 돼지고기 취식은 금지되어 있어 일반 상점에서 주류와 돼지고기를 판매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입국시 반입도 금지되어 있습니다.


(선교, 포교행위 금지) 아울러 파키스탄 국민에 대하여 이슬람교 외 종교에 대해 선교나 포교활동이 엄격히 금지되어 있으며, 이를 위반하면 ‘출입국법’, 심할 경우 ‘신성모독법’에 따라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2. 현지 법률 준수


(신분증 휴대) 파키스탄내에서 외국인은 여권, 비자, 체류허가증(NOC)등 신분증명서를 상시 휴대해야 합니다. 주요 지역 검문소 등에서 경찰 관계자가 외국인에 대한 신분증명서 제시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외국인 여행제한 지역 접근 자제) ▲KP주의 아프가니스탄 접경지인 카이버패스 지역(Khyber pass) ▲발로치스탄주의 퀘타(Quetta), 데라 북티(Dera Bugti) 등은 외국인 여행제한 지역이므로 이 지역에 들어갈 경우에는 파키스탄 내무무의 사전 허가가 필요합니다. 외국인 여행제한 지역 명단은 링크 참고 바랍니다.


(군시설 촬영 금지) 항만, 다리, 철도, 공항, 군 시설등의 사진 찰영은 보안상의 이유로 엄격히 금지되어 있습니다. 과거 외국인 관광객이 라왈핀디에서 군사시설 부근을 촬영하여 현지 경찰이 구속한 사례도 있습니다.

   

(마약류, 골동품, 총기류 소지 금지) 파키스탄 정부는 마약류 소지, 판매 등에 관여되면 범죄자로 규정하고 벌금과 함께 최소 2년 금고형부터 종신형, 사형을 구형하고 있으며 외국인에도 같이 적용하고 있습니다. 불상 등 골동품의 국외 반출도 법률로 금지하고 있고, 이를 위반하면 물품을 압수하고 물품가의 2배 이하 액수에 상응하는 벌금을 부과합니다. 총기류 불법 소지 또한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으며, 위반할때에는 7년 이상의 징역과 벌금이 부과됩니다.


(출입국 관련 법령 준수) 파키스탄 입국 시 체류 목적별 입국비자가 필요하므로, 반드시 사전에 입국 비자를 신청, 발급받아야 합니다(파키스탄 e-Visa). 아울러, 발급된 비자에 허용된 체류 일수를 준수해주시기 바라며, 체류자격 변경이나 기간 연장을 희망하면 심사 기간(1~3개월)을 고려하여 사전에 신청하시기를 권해드립니다. 만약 부여된 체류 기간을 도과하여 체류시, 출국허가(Exit permit)신청과 도과 기간에 따른 범칙금을 납부 후 출국할 수 있습니다.


  - (입국거부 사례 및 통관 관련) 파키스탄 입국시 ▲유효한 여권, 비자가 없거나 ▲정신이상자, ▲전염병 보균자, ▲외국에서 강제송환 판결받은 사실이 확인되는 경우 입국 거부될 수 있으며, 반입 허용 외화 한도 및 휴대품 통관 제도는 우리 대사관 게시판을 참고바랍니다.



<파키스탄에서 주요 사건사고 발생 유형 및 대처 방안>


■ 테러 및 정세 불안


  파키스탄은 알카에다 및 탈레반의 주요 활동 지역으로 지목된 KP주 아프간 접경지역과 발로치스탄해방군의 주요 활동지역인 발로치스탄주에 정부군의 대대적인 소탕작전 전개한 바 있고, 대항 테러 단체의 자폭 테러 등 보복행위로 치안 사정이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습니다. 또한, 정쟁에 따른 정치적 불안상황이 가중되어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잦은 과격 시위가 발생하고, 최근 경제난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중파경제회랑(CPEC) 사업비 부채 문제가 지목되면서 동아시아인을 대상으로 테러도 발생하고 있습니니다.


