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앤티가바부다 개황

작성자
주도미니카공화국대사관
작성일
2017-07-07

 1. 전체 개관

가. 약황

• 국 명 : 앤티가바부다(Antigua and Barbuda)
• 인 구 : 9.3만명(2016)
• 인종구성 : 대부분 아프리카계 흑인, 기타 유럽 및 레바논, 시리아계 소수
• 면 적 : 443㎢ (서울의 70%)
• 수 도 : Saint John's(수도인구 약 2.2만명)
• 언 어 : 영어(공용어)와 지방방언
• 종 교 : 성공회, 개신교, 카톨릭
• 정 부 : 내각책임제
• 국가원수 : 영국여왕 엘리자베스 2세(Queen Elizabeth Ⅱ)
• 총 독 : Rodney Williams(2014.8월 취임)
• 행정수반 : Gaston Browne 총리(2014.6월 집권)
• 외교부장관 : Charles Max Fernandez(2014.7월 취임)
• 의 회 : 양원제
• 독립일 : 1981.11.1
• 주요 경제 지표 (2016)
- GDP : 13.3억불
- 1인당 GDP : 14,753불
- 성장률 : 2%
- 수출 : 61.7백만불(석유제품, 수공예품, 전자부품, 수송장비, 식료품, 축산물 등)
- 수입 : 482.1백만불(식료품, 축산물, 기계류, 수송장비, 화학제품, 원유 등)
- 물가상승률 : 1.6%
- 외환보유고 : 1.62억만불
- 화 폐 : 동카리브달러(EC$) (환율 US$1≒EC$2.7)
- 자원 : 관광, 사탕수수, 옥수수

나. 약사

o 1493 콜럼버스에 의해 발견, 스페인 세비야 소재 교회 이름을 따라 앤티가로 명명
o 1632 영국인 Sir Thomas Warner에 의해 영국 식민지 편입
o 1860 바부다 섬, 앤티가 행정구역에 편입
o 1958 서인도연방에 편입, 1962.5 동 연방 해체시까지 회원국
o 1966 자치령이 되기 위한 신헌법 제정
o 1967 자치정부 수립(외교, 국방문제만 영국에 의존)
o 1980.12 런던 개최 헌법회의에서 독립원칙에 합의
o 1981.11 영국으로부터 독립, Vere Bird가 독립정부 총리에 취임
o 1984.4 총선에서 ALP 승리, Bird 총리 재취임
o 1994.3 총선에서 ALP가 하원 17석중 11석 석권, Lester Bird 총리 집권
o 1999.3 총선에서 ALP가 하원 17석중 12석 차지, Lester Bird 총리 재취임
o 2004.3 총선에서 제1야당인 연합진보당(UPP)이 17석중 12석을 석권, 정권교체(Winston Baldwin Spencer 총리 취임)
o 2009.3 총선에서 여당인 UPP가 17석중 9석을 차지하며 재집권
o 2014.6 총선에서 앤티가바부다 노동당이 승리함으로써 2004년부터 10년간 지속되어온 연합진보당(UPP)의 집권이 종료

다. 지형 및 기후

o 북부와 북동부는 낮은 석회암과 산호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남부와 남서부에는 높은 편에 속하는 화산 지형 존재
- 최고점은 Boggy Peak으로 402m

o 기후는 열대 해양성으로 연중 강우량 : 1,090~1,140mm

2. 정치

가. 정치 체제
o 영국 여왕에 의해 임명되는 총독이 국가수반(Head of State)이며, 대선에서 다수석을 차지한 당의 대표가 총리(Head of Government)가 되어 국정을 운영하는 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임.

