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체코 국내정세 동향

  1. 뉴스
  2. 체코 국내정세 동향
  • 글자크기

2024.1.15(월)~2024.2.2(금)간 주재국 주​요 언론 동향

작성자
주 체코 대사관
작성일
2024-02-02

체코 주간 정세 동향

2024.2.2.(), 주체코대사관


라쿠샨 장관우크라이나 난민 임시 보호 조치 논의 필요성 제기

 

ㅇ 라쿠샨(Vit Rakusan) 내무부 장관은 EU 이사회 법무내무장관 비공식 회의(1.24-26) 참석 중 1.25(가진 언론 인터뷰에서 25.3월 이후 우크라이나인 임시 보호 조치* 문제에 대해 EU 회원국들 간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라면서아래 언급함.

 

* EU 회원국들은 23.9월 우크라이나인 임시 보호 조치(22.3월부 시행 우크라이나 난민들에게 의료보험교육고용 기회 등 제공)를 25.3월까지 연장하기로 합의

 

우크라이나 내무부 장관과 상기 사안에 대해 논의하기를 희망함가능한 많은 우크라이나 국민들이 귀국하는 것은 ’ 측의 이익에도 부합하는바임시 보호 조치를 무기한 연장하는 것은 그 누구에게도 이득이 되지 않음.

 

동 조치는 2년 전 최초 시행되었을 당시 (난민 보호라는목적에 부합하게 잘 작동하였으나체코 유입 난민 구성을 살펴보면 여성과 어린이보다는 전쟁 피해가 심하지 않은 서우크라이나 지역의 남성이 많아 시행 초기와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음.

 

아울러체코에 체류 중인 우크라이나 난민의 절반이 체코에 계속 머무르기를 희망한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해당 난민들에 대해 일반적인 난민 수용 절차를 적용할 수 없는바, EU 차원의 해결책에 기반한 새로운 접근방법을 마련해야 함.

 

해적당 전당대회 결과 바르토쉬 디지털화 부총리당 대표 연임

 

ㅇ 해적당은 2025년 총선에 대비한 당 지도부 구성을 위한 전당대회(congress)를 1.13(개최하고바르토쉬(Ivan Bartos) 디지털화 부총리 겸 지역개발부 장관을 당 대표로 재선출하였으며하원 의석수 40(득표율 15%) 확보를 2025년 총선 목표로 설정함.

 

※ 바르토쉬 부총리는 2009년 해적당 입당 이래 당 부대표(2009) 및 당 대표(2009-2014, 2016-현재)로 활동 중이며이번 당 대표 재선을 통해 체코 사상 가장 오랜 기간(13당 대표직을 유지한 정치인으로 기록

 

아울러당 대표 이외 지도부를 구성하는 부대표 4* 전원이 여성 당원으로 선출되었으며이는 체코 정치에서 전례 없는 독특한 상황으로 평가.

 

그레고로바(Marketa Gregorova), 코츠마노바(Klara Kocmanova), 레이트네로바(Jana Holomcik Leitnerova), 미하일리두(Dominika Pozivilova Michailidu)

 

피알라(Petr Fiala) 총리(ODS 소속)를 포함한 연정 참여 정당 대표들은 해적당의 상기 전당대회 결과를 축하하고향후 국정운영 과정에서 상호 협력을 지속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언급함.

 

주재국 언론(CTK )은 진보적 성향의 그레고로바가 아닌 보수적 성향의 바르토쉬가 당 대표로 선출된 것은 바르토쉬가 이끄는 해적당이 연정 참여를 통해 주요 정치 무대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고해적당이 진보성향으로 더욱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당원들의 의사가 반영된 것으로 평가함.

 

. KDU-CSL 전국대회 결과 유레츠카 노동부 장관당 대표직 유지 결정

 

ㅇ KDU-CSL은 1.26(전국대회(national conference)에서 당 대표인 유레츠카(Marian Jurecka) 노동부 장관에 대한 신임투표*를 실시하였으며동 장관의 당 대표직을 전당대회(10.18-19)까지 유지하기로 결정.

