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주재국 정보

사우디아라비아 개관

  1. 주재국 정보
  2. 사우디아라비아 개관
  • 글자크기

기본정보

작성자
주사우디아라비아대사관
작성일
2023-01-19

1. 기본 현황


  o 국명 : 사우디아라비아 왕국 (Kingdom of Saudi Arabia)

           ※ 사우디 왕국 선포일(국경일) : 1932.9.23.


  o 수도 : 리야드 (인구 약 750만명) 


  o 면적 : 약 215만㎢ (한반도의 약 10배)


  o 인구 : 약 3,546만명(‘21.4. IMF)  * 총 인구 중 외국인 비율 35% 


  o 기후 : 고온건조한 대륙성 기후 (연 평균 섭씨 32-24도/ 최고 54도, 최저 0도)


  o 종족 : 아랍족 (베두윈족 27%, 기타 아랍정착민 73%)


  o 공용어 : 아랍어 (영어 통용)


  o 종교 : 이슬람교 (수니파 90%, 시아파 10%)


  o 정부형태 : 이슬람군주국 (정교일치의 국왕중심제)

    - 국왕이 총리를 겸직하는 것이 일반적 

        * 호칭 : 성스러운 두 성지의 수호자  (Custodian of the Two Holy Mosques) 

    - 다만,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 사우드 현 국왕은 2022.9월 모하메드 빈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 사우드 왕세자를 총리에 임명


  o 의회 : 없음. 유사기관으로 국정자문회의 (Majlis Ashura)


  o 정당 : 없음. 


  o 주요 경제지표 (2021년 기준) 

    - 명목GDP : 8,335.4억불 (Worldbank)

    - 1인당 명목GDP : 23,585.9불 (Worldbank)

    - 경제성장률 : 3.2%, ‘22년 전망 7.6% (IMF)

    - 인플레이션 : 3.1%, ‘22년 전망 2.5% (IMF)

    - 실업률: 전체 7.4%, 사우디인 11.0% (GASTAT)

    - 화폐 : The Saudi Riyal(SAR) (1US$=3.75SAR(고정환율)

    - 교역현황(GASTAT): 총 4,290억불

      • 수   출: 2,762억불 (10,357억리얄) 

       * 수출액 중 석유비중: 73.2%, 非석유 수출액 740억불이며, 3대 교역국: 중국(18.4%), 일본(9.9%), 인도

  

      • 수   입: 1,528.5억불 (5,732억리얄) 

    - 주요자원(BP 세계에너지자원통계 2021)

      • 원유 매장량 : 2,975억 배럴(세계 2위, 점유율 : 17.2%)

      • 천연가스 매장량 :  6조㎥(세계 8위, 점유율 :  3.2%)  * 내수 전용 



2. 자연환경


 1) 지정학적 위치


  o 사우디아라비아는 아라비아 반도의 4/5를 차지하고 있으며, 동쪽으로 걸프만, 서쪽으로 홍해와 인접해 있다. 인접국가로 북쪽으로는 요르단, 이라크, 쿠웨이트, 동쪽으로는 카타르, 아랍에미리트, 남동으로는 오만, 남쪽으로는 예멘과 접해 있다. 또한 서쪽으로는 홍해를 사이에 두고 이집트, 수단, 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와 인접해 있다.


  o 국토의 대부분이 사막지대로 토양은 척박하며, 내륙지방은 혹서 기후로 극도로 건조하며, 해안지방은 습한 기후가 병존한다.


  11 122

>> 사막지대


 2) 지형 특색


  o 헤자즈(Hejaz)

    - 요르단의 아카바(Aqaba) 만과 메디나(Medina) 사이에 뻗쳐 있는 해안 지방으로 헤자즈 동부는 강우량이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농경지역이 형성되어 있다.


  o 아시르(Asir)

    - 티하마(Tihama)라 불리는 홍해연안 평야중 북위 20도 이남의 좁게 뻗은 다습한 고원지역(해발 1,500m, 연간 강우량 150-300㎜)으로 농경지로의 개발이 가능하다.