(대처방안) 테러 사고의 경우, 불특정 다수를 겨냥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다중밀집시설이용이나 군중이 운집한 장소 방문을 특히 유의하여야 합니다. 현지 뉴스와 우리 대사관 안전공지를 주시하며 방문 예정인 지역의 치안 및 위험 정보를 항상 확인하고, 테러의 목표가 될 가능성이 있는 주요 정부 시설이나 군부대, 경찰, 종교관련 시설, 쇼핑몰, 공항, 기차역 등 다중밀집시설에 가급적 접근을 자제하시기 바랍니다.


  - (폭발물 의심물품 또는 차량 발견시) 절대 손대지 말고 신속히 대피 후 경찰에 신고하고, 폭발물 반대 방향 비상계단을 이용하여 건물 밖으로 탈출합니다.


  - (폭발 소리가 들리거나 폭발 직후) 폭발음이 들리면 즉시 바닥에 엎드리고, 양팔과 팔꿈치를 붙여 가슴을 보호하고 귀와 머리를 손으로 감싸 머리를 보호합니다. 폭발이 종료되어도 후속 및 연쇄 폭발 가능성이 있으므로 좀 더 엎드려 있다가 폭발지점 반대 방향으로 신속히 대피합니다.


  - (사람들에게 돌진하는 차량 발견 시) 차량 주행과 직각 방향으로 회피하고 해당 지역을 벗어나 경찰에 신고합니다. 신속 탈출이 불가능할 경우 테러법으로부터 시야가 차단되는 엄폐물 뒤에 숨습니다(2차 테러 방지).


  - (다중이용시설에서 테러) 테러 발생 지점 반대 방향으로 대피하되, 밀폐된 장소에서는 미리 파악한 비상구로 대피합니다. 대피가 어려울 경우 은․ 엄폐하고, 다수의 사람이 운집한 장소는 테러 공격 대상이 되기 쉬우니 군중과 섞이지 않도록 군중 반대 방향이나 주변 안전시설로 대피합니다.


  - (총기 테러) 총소리가 들린 반대 방향으로 벽면을 따라 대피하고, 테러범의 시야에서 벗어난 곳에 몸을 숨깁니다. 테러범과 불가피 대치하게 될 상황에서는 주변 사람들과 힘을 합쳐 주변 기물을 이용해서 대항하되, 테러범을 먼저 자극하지 않도록 합니다.


■ 도난 및 절도, 강도


  파키스탄 주요 도시에서는 일부 범죄자가 여행객을 대상으로 자택 숙박제공, 저렴한 호텔 소개, 관광 안내 제공 등의 감언이설로 접근하여 상대방을 안심시킨 후 강도, 사기 등을 저지르는 범죄가 발생한 바 있습니다.


(주요 도난, 절도, 강도 피해 예시)

  - 외국인 여행자를 안심시켜, 약물을 투입한 음료를 마시게 한 후 의식을 잃은 사이에 금품을 빼앗아 도주

  - 택시 합승, 버스, 상점 등에서 소란한 틈을 타 소매치기

  - 위장 경찰관이 여행자들의 여권 및 소지품을 검사하는 척하며 현금과 귀중품을 빼앗아 도주

  - 은행, 상점 등에 강도 습격 사건이나, 주차된 차량에 접근하여 총기, 흉기 등으로 위협 후 금품갈취


(대처방안) 외출할 때에는 항상 주위를 경계하고 여권이나 귀중품을 항상 몸 가까이 휴대하며 만일의 경우를 대비해 긴급연락처를 항상 소지합니다. 지나치게 호의를 베푸는 현지인 대신 호텔 등에 부탁해 검증된 가이드를 구하기를 권해드리며, 본인의 행선지를 지인이나 주변 사람들에게 알려두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동할때는 낯선 사람의 차량에 동승하거나 홀로 거리를 활보하게 되면 범죄의 표적이 될 수 있으므로 특히 주의합니다.