o 의회는 양원제로 구성되어, 상원(총 17석, 임기 5년)은 총독에 의해 임명되며, 하원(총 17석, 5년 주기)은 직접 투표로 선출

나. 정치 동향

o 1981년 독립이후 정치적으로 비교적 안정되어 있으며, 독립의 아버지인 Vere Bird 전 총리가 창당한 ALP가 독립이후 국민들의 확고한 지지속에 장기 집권

o 1993년 ALP는 Vere Bird 총리가 고령으로 당수직을 사퇴함에 따라 그의 차남 Lester Bird 외교장관을 당수로 선출, 1994년 총선에서 재승리하고 2회 집권에 성공

o 2004년 3월에 실시된 총선에서 Winston Baldwin Spencer가 이끄는 제1야당 연합진보당(UPP)이 총 17의석중 12석을 차지하여 1976년부터 계속되어온 노동당(ALP)의 장기집권을 끝내고 정권교체 달성

o 이후 Winston Baldwin Spencer 총리가 외교장관을 겸직하는 등 강력한 지도력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정치기반을 구축하여 적극적인 대외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앤티가바부다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바부다 섬의 독립운동 움직임에 대해서도 강력대응

o 2009년 3월 실시된 총선에서 여당인 UPP가 고전끝에 신승하면서 재집권에 성공(UPP가 9석, ALP가 7석을 각각 차지)하였으나, 야당 ALP는 총선 당일 4개 선거구 투표소가 늦게 개소하는 등 선거부정이 있었다고 주장하며 당선 무효 소송을 제기함. 그리고 2010.3월 앤티가바부다 법원은 동 4개 선거구 중 Winston Baldwin Spencer 총리가 당선된 선거구를 포함한 3개 선거구에서의 당선결과에 대해 무효를 선언

o 동 선거소송(여당 패배시 재선거를 실시하게 되고, 이 경우 정권교체 가능)으로 인해 앤티가바부다 정부는 업무를 정상적으로 추진하지 못하고 여야가 극심하게 대립하는 등 국내 정국이 매우 불안했으나, 2010.10월 동카리브법원의 선거 유효 및 당선 확정 판결을 통해 정치적으로 다시 안정을 찾음.
- 또한 야당 ALP는 Lester Bird 전 총리 등을 비롯한 전직 각료들이 3천4백만 달러 상당의 공공기금을 유용했다는 혐의로 재판을 받게 되어 크게 위축된 상황

o 2014.6월 총선에서 앤티가바부다 노동당이 승리함으로써 2004년부터 10년간 지속되어온 연합진보당의 집권이 종료되고 정권 교체

다. 정당 현황

o 연합진보당(United Progressive Party, UPP)
- 당 수 : Winston Baldwin Spencer
- 집권경력 : 2004년 3월 총선에서 승리하여 정권교체를 이룬 후 2009년 3월 총선에서 재집권에 성공

o 앤티가 노동당(Antigua Labour Party, ALP)
- 당 수 : Lester Bird
- 집권경력 : 1976년부터 28년간 계속 집권하였으나, 2004년 3월 총선에서 패배하여 장기집권의 막을 내림.

o 바부다 인민행동당(Barbuda People's Movement, BPM)

3. 외교정책

가. 외교정책 기조

o 친서방 온건 중립정책으로 민주주의, 반식민주의, 반인종주의 노선 견지
- 2008년 G-77 의장국을 수임하면서 남남협력 추진 필요성 및 기후변화협약 이행 중요성 강조
- 2009년 6월 베네수엘라가 주도하는 ‘미주대륙을 위한 볼리바르 연합(ALBA)’에 가입

o 지리적, 역사적, 문화적, 경제적 배경상, 미국, 캐나다, 영국 및 EU국가 등 서방 선진국들과의 전통적 우호, 선린관계 중시
- 미해군 기지는 1996년 폐쇄되었으나 미공군 통신기지는 주재

o 카리브 제국과는 CARICOM을 통해, 특히 인근국가들과는 OECS를 통해 긴밀한 협력관계 유지


※ 동카리브국가기구(Organisation of Eastern Caribbean States : OECS)

o 그간 동카리브국가기구(OECS) 소속 6개 카리브 소국들은 동질 또는 유사한 인구규모, 인종구성, 지리적 위치, 역사, 산업구조, 정치이념 등을 바탕으로 OECS 공동의 대법원, 중앙은행, 민간항공위원회, 정보통신청 등 기구를 설립하고 단일통화(동카리브달러)를 사용하는 등 상당 수준의 통합을 성공적으로 진전
- 이 외에도 약품 공동조달, 해외 공동대표부(오타와, 브뤼셀, 제네바 소재) 설치 및 관광, 농업, 교육, 보건, 환경 등 제반 분야에서 공동정책 수행 등 상당한 통합 수준을 시현

