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정세와 정책

사업관련문의

  1. 정세와 정책
  2. 사이버기업서비스
  3. 사업관련문의
  • 글자크기
글 제목 앞에 자물쇠 표시가 있는 것은 민원인이 비공개로 질의하고 답변을 수령한 글로 글쓴이 외에 이용자가 열람하실 수 없습니다. 그리고 글 등재 시 개인정보(주민번호, 여권번호 등)가 포함되면 글자가 깨져보이고 등재가 되지 않으니 이 점 참고해 이용바랍니다.

[ 답변완료 ]무역 관련 질의

답변부서명
주수단대사관
답변자
주수단대사관
연락처
이메일
captlee114@hotmail.com
안녕하세요,

비즈니스 문의, 사업 파트너 소개, 시장 조사 및 기업 조사 등은 KOTRA 수단 비즈니스 센터에서 담당하고 있습니다. KOTRA 수단 사무소의 연락처는 아래와 같습니다.

TEL +249-183-498845/14 | FAX +249-183-498860 | EMAIL ysk911@kotra.or.kr

http://www.kotra.or.kr

다만, 최근 수단 설탕 관련 동향을 아래 게재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수단 국회, 정부의 국유설탕공장 민영화 반대

ㅇ 수단 국회는 5.24.(금), 공기업 민영화를 통한 정부의 재정·경제적 부담 경감책의 일환으로 정부가 국유 설탕공장 매각을 추진하는 것에 반대한다고 밝힘.
* 수단 정부는 Aljunied, Halfa Al-Gadida, Asalaya 및 Sinnar 등 4개의 설탕공장의 지분 70%를 민간에 매각하고, 나머지 30%만 국가가 보유하는 계획을 수립한 바 있음.
ㅇ 수단 국회 내 에너지·광물·산업 위원회의 Omer Adam Rahma 위원장은, 설탕분야의 민영화는 종사원 해고, 문제 해결을 위한 작금의 노력을 훼손하는 등의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함.
- Rahama 위원장은 5.24. 배포된 발표문에서, 설탕공장은 국민들의 소유이므로, 국민의 권익을 지켜나가는 방법으로 다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함.
- 또한, 설탕공장들이 당면한 문제는 자금 부족이라면서, 정부가 현지화 및 외화로 자금을 조성해 줄 것을 요구함.
ㅇ 반면, 수단 산업부(Ministry of Industry)의 Abd Al-Wahab Osman 장관은 공기업 민영화는 효율성을 증진하고 종사원들에 대한 처우를 개선하는 주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음.
ㅇ 이와 관련, 수단 전문가들은, 설탕공장 민영화는 공장 주변에 형성된 소도시 등 사회적 구조를 파괴할 수도 있으므로, 민영화를 통해 새로운 공장 3개를 추가로 건설하기 보다는 기존의 4개 공장을 개·보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시함.
ㅇ 수단은 아프리카에서 남아공, 이집트에 이어 주요 설탕생산국으로서 설탕은 국가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다대하고 국민들이 가장 선호하는 식품 중 하나임. 그러나 연간 소요량 약 45만톤 중 40여만톤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 수단 정부는 2014년까지 설탕을 자급하고, 오히려 해외로 수출한다는 계획 하에, 2012.4월 White Nile Sugar를 설립하고, 초기년도에 우선 15만톤을 생산할 것이라고 발표한 바 있음.


귀하의 사업이 번창하시길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무역 관련 질의

작성자
이우복
이메일
wbgrain.lee@samsung.com
작성일
2013-07-16
조회수
259
안녕하십니까? 저는 삼성물산 식량자원파트 이우복부장입니다. 한국산/태국산 설탕을 수단으로 수출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으며, 수단의 설탕 수입제도, 시장현황 등 조사하는데 도움을 부탁드립니다. - 설탕 등 식품/곡물류 수입에 대한 일반적인 제도, 수입사업 개황 등 - 유력한 수입업체 소개 * 수단 설탕 수급(2011년 기준, 만톤) .생산 72, 수입 67, 소비 102 (주요 수입국 : 태국 14, 인도 20)
* 답변 완료의 경우, 삭제가 불가합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