  - (강도 범죄 피해 발생시) 불행히 강도를 마주하였을 때, 안전을 최우선 대응해주시기 바랍니다. 금품 요구에 머뭇거리거나 저항할 때 큰 위험에 처할 수 있습니다. 피해 발생 후 경찰에 즉시 신고를 하고 경찰 조서(최초정보보고서, FIR)을 작성하는 한편, 우리 대사관으로 연락하여 영사 조력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우리 대사관은 경찰에 공정하고 신속한 수사를 촉구하고 신변 안전 확보를 위한 지원을 요청합니다.


  - (절도 범죄 피해 발생시) 절도 피해 발생시에도 경찰에 신고 후 경찰 조서(최초정보보고서, FIR)를 작성하여 우리 대사관으로 알려주시면, 공정하고 신속한 수사 촉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다만, 현지의 후진적 행정으로 범죄자 검거에 장기간 시일이 소요될 수 있으며 실제 검거사례는 매우 적습니다. 또한 운좋게 범인을 검거하더라도 재판 등 절차를 진행하게 되므로 절도 범죄 예방에 신경 써 주시기 바랍니다.


■ 자연재해


  파키스탄은 히말라야 조산대에 포함되어 있어 아프간 접경지역 및 북부 산악지역에서 지진이 빈번한 편이고, 여름철 폭염으로 인해 일일 최고 섭씨 50도를 넘는 지역도 있습니다. 또한, 7~9월경 열대 몬순 기간에는 집중호우에 따른 홍수, 지반 침하, 산사태로 인한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기후변화로 인해 북부 산악지역의 빙하가 녹으면서 홍수 피해를 가중하고 있습니다.


(대처방안) 홍수 피해 예방을 위해 상습 침수지역 방문을 자제하고 산사태 발생이 빈번한 북부 산악지역 주요 관광지 방문 때 ▲사전에 대피장소 확인 ▲통신 상태 유지 및 비상 연락처 소지 ▲방송, 인터넷 등을 통해 기상 예보 주시하는 등 재난 대비 행동 요령을 숙지해주시기 바랍니다.


■ 질병


(수인성 질병) 파키스탄은 전국적으로 상·하수도 정비가 되어있지 않고 주요 수원에 바이러스나 아메바성 세균, 기생충란 등이 혼입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수질 상태가 대체로 불량합니다. 또한 정수를 거치더라도 수질 자체의 석회 함량 비율이 높고 수도관 노후화로 녹물이 나오는 경우가 많아 수돗물은 음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 (대처 방안) 수돗물을 마시는 것은 권장하지 않으며, 호텔, 식당에서 등에서 제공되는 식수도 만족할만한 위생처리가 되어있지 않은 경우가 많아 가급적 생수를 구매하여 음용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호텔이나 식당에서 제공되는 샐러드류나 얼음을 섭취시 현지 수돗물을 사용하여 배탈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전염성 질병) 현지에서 유행하는 전염성 질병으로는 콜레라, 이질, 장티푸스 외에 세균성 식중독, 바이러스성 간염(A형, E형), 바이러스성 위장염 등이 있습니다. 또한 파상풍, 광견병, 모기로 인한 말라리아, 뎅기열 등도 빈발합니다.


   - (대처 방안) 긴급 상황에 대비한 상비약을 충분히 구비하시고. 관련 질병에 대한 예방 접종등의 조치를 취해주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모기로 인한 질병 예방을 위해 모기 기피제, 살충제를 충분히 활용하시기를 권해드립니다.


■ 교통


  파키스탄은 영연방국가와 같이 자동차 운전석 위치가 우측입니다. 대중교통이나 교통법규가 정비되지 않은 편이며, 차선이 협소하거나 비포장도로가 많고 운전자들도 차선 미준수, 역주행, 난폭운전, 주행 중 휴대전화 이용으로 인한 비정상적 주행도 빈번합니다. 차량 추월 및 주행 차선에서 후방 차량이 상향등을 깜빡거리거나 경적을 자주 울리기도 합니다.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경찰의 현장 출동이 원활하지 않아 가벼운 사고는 상호 협의로 해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비교적 국내 항공노선은 발달하여 있는 편이나, 항공기 기체가 노후하고 갑작스런 결항, 지연이 잦습니다. 철도와 도로도 정비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안전사고 발생 우려가 있으며 치안이 불안해 장거리 이동을 권해드리지 않습니다. 택시는 비교적 대로변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으며 가격은 거리에 따라 다르나 국내보다 크게 저렴한 편이며, 탑승전에 미리 가격 흥정을 하거나 우버와 같은 차량호출 서비스(Careem, Indrive, Yango) 이용도 가능합니다.


