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정책

앙골라 정세

  1. 정책
  2. 앙골라 정세
  • 글자크기

앙골라 주요 동향(5.20-6.25)

작성자
주 앙골라 대사관
작성일
2025-06-25



앙골라 주요 동향(5.20-6.25)



1. 대외관계 동향


【 제17차 미국-아프리카 비즈니스 포럼 개최


 6.22-25간 앙골라 루안다에서 제17차 미국-아프리카 비즈니스 포럼이 개최됨.


※ △주앙 로렌쑤 앙골라 대통령 △난디-은다이트와 나미비아 대통령 △Duma Gideon 보츠와나 대통령 △Taye Selassie 에티오피아 대통령 △Brice Nguema 가봉 대통령 △Félix Tshisekedi 민주콩고 대통령 △Robert Mambé 코트디부아르 총리 △Gervais Ndirakobuca 부룬디 총리 △Nthomeng Majara 레소토 부총리 △Akinwumi Adesina AfDB 총재 등 참석


※ 미국측은 △Troy Fitrell 미 국무부 아프리카국 고위관료 △Massad Boulos 아프리카·아랍·중동 담당 수석고문 △Thomas R. Hardy 미국 무역개발청 정책프로그램관리국장 등 참석


 로렌쑤 앙골라 대통령은 아프리카의 잠재력을 실현하기 위해 물류 회랑 구축과 역내 공통 규범을 통한 대륙 통합이 필요하다고 언급하며, 국제 금융기관의 공정한 신용 조건 마련을 촉구함. 또한 아프리카는 단순 자본이 아닌, 주권을 존중하고 현지 인력 고용 및 교육, 지식 이전, 일자리 창출이 가능한 동반자적 협력을 원한다고 강조함.


o 시대의 변화는 원조 중심 사고에서 벗어나 야망과 민간 투자 중심의 접근으로 전환할 필요성을 보여줌. 식민 경험이 없는 미국은 아프리카와 협력해 식량 및 에너지 위기 해결에 기여할 수 있음.


o Fitrell 美 고위관료는 미측이 Lobito 회랑 확장 및 투자 유치 촉진을 위한 50억 미불 상당의 추가 자금을 유치하고 투자자를 확보하는 과정에 있음을 밝힘.


 한편, 상호 관세와 관련해서는 동 관세 조치가 아직 시행되지 않았음을 상기하면서, 다수 아프리카 국가들이 보다 균형 있고 상호 호혜적이며 투명한 대안을 제시해왔다고 언급함.


 Tamara Maxwell 미국 수출입은행 총재는 수출입은행이 아프리카 내 프로젝트 지원에 가용한 자금이 총 1,350억 미불에 달하나, 현재까지 약 350억 미불만 사용되었다며, 분명한 수익이 예상되는 프로젝트가 있다면 지원할 것인바 언제든지 적극적으로 제안할 것을 독려함.


 금번 행사에는 총 490개의 앙골라 기업과 73명의 美 기업인들이 참여하였음. Florizelle Liser 아프리카 기업위원(CCA) 회장은 금번 포럼에서 다양한 양해각서 및 금용지원 프로그램들이 논의되었다고 밝힘.


※ 금번 美-아프리카 비즈니스 서밋 계기 체결 약정

- (투자협정) Cybastion社(미국 디지털 회사)와 Angola Telecom社 간 170백만 미불 규모)

- (MOU) △식량 저장을 위한 저장 시설 22기 건설 파트너십 △국경을 초월한 협력사업 협력 △앙골라에서 민주콩고로의 에너지 수송 위한 Mitrelli Group社(이스라엘 회사)와 Hydro-Link社(미국 회사)간 15억 미불 규모 MOU △Lobito 회랑 10억 미불 투자 유치 위한 Mitrelli Group社와 앙골라 국부펀트(FSDEA)간 1억 미불 규모 MOU 등

- (금융지원 프로그램) 아프리카 내 중소기업을 위한 금용지원 프로그램 / 인공지능, 사이버 보안, 의료기기 생산, 도시 혁신 분야 협력


【 앙골라 대통령 외교 일정


 로렌쑤 앙골라 대통령은 5.20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최된 제78차 세계보건총회에 참석하여 세계보건기구(WHO) 글로벌 투자 펀드 프로그램(Global Investment Fund)에 800만 미불 기여 약속을 발표하였음.