    - 산악 지형의 자연경관을 이용, 예멘과 접경한 아시르 주를 관광 지역으로 개발하기 위해 정책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o 나지드(Najd)

    - 수도 리야드 주변의 아라비아 반도 중심부를 말하며, 오아시스 농경지역으로 유명하다. 석유 수입의 증대로 인해 많은 인구가 도시로 몰리고 있다.


  o 룹 알-칼리(Rub'al-Khali)

    - 오만 및 예멘과 접하고 있는 남부 사막지역으로 면적이 50만㎢에 달하는 세계 최대의 사막중 하나이며, ‘The Empty Quarter’ 라고도 불린다.


  o 하사(Hasa)

    - 오만의 무산담(Musandam) 반도와 샤트 알-아랍만(Shatt Al-Arab, 이란, 이라크 및 쿠웨이트 연결) 사이에 뻗쳐 있는 해발 200m 이하의 해안지방으로(사우디 내에서는 쿠웨이트와 카타르 사이의 해안지방 의미), 대량의 석유자원이 매장된 지역이다.


  o 나푸드(Nafud)

    - 사우디에서 가장 건조한 사막으로 북부(요르단 인접지역)에 위치하며, 여름기온이 49℃에 달하나 겨울에는 서리가 내릴 정도로 기온이 낮다.


 3) 기후와 강우량


  o 아열대 고기압 지대의 영향을 받아 남서부지방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불볕더위이며, 강우량이 미미한 전형적인 사막형 기후이다. 여름과 겨울의 기온차가 크며, 대륙성 기후의 영향을 받아 밤낮의 기온차도 심하다.


  o 기온

    - 홍해연안 : 아열대성 기후로 여름에는 고온다습하고, 겨울(11-12월)에는 따뜻하며 간혹 비가 내린다.

    - 중부 및 북부 내륙지방 : 사막성 기후로 기온은 연평균 32-38℃이고 최고기온은 48℃이다. 여름은 건조하고 더우나 겨울에는 0℃까지 내려간다. 대륙성 기후 영향으로 여름에 해가 지면 서늘하고, 때때로 강한 북동풍이 불어 많은 먼지와 모래바람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다.

    - 동부 걸프연안 : 열대성 기후로 연중 무더위가 계속되며, 여름에는 때때로 기온이 43℃ 이상까지 올라간다. 


 4) 민족구성


  o 토착민인 아랍인(65%) 외에 인도, 파키스탄, 필리핀, 방글라데시 등에서 온 제3국인(35%)으로 구성되어 있다.


 5) 주요도시


  o 리야드(Riyadh)

    - 최근 도시인구가 급증한 인구 약 750만명의 사우디의 정치 및 행정수도이다.

25

>> 리야드(출처: Al Arabiya)


  o 젯다(Jeddah)

    - 인구 약 400만명의 사우디 최대의 상업 항구 도시이다. 홍해에 면해 있어 전통적으로 리야드보다 개방적인 문화를 가지고 있다.

    - 매년 약 수백만명의 성지 순례객이 항공 및 선박편을 이용하여 젯다를 통해 입출국하고 있다.

77
>> 젯다(출처: Al Arabiya)


  o 담맘(Dammam)

    - 동부해안에 위치한 유전, 군사도시이자 젯다에 이은 사우디 제2의 무역항이다.

    - 담맘은 인구 약 120만명의 사우디 동부 최대의 도시로, 주변도시 알-코바르(Al-Khobar), 다흐란(Dhahran) 등과 함께 대도시권을 형성한다.  

88
>> 담맘 항(출처: Arab News)


  o 메카(Mekkah)

    - 이슬람의 창시자 무함마드가 태어나고 알라의 계시를 받아 이슬람을 전파하기 시작한 곳으로, 이슬람 최대의 성소인 카바 신전이 위치해 있다. 


  o 메디나(Medina)

    - 선지자 무함마드가 초기 무슬림들과 함께 메카 지배세력의 박해를 피해 이주한 도시로, 이슬람 제2의 사원인 선지자 무함마드 사원이 위치해 있다.

999                  ++66
                                                       >> 메카(출처: Arab News)                                   >> 메디나(출처: Arab News)


  o 타이프(Ta'if)

    - 메카에서 100km 남동쪽 해발 1,879m에 위치한 도시로 사우디 왕실의 많은 휴양지가 위치해 있다.

77                 56858
    >> 타이프의 아름다운 자연경관 및 국왕별장(출처: Arab News)


 6) 종교


  o 국민의 대부분이 이슬람 교리에 따른 엄격하고 검소한 종교생활을 하고 있으며, 이슬람 순니파(90%)가 대부분이나 동부지역 등을 중심으로 일부 시아파(10%)도 존재한다.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