 

유레츠카 장관은 프라하 총격 사건 당일(23.12.21) 크리스마스 파티를 개최하였으며사건 발생 이후에도 파티를 중단하지 않은 바 있음이에 대한 국내 비판 여론이 고조되고당 내부적으로도 당 대표직 박탈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KDU-CSL은 금번 신임투표를 실시함. (투표 결과 (신임) 46표 (불신임) 26표 (기권) 12)

 

유레츠카 장관은 10월 전당대회까지 KDU-CSL의 지지율 하락이 지속되고 주요 선거(유럽의회 선거지방 및 상원 선거)에서 좋은 결과를 거두지 못한다면추후 당 대표에 출마하지 않겠다고 언급함.

 

피알라(Petr Fiala) 총리는 KDU-CSL 측의 상기 결정이 연정의 안정적인 국정운영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하면서동 장관이 연금 개혁 등 그간 노동사회 부문에서 많은 성과를 거둔 바 있다고 언급함.

 

리파브스키 외교장관, EU 외교장관 회의(1.22) 참석

 

ㅇ 리파브스키(Jan Lipavsky) 외교장관은 1.22() EU 외교장관 회의에 참석하여 우크라이나 지원 러 제재 중동 문제에 대해 논의하고, NATO 사무총장과 금년도 NATO 회의 개최 계획에 대해 협의하였음.

 

(우크라이나 지원) 우크라이나와 EU 회원국의 안보는 상호 밀접하게 연관되어있는 만큼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속적인 군사재정 지원이 중요함.

 

(러 제재) 체코는 러시아 외교관의 쉥겐 국가 이동을 제한할 것을 제안하였으며해당 제안이 제13차 러 제재에 반영되도록 노력할 예정임.

 

(중동 문제) 체코는 하마스가 23.10월 자행한 이스라엘에 대한 공격을 규탄하며가자지구에 억류된 이스라엘 인질들의 신속한 석방을 촉구함아울러예멘 후티 반군의 홍해 민간 선박 공격에 대응하는 EU의 해군 투입 작전을 지지함.

 

(NATO 회의 계획 논의) 옌스 스톨텐베르그(Jens Stoltenberg) NATO 사무총장과의 회담에서 NATO 비공식 외교장관회의(24.5월 프라하 개최 예정)와 NATO 정상회의(24.7월 워싱턴 개최 예정)의 개최일을 재확인.

 

리파브스키 외교장관튀르키예의 스웨덴 NATO 가입 승인 환영

 

ㅇ 리파브스키 외교장관은 1.24(자신의 SNS X(舊 트위터계정 게시물을 통해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이 1.23(스웨덴 NATO 가입 비준안에 서명한 것을 환영하며스웨덴의 가입 절차가 신속히 완료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힘.

 

아울러동 장관은 스웨덴의 NATO 가입이 NATO의 역량 강화뿐만 아니라 유럽 전체의 안보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는 점을 (스웨덴의 가입 승인 절차를 완료하지 않은마지막 회원국(헝가리)에게 확신시키는 데에 곧 성공할 것이라고 언급함.

 

2. 경제 동향 美 Onsemi-체코 정부체코 내 투자 가능성 논의

 

ㅇ 엘 코우리(Hassane El-Khoury) 美 반도체 기업 Onsemi CEO는 1.22(프라하를 방문체코 정부 관계자와 로슈노프 포트 라드호슈템 지역 공장에 대한 20억 달러 규모의 투자 가능성을 논의.

 

- Onsemi는 체코 정부의 투자 인센티브 신청을 준비 중인 한편한국과 미국 공장에 대한 투자 가능성도 여전히 고려 중으로동 투자 계획은 수개월 내 결정될 예정임.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