※ OECS 정회원국(인구 총 56만여명) : 앤티가바부다, 도미니카연방, 세인트키츠네비스, 그레나다, 세인트빈센트, 세인트루시아, 몬세랏(영국령)
ㆍ준회원국 : 버진군도(영국령), 안길라(영국령)

o 나아가 OECS 국가들은 2009.12월 세계화, 세계경제침체 등 급변하는 세계 환경에 대응하고 정치경제적 안정 및 발전을 추구해 나가기 위해 OECS 차원의 공동입법기능을 제도화하고 경제연합(economic union)을 설립하는 신 조약에 서명

- 회원국 정상들로 구성된 OECS 최고의사 결정기구인 OECS 최고당국(Authority)에 의해 특정 분야에서 통과된 법은 회원국의 공공기관 기능에 관한 법률에 직접적인 효력을 갖도록 하였으며, 동 입법절차는 헌법 개정없이 각국에 도입
- 회원국간 관세철폐는 물론 서비스, 자본, 노동력의 자유로운 이동을 내용으로 하는 OECS 경제연합을 설립하여 단일 재정ㆍ경제 구역으로 운영

o OECS는 상기 신조약을 통해 그간의 통합 노력을 단일 조약체계 내에 포함시킴으로써 제도적ㆍ경제적 통합에 획기적인 진전을 이룬 것으로 평가
- 신조약은 OECS를 지역ㆍ세계 경제의 변화에 회원국들이 성공적으로 대응해 나가기 위해 필요한 헌법, 정치, 경제 변화를 협의 및 촉진하는 제도적 포럼이라고 규정하였는바, 입법 및 집행 절차를 제도화하여 OECS 전체틀에서의 정책 이행을 강화 (공동조치 필요영역으로 교통ㆍ민항, 농업, 관광, 교육, 환경지속성, 해양환경, 재난대응, 통신 등 11개 분야를 예시)
- 동 통합으로 OECS 회원국들은 △규모의 경제 달성, △경제체질 개선, △각종 행정비용 분담 등의 구체적 성과를 거둘 수 있게 됨. 다만 역내 교역규모가 미미하고 각 회원국간 교통이 불편한 것은 경제통합 효과 제고에 커다란 제약요인으로 계속 작용할 전망

o 동 지역 국가들에 대한 전통적 공여국들(미국, 영국 등)의 협력사업은 감소되고 있는 반면, 베네수엘라, 브라질, 중국 등 신흥세력들이 협력사업을 통해 동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해 나가고 있는 것으로 관찰

o 중국과 긴밀한 외교관계를 유지하고 있는바, 7,500만불 규모의 중국수출입은행 차관으로 진행되고 있는 VC Bird 국제공항 신청사가 2015년 준공

나. 외국공관 설치 및 재외공관 현황

o 앤티가바부다 주재 외국공관: Brazil, China, Cuba, Venezuela, United States(consular agent)

o 앤티가바부다를 겸임국으로 지정한 외국공관: Argentina (Kingston), Australia (Port-of-Spain), Canada (Bridgetown), Colombia (Kingston), Finland (Caracas), France (Castries), Germany (Port-of-Spain), Greece (Caracas), Iceland (New York City), Israel (Santo Domingo), India (Georgetown), Italy (Santo Domingo), Japan (Port-of-Spain), Mexico (Castries), Netherlands (Port-of-Spain), Poland (Bogotá), Republic of Korea (Santo Domingo), Russia (Kingston), South Africa (Kingston), Sweden (Stockholm), Turkey (Dominican Republi), United States (Bridgetown)

o 재외공관: Canada (Toronto), Cuba (Havana), United States (Washington DC, Miami, New York), United Kingdom (London)

