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요 경제지표
ㅇ (GDP 성장률 전망) 4.22. IMF는 미국 관세부과의 영향, 무역 긴장 고조 등을 고려하여 파키스탄 성장률 전망치를 2.6%로 하향 조정함.
ㅇ (소비자물가지수) 파키스탄통계청(Pakistan Bureau of Statistics)은 2025.4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0.3%로 감소했다고 밝힘.
‘24.4 | ‘24.5 | ‘24.6 | ‘24.7 | ‘24.8 | ‘24.9 | ‘24.10 | ‘24.11 | ‘24.12 | ‘25.1 | ‘25.2 | ‘25.3 | ‘25.4 |
17.3 | 11.8 | 12.6 | 11.1 | 9.6 | 6.9 | 7.2 | 4.9 | 4.1 | 2.4 | 1.5 | 0.7 | 0.3 |
ㅇ (경상수지) 2025.4월 1,200만 달러의 경상수지 흑자를 기록했으며, 수출 확대를 위한 원자재 수입 규제를 완화하면서 3월(12억 달러) 대비 흑자 폭이 감소함.
- 상품 및 서비스 수출액 33.3억 달러(전년 동월 대비 1% 증가), 수입액 61.4억 달러(전년 동월 대비 15.3% 증가), 해외근로자 송금액 31.8억 달러 (전년 동월 대비 13.1% 증가) 등
ㅇ (외환) 4.30. 외환보유고 102.6억 달러, 루피/달러 환율 280.97을 기록함.
ㅇ (시장평가) 4.15 신용평가기관 Fitch는 파키스탄의 외화 신용등급을 CCC+에서 B0로 상향 조정하며, 파키스탄의 재정적자 축소, 구조적 개혁 노력, IMF 프로그램의 성과 등을 반영했다고 발표함.
2. 대외 금융지원
ㅇ (쿠웨이트) 4.17. 쿠웨이트는 파키스탄에 대한 석유 신용 지원제도(Oil Credit Facility)를 2년 더 연장하였으며, 이에 대해 주재국은 IMF의 70억 구제금융으로 경제가 안정되어 채무 불이행 위험이 사라졌기 때문이라고 발표함.
* 일반적으로 쿠웨이트는 파키스탄에 대해 1년씩 연장을 승인
ㅇ (세계은행) 4.29. 세계은행은 카이버파크툰크와 농촌 접근성 프로젝트 7,800만 달러, 통합 관광 개발 프로젝트 3,000만 달러 자금지원을 승인함,
- 프로젝트를 통해 ▴주요 농촌 도로 인프라 복구, ▴건강 및 교육 등 필수서비스 접근성 개선, ▴기후·경제적 회복력 강화, ▴지역사회 일자리 창출, ▴관광 산업과 공공부분 관계자 기술지원 및 역량강화 등을 추진 예정
3. 재정
ㅇ (국채 발행) 4.10. 정부는 국채(Pakistan Investment Bond) 발행을 통해 4,270억 루피를 조달했으며, 이 중 2,476억 루피를 10년물로 조달하여 장기적 재정 안정을 모색한바, 이는 인플레이션 하락 및 금리안정에 대한 자신감을 반영한 것으로 평가함.
ㅇ (국내 면화 판매세 면제) 4.8. 정부는 IMF 승인을 전제로, 국내산 면화·면사·무염천에 부과되는 18%의 판매세를 철폐하기로 합의함.
- 현재 수입산 면화·면사·무염천은 수출촉진제도(Export Facilitation Scheme)에 따라 면세 혜택을 받고 가공되어 재수출
ㅇ (부동산 거래 연방소비세 폐지 검토) 4.24. 국세청(FBR)은 부동산 거래에 부과되던 특별소비세(Federal Excise Duty) 폐지를 위해 공식 요청서를 연방 내각에 제출하였으며, 총리실이 긍정적 검토를 하고 있으며 IMF도 반대하지 않았다고 보도함.
4. 물류·연결성
ㅇ (카이버패스 경제회랑 입찰 개시) 4.7. 국가고속도로청(NHA)는 카이버 패스 경제 회랑(Khyber Pass Economic Corridor)의 일환으로 페샤와르-토르캄 연결구간(48km)에 대해 4차선 고속도로 건설 사업 입찰을 개시함.
- 동 회랑은 파키스탄-아프간-중앙아를 연결하는 중앙아시아 지역 경제협력의 일부로, 완공될 경우 현 24시간 개방 중인 토르캄 국경의 교통량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ㅇ (Maersk 항만 투자) 4.9. 덴마크계 기업 A.P. 몰러-머스크(Maersk)는 파키스탄에 20억 달러 투자 계획을 발표하고 항만 부문에 관심을 표명하였으며, Sharif 총리는 신속한 협정 체결을 위해 실무그룹 구성을 지시하고, 파키스탄의 지정학적 가치를 활용하여 국제 물류·교역의 중심지로 발돋움할 것을 강조함.
