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최근 캐나다 이민정책 동향 및 2019~21년 향후 계획

작성자
주 캐나다 대사관
작성일
2019-01-02


 

I. 캐나다 이민 정책 동향 및 향후 계획

 

II. 상세내용 : 캐나다 Ahmed Hussen 이민장관은 2017년 이민통계와 향후 2019-21년 이민 수용 계획을 골자로 하는2018년 이민정책 보고서를 아래와 같은 내용으로 의회에 제출함.

              캐나다는 이민법 제94조에 따라, 이민부는 매년 111(혹은 이전) 당해 이민정책을 종합하고, 향후 이민 수용 계획을 포함하는 연례 보고서를 의회에 제출(금년 제출일 10.31)

 

1. 2019-2021년 이민수용 계획

 

(신규 이민자 확대 수용) 캐나다 내 신규 이민자 규모를 향후 3년간 약 100만명 수용을 목표로 201933만명, 202034만명, 212135만명 등 지속적으로 확대 수용할 계획임.

- 캐나다는 이민.다문화 선도국으로 인구 5명중 1명이 이민자(2016년 인구조사 통계)이며, 1990년 이래 총 6백만명의 이민자를 수용해 온바, 이러한 개방적 이민정책을 바탕으로 매해 수용 인원을 확대하여 2020년부터는 전체 인구의 1%까지 수용 예정

* 캐나다에서 유일하게 연방정부 이민제도와 별도로 자체 이민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퀘벡주의 경우는 새 보수정부가 들어서면서 2019년 이민수용 규모를 전년 대비 25% 감소시킬 계획인 것으로 발표

(경제이민 확대) 이민자는 그룹은 크게 경제이민, 가족이민, 난민 3부류로 구분되며, 캐 정부는 저출산 고령화 시대, 노동력부족에 대응하기 위해 이중 경제이민 비율을 2020년까지 전체 신규 이민자 중 60%까지 확대할 계획임.

- 캐나다에서 노동인구가 지속적으로 부족한 시장은 보건, 과학, 특수기능직, 교통, 중장비기사 등

- 2017-18년 캐나다 인구증가의 80%가 외부 이민자 유입에 기인

(유학생 및 외국인 근로자 이민 장려) 캐 정부는 캐나다에서 교육받은 유학생, 이미 취업 경험이 있는 외국인 근로자 특히 전문.특수 기능 인력의 경우 언어능력, 경력 등 캐나다 사회와 노동시장에 바로 적응할 준비와 자격을 갖춘 최상의 이민 후보들인 바, 이들의 영주권 취득을 정책적으로 지원하는 등 국내 정착을 위한 유치 노력을 지속할 계획임.

 

- 캐나다 대학 졸업자에게는 이민심사 시 가산점을 부여하는 바, 2017년 이민대상 선발자 중 36%가 캐나다 학위 소지자

* 매니토바주의 경우는 주 내에서 1년만 수학한 경우도 이민신청 자격부여

- 캐나다 유학생들은 학업 중에도 취업할 수 있는 바, 2017년 한해동안 유학생 332,000명에게 취업 허가, 졸업생 114,000에게 졸업생 취업비자 발급

 

- 2017년 이민자중 유학생 출신(9,410)과 취업비자 소지자(49,557)의 수가 전년 대비 4배 이상 증가

2. 2017년 이민동향 요지

 

총 이민자 286,479명으로 확대 수용

- 경제이민 159,262(56%), 가족이민 82,470(29%), 난민 44,747(16%)

 

10대 이민 송출국(185개국에서 이민 접수)

- 인도(18%), 필리핀(14%), 중국(11%), 시리아(4%), 미국(3%), 파키스탄(3%), 프랑스(2%), 나이지리아(2%), 영국(2%), 이라크(2%) 순으로 2017년 전체 이민자의 61%가 상기 10개국 출신

한국(1.4%)13(3,975)

 

<우리 국민의 연도별 캐나다 이민자수 추이>

단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캐나다 전체 이민자수

260,786

266,180

254,885

260,404

271,845

296,346

286,479

한국인 이민자수

4,573

5,308

4,509

4,463

4,091

4,010

3,975

순위

12

10

10

10

11

12

13

 

 

임시 외국인 근로자 및 유학생 확대 수용

- 임시 외국인 근로자(Temporary Foreign Workers, TFW) 78,788, 국제이동프로그램(International Mobility Program, IMP) 224,033명 수용

한국인 임시 근로자는 TFW 1,895(7), IMP 9,985(6)로 상위 10위권 규모인 바, 단순 노동직으로 들어오는 TFW 보다는 한-FTA 등을 통해 활성화된 인적교류 프로그램인 IMP로 들어오는 고급 전문인력이 매년 증가하고 있음(전년(8,275) 대비 21%(1,710) 증가 등).

