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브라질정보

경제

  1. 브라질정보
  2. 경제
  • 글자크기

가이아나 유전개발 동향

작성자
주 브라질 대사관
작성일
2023-08-04

아래 내용은 주재국 정부와 기관 발표 및 당지 언론에 보도된 사항을 정리한 것이며, 주브라질대사관의 입장을 반영한 것은 아님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가이아나 유전개발 현황

 

. 매장량(추정치) 및 생산량


'15년 미국 엑슨모빌(ExxonMobil)사의 Stabroek 광구 원유 발견 이후, 가이아나는 중남미 신흥 산유국으로서 부상, '19년부터 본격적으로 원유를 생산수출하고 있음

 - 가이아나의 석유 매장량(추정)은 약110억 배럴로 세계 17위 수준이며 이는 브라질(세계 15, 153억 배럴)보다는 적은 규모이나 멕시코, 앙골라보다는 많은 수준


현재, 액슨모빌 이외에 유수의 해외 석유 회사들도 추가 유정 탐사를 진행 중이며, 가이아나 정부는 현재 일 3~40만 배럴 수준의 생산량을 지속 확, '27년 이후부터 하루 120만배럴 생산량을 정점으로 동 수준에서 생산량을 유지할 예정임

 * 원유 생산량(전망치) : ('20) 12b/d ('22) 38b/d (’24) 56b/d (‘26) 72b/d (‘27년 이후) 120b/d 생산 예정


. 광구


상기 Stabroek 광구 이외에도 Corentyne(CGX Energy, 캐나다), Orinduik(Tullow Oil, 영국) Kanuku(Repsol, 스페인) 등 광구의 개발이 진행중임

 - 상기 업체 이외에 중국, 캐나다, 인도 및 브라질 국적의 다수의 석유업체들이 해상 광구 탐사 진행 중


한편, 상기 해양 광구 이외에 다수의 외국계 석유회사들은 육상 광구도 탐사 중이며 특히, 베네수엘라와 접경지인 Esequibo 유전지대는 베네수엘라와 영토 분쟁 중이나 최근 ICJ가 동 분쟁이 ICJ의 강제 관할권이 성립한다고 결정한바, 사법적 해결의 가능성이 열린 상태임

 

. 유질 및 유전의 경제성

가이아나 유전지대는 베네수엘라 및 트리니다드 토바고의 유전지대와는 완전히 별개의 유전으로 유질은 최상급 경유(High Quality)로 추출 비용 뿐 아니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어 국제 시장에서 고가로 거래되어, 개발에 따른 경제성도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됨

 * Stabroek 해상 광구 특성(고품질 경질유(API 32.0, 0.58%)), field(Liza-1, Liza-2, Payara, Yellowtail 36), 면적(6.6백만 acre), 확인 매장량(110억 배럴)

 

2. 유전개발 관련 가이아나 경제전망 및 정부 정책

 

. 가이아나 경제전망


가이아나는 과거 식민지 이래 금, , 설탕 등을 주로 자원과 농산물 수출에 의존하던 남미의 개도국이었으나 석유 수출이 본격화된 2020년 이후 연 성장률 30% 수준의 고도 성장률을 시현하고 있음

 * 가이아나의 경제성장률(추정): (‘18) 3.4% (’19) 5.8 (‘20) 43.5 (’21) 20.1 (‘22) 62.3 (’23) 37.2 (‘23) 45.3%

 ** 특히,‘20-22년간 연평균 40%를 상회하는 경제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IMF에 따르면 가이아나는 ‘23년에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른 경제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며, '22-27년간 연평균 성장률 또한 29%에 이를 것으로 추정


한편, 가이아나의 인구는 약 80만명 수준에 불과(2022년 추정치)한바, 원유가 본격 생산된 이후 1인당 소득 또한 크게 증가하고 있어, 향후 소비시장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 1인당 GDP(US$) : (‘18) 4,984 (’20) 6,953 (‘22) 18,745 (’24) 23,856


유전개발 이후 가이아나 무역 규모 또한 '1838.6억불에서 '21112.5억불로 급격히 확대되고 있으며, 원유 인프라 분야에 대한 외국인 투자도 '1812.3억불에서 '2243.9억불로 크게 증가하는 등 향후 높은 수준의 경제성장을 지속할 가능성이 높음

 * 가이아나는 원유, , , 알루미늄광 등 원자재를 수출하고 부유식플랜트(FPSO) 설비, 석유, 밸브류, 중장비, 차량 등 원유개발 관련 자본재를 수입하는 교역구조

 ** 해외직접투자(FDI 규모(억불)) : (‘18) 12.3 (’19) 17.0 (‘20) 20.6 (’21) 44.5 (‘22) 43.9

 

. 유전개발 이후 가이아나 정부 정책 동향


가이아나 정부는 '19년에 원유생산자의 원유 판매 이익금을 재원으로 국부펀드(NRF)를 설치하였으며, 국부펀드를 활용하여 국가 핵심산업 육성, 인프라 구축, 교육, 보건 등 사회복지 및 경제 발전을 추진 중임