ㅇ (하이데라바드-수쿠르 고속도로 프로젝트 속행 지시) 4.9. 상원의원 기획개발 위원회는 다른 도로 사업을 즉시 중단하고 하이데라바드-수쿠르 고속도로 사업 최우선 착공할 것을 지시함.
- M6 고속도로는 중-파 경제회랑(CPEC)의 핵심 구간이나 카라치-하이데라바드 구간은 6년간 지연되고 있으며, 민관협력(PPP) 프로젝트 계약자의 재원확보 실패로 NHA는 2024년 프로젝트를 취소한 바 있으며, 현재도 입찰 제안서 관련 행정적 혼선 지속
- Abdul Aleem Khan 통신부 장관은 4.22. NHA 회의를 주재하며 올해 20억 달러 규모의 수쿠르-하이데라바드 고속도로(M6)과 카라치-하이데라바드 고속도로(M9)를 착공 예정이라고 발표
ㅇ (아프간 무역 협상) 4.18. 파키스탄은 아프간과의 고위급 무역 및 투자 회담을 재개하고, ▴토르캄 국경의 24시간 개방, ▴양국 간 대형 차량 통행 허용, ▴은행 보증 허용, ▴국경무역의 포괄적 체계 수립 등을 논의함.
ㅇ (쿤제랍패스* 연중 개방 개시) 4.23. 중-파 경제회랑(CPEC)의 핵심 관문인 쿤제랍패스의 연중개방이 공식적으로 시작되었으며, 길기트발티스탄州정부 및 중국 신장자치구 관계자는 동 조치가 CPEC 및 지역 협력의 이정표이며,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라고 평가함.
* 해발 15,500피트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국경도로이며, 그간 1985년 중국과 체결된 협정에 따라 4~11월까지만 개방되었으나 2023년 연중 개방에 합의
ㅇ (파-카자흐스탄 경유무역협정 체결) 4.29. 파키스탄과 카자흐스탄은 카라치, 빈카심, 과다르 항구를 통한 경유무역협정(Transit Trade Accord)을 체결하고, 다른 내륙국과 무역 회랑 개설 추진을 위해 협력할 것을 합의함.
5. 광업
ㅇ (에너지 개발 성과) 4.3. 파키스탄 석유가스공사(ODGCL)는 신드州 Chak #2-2 유정에서 석유 및 가스 생산 재개에 성공하였으며, 마리에너지유한회사(Mari Energy Ltd.)는 카이버파크툰크와州 Spinwam-1 탐사정에서 가스 및 콘덴세이트를 발견함.
ㅇ (Reko Diq 광산) 4.10. Reko Diq 구리-금 채굴 프로젝트에 세계은행은 3억 달러 규모의 자금을 대출할 예정이며, 프로젝트 공동 소유주인 베릭골드(Barrick Gold)는 이를 포함, 국제 대출기관으로부터 총 20억 달러 이상의 자금을 조달할 예정임.
6. 민영화 추진
ㅇ (파키스탄국제항공 흑자전환) 4.9. 파키스탄국제항공(PIA)는 2024년 39억 루피의 영업이익과 22억 6천만 루피의 순이익을 기록하였으며, 이는 21년 만의 흑자 달성임.
* 루즈벨트 호텔은 뉴욕시와 3년간 임대계약(~2026.6)을 체결하여 난민 보호소로 운영되고 있었으며, PIA의 주요 수입원이었으나 뉴욕시의 보호소 폐쇄 계획에 따라 매각 및 재개발 등의 방안 검토 중
ㅇ (파키스탄국제항공 입찰 모집) 4.25. PIA 매각을 위한 입찰 모집이 시작되었으며, 정부는 6.3까지 인수 관심표명서(EOI)를 신청받고 10-12월 사이 입찰을 진행할 예정임.
- 정부는 항공기 구매·임대 시 GST 면제, 재무구조 개선 지원, 특정 세금 및 소송 위험 보장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입찰 요건을 완화하는 등 매각을 위해 다각도로 노력
7. 기타
ㅇ (암호회폐) 4.7 재무부는 파키스탄 암호화폐 협의회(PCC)의 전략고문으로 바이낸스의 창립자인 Changpeng Zhao를 임명했다고 발표하였으며, 4.8. Nawaz Sharif PML-N 대표와 Maryam Nawas 펀잡 州총리는 동인과 회동하고 파키스탄의 디지털 경제 미래와 신흥 기술에 대해 논의함.
ㅇ (가상자산 규제) 4.10. 파키스탄은 가상자산과 가상자산 서비스 제공자 규제를 위한 정책 프레임워크를 개발했으며, 이는 국제 금융 규범을 준수하고 책임 있는 디지털 혁신 촉진에 있어 큰 진전이라고 발표함.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