- 유학생 비자 발급수는 총 317,328명으로 전년(265,111) 대비 52,217(20%) 증가(캐나다 경제에서 유학생이 차지하는 비중 연간 150억불)

2017년 한국 유학생 비자 신규 발급수는 16,725명으로 중국, 인도에 이어 3(전년 대비 5% 증가)

2017.12월 현재 누적 유학생수는 중국 140,530, 인도 123,940, 한국 23,050명으로 3대 규모 지속 유지

 

(Global Skills Strategy 제도 신설) 정보산업(IT) 분야 등 필요한 외국 전문 인력을 바로 국내로 영입하기 위해 취업허가를 신청일부터 2주만에 초고속으로 발급하는 프로그램 신설(동 제도 이전에는 6개월 이상 소요)

- 또한, 고급전문인력(highly-skilled workers)의 경우는 30일 이하, 연구원의 경우 120일 이하 까지는 취업비자 면제해 주는 프로그램 신설

 

(주정부 이민 확대) 주마다 상이한 산업특성과 필요 노동인력을 고려, 캐나다 연방정부는 1996년부터 각 주정부 차원에서 선호직종, 선발기준, 자격요건 등을 설정하여 자체적으로 이민자를 선발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하고, 연방 정부 이민 쿼터에서 일부를 나누어 각 주에 할당해 왔음.

 

- 매년 주정부의 요구와 필요 증가로 주정부 이민 쿼터를 증가해 온 바, 2017년에는 약 5만 여명이 주정부 이민으로 영주권을 취득(1996233명 대비 역대 최고치 기록)

 

(대서양 연안 동부 4개주 이민 프로젝트) 대서양 연안 동부 4개주(뉴펀들랜드, 프린스에드워드 아일랜드, 노바스코샤, 뉴브런스위크)의 노동인구부족, 인구고령화에 대처하기 위해, 상기 4개주에는 정해진 주정부 쿼터 외에 매년 2,000명 이상 추가로 할당키로 함.

 

- 대서양 이민 프로젝트(New Atlantic Immigration Pilot Program)는 이민자들이 온타리오주, BC, 퀘벡주 등 특정주에 편향적으로 몰리는 현상을 막고 동부 지역 등 전지역으로 골고루 분포될 수 있도록 2017년부터 향후 3년간 한시적으로 추진 예정

 

- 1997년에는 상기 3개주에 경제이민자의 90%가 몰렸으나, 2017년에는 66%로 감소, 편향 현상이 어느 정도 완화되고 있는 추세

 

(부모.조부모 초청 제도, 동반자녀 연령 조정 등 가족이민 개선) 2017년에 신청 대기자를 신속 처리, 대기 숫자를 전년 대비 21%까지 감소시켰고, 로또식 추첨 방식에서 기존 선착순 신청방식으로 전환

- 이민 시 동반 가능한 자녀의 연령을 확대 조정(1821세로)

 

3. 캐나다 이민자 특징

 

(캐나다가 선호하는 직업군) 2017년 총 이민자중 경제이민이 전체 비율 56%로 가장 많으며, 5대 이민 직업군은 정보시스템분석/컨설팅,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컴퓨터 프로그래머 및 인터랙티브 미디어 개발자, 금융감사/회계사, 행정직임.

 

(캐나다 주류 사회에 성공적으로 통합)

- 2017.10~2018.6월 영주권에서 시민권으로 전환한 수가 전년 동기 대비 130% 증가함. 이민자의 93%가 캐나다에 강한 소속감을 지닌다고 대답(2013년 설문조사)

- 201625-64세 이민자중 50%가 대졸 이상임(캐나다 출신은 25% 미만).

- 대졸 비율 또한, 이민가정 자녀는 41%, 캐나다 출신 부모를 둔 자녀의 경우는 24%로 이민자녀가 2배 높음.

- 2016년 통계로 자원봉사 활동에 참여하는 이민자 비율은 32%, 사회단체에 참여 비율은 61%로 캐나다 출신과 비슷한 수준이며, 투표참여율 또한 대등한 수준임.

 

(남녀 이민자 성기반 분석(GBA+) 비교)

 

남성 이민자

여성 이민자

이민 후 고용 처음 1

평균수입(2014)

$56,000

$32,000

지난 3년간 연간 수입 인상액

$12,000

$3,000

주신청자 비율

사업이민

78%

22%

연방 전문인력 이민

64%

36%

캐나다 경력이민

65%

35%

연방 특수기술 이민

64%

36%

가사도우미

6%

94%

주정부 이민

64%

36%

* 소수 유색계 여성 이민자들이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점을 지적, 연방 이민부는 이들의 취업, 소득안정을 지원하는 새 프로그램을 운영, 향후 3년에 걸쳐 7백만불 지원할 계획

 

(이민자 노동시장 투입현황) 2017년 캐나다 노동인구(25~54) 통계상, 이민한지 10년 혹은 그 이상 되는 이민자와 캐나다 출신을 비교했을 때 비슷한 수준(86.9% vs. 88.4%)

 

- 전체 이민자들의 평균수입은 이민한지 12년이 경과한 후 캐나다 평균에 도달하는 편이며, , 캐나다 경력이민, 주정부 이민으로 이민한 경우는 1년 안에 캐나다 평균을 초월하기도 하는 바, 캐나다 경제에 이민자의 기여가 상당히 중요

 

- 이전에는 온타리오주(토론토), 브리티시콜럼비아주(밴쿠버), 퀘벡주(몬트리올) 등 특정주에만 이민자가 몰렸으나, 최근에는 매니토바주, 알버타주, 사스캐츄완주 등 중서부주, 대서양 동부주 등 전국 각 지역으로 과거에 비해 어느 정도 고르게 배분되고 있는 추세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