 이어 로렌쑤 대통령은 5.22-24간 브라질 수도 브라질리아를 공식 방문하고, △룰라 브라질 대통령과 양자회담 △브라질 국회 방문 △양국 대표단 간 회담 △공식 오찬 △MOU 4건 체결* △언론 발표 △농산업 회의 참석 △비즈니스 포럼 등의 일정을 가짐


※ MOU 4건(△인권 분야 협력 △브라질 국영석유공사 Petrobras와 앙골라 국영석유공사 Sonangol 간 R&D 협력 △Petrobras와 앙골라 석유․가스․바이오연료 관리청(ANPG)간 MOU △브라질 연방경찰과 앙골라 경찰청간 MOU)


 한편, Vladimir Tararov 주앙골라러시아대사는 최근 로렌쑤 대통령의 금년 중 러시아 방문을 양국이 협의하였다고 밝힘.


【 앙골라 외교장관, FOCAC 성과 이행을 위한 장관회의에 참석


 떼뜨 안토니우 앙골라 외교장관은 6.10-12간 창사市에 개최된 중국 아프리카 협력 포럼(FOCAC) 성과 이행을 위한 장관회의에 참석하여 왕이 중국 외교부장과 면담, 제4차 중국-아프리카 경제무역박람회(CAETE) 참석, 협력협정 2건 (중국 의료진 파견, 경제 협력) 등을 체결함.


o 안토니오 장관은 중국 외교장관과 면당을 통해 '하나의 중국' 원칙을 확고히 지지하며, 대만 독립 시도에 반대하고, 중국의 국가통일 노력을 지지한다고 하였으며, 왕이 부장은 앙골라가 선택한 발전 경로를 존중하고 국제사회에서의 앙골라 역할을 지지함.


o 이어 양측은 내정 불간섭 원칙을 재확인하고, 인권 문제의 정치화 및 외부 간섭에 반대, 일방적 제재, 관세 장벽, 기술 봉쇄, 패권주의와 일방주의에 반대를 표명하는 한편, 중국의 일대일로, 글로벌 발전, 안보, 문명 이니셔티브에 공동 협력하기로 함.


【 로렌쑤 대통령, 인터뷰에서 외부 중재에 의존하는 아프리카 정상들 비판


 6.9 진행된 앙골라 공영방송 TPA와의 인터뷰에서 로렌쑤 대통령은 아프리카 대륙 내 분쟁 해결을 위해 외부 중재에 의존하는 아프리카 정상들을 비판하였으며, 민주콩고 분쟁에서 미국과 카타르의 중재 노력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진전이 없었음을 언급함. 또한 아프리카 내부의 접근을 무시하고 외부에서 해결책을 모색한 점에 대해 유감을 표명하고, 이는 아프리카 연합이 아무런 가치도 없다고 말하는 것과 다름없음.


2.  국내·경제 동향


【 앙골라, 유럽연합 고위험국가 목록에 포함


 6.10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자금세탁 및 테러자금조달 방지를 위한 국제기준 미이행을 이유로 앙골라를 포함한 10개국을 고위험 목록에 포함한바, 이는 작년 10월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의 ‘강화된 관찰대상국 명단’에 앙골라가 등재된 것을 바탕으로 함.


o 이에 따라 EU 금융기관은 앙골라와의 금융거래 시 강화된 고객확인의무를 적용해야 하며, 앙골라-EU 은행 간 거래, 자금 이체, 외국인 투자 유치 등에서 제약 예상


【 영국, 중국을 제치고 처음으로 앙골라 최대 채권국으로 기록


 Expansao紙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기준, 앙골라의 총 외채 (약 486억 3,230만 미불) 중 31%(약 150억 8,590만 미불)는 유로본드(Eurobond) 투자 형태로 영국에 대한 채무이고, 29%(약 140억 6,400만 미불)는 중국과의 양자 차관으로 분석 됨


【 옥스퍼드 이코노믹스, 앙골라 성장률을 1.6%로 조정


 옥스퍼드 이코노믹스는 2025년 앙골라의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9%에서 1.6%로 하향 조정함하였으며, 이는 국내총생산(GDP)의 25%, 정부 수입의 50% 이상, 수출의 약 90%를 차지하는 석유 생산이 6.6% 감소할 예상으로임.


o 한편, ENI 및 Azule Energy의 신규 프로젝트와 최대 600억 미불 규모의 향후 투자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함.


【 앙골라 인구 47% 식수 부족, 72% 오염수 섭취


 앙골라 통계청, 보건부, 국제금융공사(IF), 세계은행의 2023–2024년 다지표조사(IIMS)에 따르면, 앙골라 인구의 47%가 식수에 접근하지 못하고, 72%는 오염된 물을 소비함. 전체 가구 중 70%만 개선된 수원을 사용하며, 57% 미만이 주거지 인근에서 물이 없어 물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끝/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