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1. 건국 및 정부수립 지원

  • 1947.11.14. 제2차 유엔총회, 유엔 한국임시위원단(UNTCOK) 감시하 통일정부 수립을 위한 자유총선 실시 결의 채택
  • 1948.12.12 제3차 유엔총회, UNTCOK의 보고를 승인하고 대한민국 정부가 한국민의 정당한 선거를 통하여 수립된 유일한 합법정부임을 인정하는 요지의 결의 제195(Ⅲ)호를 압도적 다수로 채택

2. 한국전쟁 당시 유엔의 지원

  • 1950.6.25 안보리, 북한의 남침을 평화의 파괴로 규정, 북한에 대한 즉각 정전 및 철군요구 결의 채택
  • 1950.6.27 안보리, 침략격퇴와 평화회복을 위해 필요한 원조를 각 회원국에 권고하는 결의 채택 ※ 유엔사상 유일하게 유엔군을 파견한 군사적 강제조치
  • 1950.10.7 제5차 유엔총회, 한국전역의 안전상황 확보, 통일정부수립을 위한 총선실시 촉구 및 유엔 한국통일부흥위원단(UNCURK) 설치 결의 채택
  • 1953.8.28. 제7차 유엔총회, 정전협정 체결 승인 결의 채택

3. 남・북한의 유엔가입

  • 한국은 1949년이래 한국 단독명의로 5회, 우방국 주도로 5회 가입을 시도하였으나 무산
  • 북한은 1949년이래 북한명의로 2회, 소련제출 결의안으로 2회 가입을 시도하였으나 무산
  • 1991년 제46차 총회 개막일인 9.17 남・북한 동시 유엔가입 실현

4. 유엔 안보리 진출

  • 1995.11.8 실시된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선거에서 한국은1996-97 임기의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에 선출
    • 안보리 이사국으로서 한국은 주요 국제분쟁 해결을 위한 안보리 토의에 건설적으로 기여하였으며, 특히 97.5월 안보리 의장국으로서 난민문제에 관한 공개토의를 주도하고 관련 의장성명을 채택케 함으로써 냉전 종식 후 주요 국제 문제로 대두된 난민문제에 대한 국제적 관심제고에 큰 역할 수행
  • 우리나라는 2012.10.18(뉴욕 시간) 2013-2014년도 임기의 비상임이사국에 재진출
    •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두번째 진출에 성공한 우리나라는 2013-2014년 안보리의 이사국으로서 국제평화와 안보 유지를 위한 유엔의 노력에 주도적으로 참여
    • 특히, 2013.2월 안보리 의장국으로서, “무력분쟁하 민간인 보호”에 관한 공개토의(open debate)를 주도하고, 의장성명을 채택함으로써, 국제사회 전반의 관심을 제고하고 민간인 보호 문제 대응의 규범 및 제도화 증진에 기여
    • 아울러, 2014.5월에는 두 번째 안보리 의장국을 맡아, 안보리 결의 1540호(비국가 행위자의 대량살상무기 확산 방지) 채택 10주년 기념 “대량살상무기 비확산”에 관한 안보리 공개토의(5.7)를 개최하고, 의장성명을 채택함으로써, 비확산 분야 국제규범 강화에 기여

5. 제56차 유엔총회의장 수임

  • 제56차 총회(2001.9월~2002.9월) 의장으로 한국의 한승수 당시 외교통상부 장관이 선출
  • 제56차 유엔총회는 9.11 테러로 인해 회의일정 대부분이 재조정되고, 테러에 대한 대처가 유엔의 가장 중요한 의제로 대두되는 등 종래와는 전혀 다른 특수상황 속에서 개최되었으며, 총회의장은 이러한 상황 속에서 효과적인 리더십 발휘

6. 유엔사무총장 배출

  • 2006.10.13 유엔총회는 한국의 반기문 당시 외교통상부 장관을 8대 유엔사무총장으로 추천한 안보리 결의(1715호)에 따라 동인을 사무총장으로 임명하는 총회결의(61/3)를 만장일치로 채택 ※ 반기문 사무총장은 아시아인으로서는 제3대 우탄트 사무총장 이래 두 번째로 유엔사무총장에 임명
  •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2011.6.21(화) 유엔 총회에서 안보리 15개 이사국 및 5개 지역그룹 등 사실상 전체 192개 유엔 회원국의 압도적인 지지 하에 2012-2016 년간 연임이 확정되었으며, 2012.1월부터 제2기 임기 개시, 2016.12.31 임기 종료

7. 유엔에 대한 재정적 기여

  • 2022년 현재 한국의 유엔 정규분담률은 2.574%로써 193개 회원국 중 9위이며, PKO 분담률 역시 전체 9위 수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