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 핀란드 에너지청정대기연구센터(CREA) "`25년 상반기 대만의 러 나프타 수입액은 13억 불로 최대 수입국" (10.1, Kommersant)
- 특히 대만 민간 석유화학기업(Formosa Petrochemical)은 `22년 9%에 불과했던 러 나프타 의존성이 `25년 상반기 90%에 육박
ㅇ `25.4분기 초 루블화 강세(81루블) 전환 요인 : 수출업자의 단기대출 상환차 외화 과잉공급, 중국 공휴일로 인한 수입업자의 외화 수요 감소 등 (10.2, Kommersant)
- 전문가 "상기 요인은 단기적이며, 7-10일 뒤 점차 약세로 돌아설 전망"
ㅇ 정부, 상품 라벨링 신규 수수료 부과 및 수입금은 전자산업 육성에 활용 계획 (10.2, Vedomosti)
- 수수료는 라벨링 시스템상 상품 유통 정보 기입 시 부과될 예정이며, 세율과 부과 범위는 미정
ㅇ 러-카자흐 국경에서 러시아향 중국발 화물차 수천 대 적체 (10.2, Kommersant)
- 9월 중순부터 이중용도물자 및 회색수입에 대한 단속 강화 여파이며, 일부 화물이 중-러 또는 중-몽-러 검문소로 우회될 가능성
ㅇ 산업통상부, 택시용 차량모델 명단(Lada, Sollers, UAZ, Evolute, Voyah, 모스크비치) 초안 공개 (10.1, Kommersant)
- 전문가 "고도로 현지화된 일부 외국산 차량(Haval, Solaris)이 누락되어 있으나, 차기 개정판에 포함될 가능성"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