다. 국제기구 가입 현황

o ACP, OPANAL, ALBA, CARICOM, CDB, Commonwealth of Nations, FAO, G77, IBRD, ICAO, ICC, INTERPOL, IDA, IFRCS, IFC, IFAD, ILO, IMO, IMF, IOC, ISO(subscriber), ICRM, ITU, ITUC, MIGA, NAM, OPCW, OAS, OECS, Petrocaribe, UN, UNCTAD, UNESCO, UPU, WCL, WFTU, WHO, WIPO, WMO, WTO

4. 경제

가. 경제통상정책 기조

o 앤티가바부다는 20년전까지는 농업이 GDP의 40%를 차지하는 전형적인 농업국가였으나, 토질악화, 불리한 시장여건, 가뭄, 허리케인 등 자연재앙 빈발로 농업이 크게 위축

o 현재 앤티가바부다는 관광산업이 경제성장을 주도하고 있고, 주요 외화수입원으로서 총 외화수입의 60%를 점유하고 있으며, 호텔과 외식업 부문이 총 고용의 25%, GDP의 25%을 차지


나. 최근 경제통계(2016)

o GDP : 13.3억불
o 1인당 GDP : 14,753불
o 성장률 : 2%
o 수출 : 61.7백만불(석유제품, 수공예품, 전자부품, 수송장비, 식료품, 축산물 등)
o 수입 : 482.1백만불(식료품, 축산물, 기계류, 수송장비, 화학제품, 원유 등)
o 물가상승률 : 1.6%
o 외환보유고 : 1.62억만불
o 자원 : 관광, 사탕수수, 옥수수


다. 주요 경제동향

o 한때 호텔․주택 건설경기 호조에 힘입어 건실한 성장세를 보였으나(2006년 12.2% 기록), 2008년 세계경제침체 및 에너지 파동 등으로 경제성장이 크게 악화
- 2009년도 관광객 수가 13% 감소하고, 관광분야 외국인 투자 및 해외체류 국민들의 본국송금도 감소

o2009.2월 대표적인 오프쇼어 은행인 Stanford International Bank(앤티가바부다에 본점 소재)의 파산 및 자산동결 조치로 금융시장이 위축되면서 국가경제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상황이며, 미국과 on-line 도박장 문제로 갈등을 겪고 있음.
- 2008년 WTO는 미국의 on-line 도박장 규제에 대해 제소한 ‘앤’의 손을 들어 주었으나, 미국은 ‘앤’측과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음.

o 2010.6월 IMF는 ‘앤’ 정부 재정적자 증가 및 경제 침체를 완화하기 위해 1.17억불 상당의 차관을 3년에 걸쳐 제공하였으며, 2012년부터 세계금융위기로부터의 여파를 점차 회복하여 2009년부터 3년간의 마이너스 성장에서 2012년 2.8%, 2013년 1.2%로 2년 연속 플러스 성장으로 돌아섬.
- Spencer 정부는 꾸준히 공공부채 감소를 위해 노력해온바 2010년 GDP 대비 130%였던 공공부채가 2012년 89%수준으로 감소

o 중국 정부의 원조로 2011년부터 시작된 앤티가바부다 국제공항 건설이 2015.8월 완료되어 앤티가바부다 경제에 새로운 동력을 줄 것으로 기대

5. 사회와 문화

가. 사회, 문화, 예술

o 영국의 오랜 통치로 생활양식과 제도가 영국식이며, 종교도 영국의 영향으로 성공회가 다수
o 명소로는 세인트 존스 시에 있는 다채로운 공공시장, 국회가 열리는 옛 법원청사, 세인트 존스 성당 등이 있음
o 카니발은 7월 말에 시작해 8월 첫째 주 월요일이나 화요일까지 이어지는 앤티가바부다의 대표적인 축제로, ‘카니발 퀸 콘테스트’ ‘칼립소(카리브 해 지역 흑인들이 부르는 일종의 재즈)경연대회’와 함께 소규모의 거리축제였으나. 1962년부터 전 국민적인 축제로 자리 잡음