(대처 방안) 한국과 파키스탄은 국제운전면허증 사용 협정 미체결 국가로, 장기 체류자의 경우 현지 운전면허증 취득 절차가 필요합니다. 단기 여행시에는 현지인 운전기사를 포함한 차량 렌트도 비용이 저렴한 편이어서 렌터카 이용을 권해드리고, 대중교통 이용은 안전상의 사유로 가급적 이용을 지양하시되, 불가피하게 탑승시 안전에 유의하시고 지연이나 운행 취소 상황에 대비하여 여유있는 일정을 계획하시기 바랍니다. 자가 운전시에는 규정 속도를 유지하시고 주변을 잘 살피시고, 목적지 경로를 충분히 숙지하기 바랍니다.



<현지에서 사건사고 피해시 주요 연락처>


ㅇ 파키스탄 긴급신고 전화


범죄신고: 15(전국 공통)

응급의료: 115(전국 공통)

- 화재신고: 16(전국 공통), 구급차 11-22, (NGO 운영) CHIPPA : 1212, EDHI : 115

- 항공편 문의: 114(전국 공통)

- 철도편 문의: 117(전국 공통)

- 전화번호문의: 1217(전국 공통)


ㅇ 국내 소방청 재외국민 응급의료상담서비스 안내

- 전화: +82-44-320-0119

- 이메일: central119ems@korea.kr

- 인터넷: http://119.go.kr

- 카카오톡플러스 ‘소방청 응급의료 상담서비스’ 검색 후 추가


ㅇ 영사콜센터 (서울, 24시간 운영)

- 영어, 중국어, 일본어, 베트남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가능

- 유료 서비스(전화), +82-2-3210-0404

- 영사콜센터 무료전화 앱


ㅇ 파키스탄 현지 의료기관(병원) 목록

  ※ 병원 내 한국어 가능 의료진이 없으므로 영사콜센터 통역 서비스와 병행 이용 권장


- 이슬라마바드

  Shifa International Hospital (Pitras Bukhari Road, Sector H-8/4)

  Kulsum International Hospital (Kulsum Plaza, 2020 Jinnah Ave G 6/2, Blue Area)


- 라왈핀디

  Quaid-e-Azam International Hospital (Peshawar Road, H-13)


- 라호르

  PKLI (30 E-1 Gulberg III, Near Gaddafi Stadium)


- 페샤와르

  Shifa International Hospital Peshawar (Phase 3 Chowk, Hayatabad)


- 신드주(카라치)

  Aga Khan Hospital (National stadium road)

  South City Hospital (St-1, shahrah-e-firdousi, Block3 Clifton)

  OMI Hospital (89/1 Depoot Lines, M,A Jinnah Road Saddar)

  Ziauddin Hospital (4/B shahrah-e-Ghalib road Block 6 Clifton)

  Jinnah Hospital (Rafiqui, Sarwar shaheed Road, Karachi)

  ALTAMASH (ST-9 St, Block 1 Clifton)

  Liaquat National Hospital (National Stadium Road, Block18, Gulshan-e-Iqbal)


ㅇ 긴급환자 국내 이송(에어 앰뷸런스) 업체


- 플라잉 닥터스(+82-2-360-2525), Air SOS(민항기*, 전용기이송 +82-2-6408-1182)

   ※ 민항기 이용의 경우 스트레쳐 서비스(일반 좌석 위에 스트레쳐 카트를 설치하는 방식) 이용 가능



- 2024.6.3. 최초 게시


/끝/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