 - 가이아나의 국부펀드(NRF, Natural Resources Fund)는 중앙은행(BoG)이 운영 주체로서, 중앙은행은 원유생산업체들과의 생산분배계약(PSA)을 통해 Profit Oil(석유 판매액의 50%) 로열티(석유 판매액의 10%)를 재원으로 마련하고 있으며 노르웨이 등 북유럽 국부펀드와 같이 원금이 아닌 동 펀드의 투자 수익금을 상기 인프라 투자 및 공공 예산에 활용하는 방식

 * 펀드 규모 전망(년도말 기준, 백만불, IMF) : (‘21) 608 (‘22) 1,447 (‘23) 2,305 (‘24) 3,776 (‘25) 7,851 (‘26) 14,228 (‘27) 21,142


한편, 가이아나 정부는 국부펀드를 활용한 다양한 공공 인프라 투자 확대에 대비, 관련 국내 법령들을 정비하고 있음

 - 인프라 정부조달 사업에 대비 'Local Content' 법을 제정('21.12), 자국의 재화용역을 우선 사용하여 자국 기업이 개발 혜택을 누리도록 요구하는 한편, 상기 국부펀드 법을 개정('21.12)하여 투명하고 신속한 펀드 집행을 시행하고 있으며, '22.7'저탄소 발전전략(LCDS) 2030'을 수립하고 탄소 배출을 상쇄하고자 저탄소 경제 촉진, 그린 에너지원 개발, 기후변화 완화 프로젝트 등 사업 추진 중

 * 가이아나 정부는‘30년까지 온실가스 70% 감축 목표를 설정하였으며, 가이아나는 산림부문 탄소 19.5백만톤 감축 잠재량을 보유(연간 40-50백만불 탄소 credit 규모)하고 있으며, 파리협약상 국가감축목표(NDC) 미제출 대상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Green State Development Strategy(GSDS) 비전 2040’을 마련하여 노르웨이 정부와 프로젝트 협력 진행중

 

3. 가이아나 유전개발 관련 진출 기회  


(희망 투자 분야) 가이아나 정부는 지속 가능한 경제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현재의 석유 중심 경제체제의 한계를 인식하고 있는바, 유전개발에 따른 국부펀드를 활용, 향후 에너지 전환 및 저탄소 친환경 경제구조 구축을 위해 인프라 투자를 확충할 예정임

 - 이를 위해 녹색 산업 뿐 아니라 농업, 관광 등 여타 분야로의 투자 확산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특히, 스마트 시티, 도로, 항만 등 물류 인프라 구축에 우리 기업 등 외국의 투자 및 진출을 희망

 

<가이아나 투자 희망 분야>

  

 

(국가 프로젝트) 가이아나 정부는 '23년 예산으로 에너지, 건설, 농업, 인프라 등 15개 대형 국책 사업 등을 추진중에 있음.

 

<'23년 추진 인프라 구축 사업(예산 반영 15개 사업)>


(에너지) Wales Development ZoneNGL 플랜트 및 300MW 가스터빈 복합화력 발전소 건설(433억불), Amaila 폭포 수력발전 프로젝트 재개 (15억불), Kumu 1.5MW 수력발전 건설, Moco-Moco 700KW 수력발전 플랜트 복구 및 업그레이드, 33MW 태양광 시스템 및 BESS 설치(Onderneeming(5MW), Charity(3MW), Trafalgar(4MW), Prospect(3MW), Hamphsire(3MW), Block 37(4MW), Retrieve(8MW), Dacoura(3MW))


(인프라 건설) 가이아나-Surinam 연결 Corentyne 강 다리 건설, Linden-Mabura Hill 도로 및 동 구간의 45개 콘크리트 다리 건설 (119억불), Palmyra-Crabwood CreekCorentyne 고속도로 확장 및 개선 공사 (277억불), 동해안 도로 고속도로(Sheriff street-Orange Nassau-Mahaica River 다리) 및 동해안 고속도로(Belfield-Orange Nassau) 업그레이드, Hope Canal 2번째 다리 건설 (166억불), Prospect-Timehri간 동부간선도로 업그레이드 (41억불), Ogle-Eccles간 동해안-동부간선도로간 연결도로 건설 (103억불), Meer-Zorgen-Schoonord(1단계) Schoonord-Crane(2단계) 고속도로 건설, Wksmar 교량(Demerara 강 최초 다리) 건설 (52억불) '27년까지 10개 부유식플랜트(FPSO) 구매 예상


(농업) Albion 패키징 공장건설 및 Blairmont 패캐징 공장 증설 (40억불), Crabwood Cree /Orealla 신규 농산물가공 시설 및 Bartica 저온 저장시설 건설

 

(기타) Amaila fall 수력발전소, Silica 스마트 도시 건설 등 에너지, 도로, 항만 등 전반적인 국가 인프라 구축을 활발히 추진중, 노르웨이 개발협력청과 태양열 발전 등 협력중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