나. 교육

o 영국식이며, 5-11세의 아동에게 기초교육을 의무적으로 실시
o 초등학교와 중등학교는 대부분 정부에서 운영
o 사범대학과 기술 직업학교가 하나씩 있으며, 식자율은 총 인구의 90%에 달할 정도로 높음

다. 주요 언론 및 방송 매체

o 신문
- Antigua Observer-The Daily Observer (민영, 일간)

o 방송
- ABS 10 TV and Radio (국영, 정부활동 방영)

o 라디오
- Observer Radio 91.1 (민영, 뉴스/진보)

라. 공휴일 (2017년 기준)

o 1월 1일: New Year (새해)
o 4월 14일: Good Friday
o 4월 17일: Easter Monday
o 5월 1일: Labor Day (노동절, 5월 첫 월요일)
o 5월 29일: Whit Monday
o 7월 3일: CARICOM
o 8월 7일: J’ouvert Morning (8월 첫 월요일)
o 8월 8일: Last Lap (8월 첫 월요일 다음 화요일)
o 11월 1일: Independence Day (독립기념일)
o 12월 9일: National Heroes Day
o 12월 25일: Christmas Day (성탄절)
o 12월 26일: Boxing Day
* 3월과 4월 중 Good Friday(성금요일), Easter Monday(부활주일 다음 월요일), Whit Monday(오순절 다음 월요일)의 가변 휴일이 있음.

6. 한국과의 관계

(1) 외교관계

o 1981.11.1 수교 (한국은 앤티가바부다의 최초 수교국)

o 1999 주트리니다드토바고대사관 폐쇄로 주도미니카(공)대사관 관할로 편입

(2) 주요인사교류

< 방 문 >
o 1993.4 이경훈 대전박람회 정부 부대표(대전박람회 참가 교섭)
o 1996.9 노창희 전 외무차관(유엔경제사회이사회이사국 진출 교섭)
o 1999.7 허경만 전라남도지사(2010 세계박람회 유치교섭)
o 2006.12 김항경 전 외교부차관(2012 세계박람회 유치교섭)
o 2007.9 박준영 전라남도지사(2012 세계박람회 유치교섭)

< 방 한 >
o 1982.4 Lester Bird 부총리겸외교장관
o 1983.8 Vere Bird 총리
o 1985.10 Hurst 재무차관(IMF/IBRD 총회 참석)
o 1996.12 Rodney Williams 관광부 장관(주한명예영사관 1주년 개관 기념식)
o 2007.9 Colin Murdoch 외교부 사무차관, Anthony Liverpool 한국담당대사(여수국제심포지움)
o 2011.10 Winston Baldwin Spencer 총리겸외교장관(제1차 한-카리브 고위급포럼), Anthony Liverpool 한국담당대사
o 2012.10 Joanne Massiah 법무부 정무장관(제2차 한-카리브 고위급포럼)
o 2013.10 Colin James 앤티가바부다 관광청장(제3차 한-카리브 고위급 포럼)
o 2014.10 Colin Murdoch 앤티가바부다 외교차관(제4차 한-카리브 고위급 포럼)
o 2015.10 Brian Challenger 관광부에너지자문대사(제5차 한-카리브 고위급 포럼)
o 2016.10 Aubrey Webson 주유엔대사(제6차 한-카리브 고위급 포럼)

(3) 협정체결

o 사증면제협정(1994.11)


(4) 통상관계 (2016년, 한국 기준)
o 수출 : 6.4백만불 (자동차, 차량부품 등)
o 수입 : 3.3백만불 (석유제품 등)

(5) 개발협력 제공실적 현황

o 1991~2001년 실적 : 22만불
o 2002~2005년 실적 : 23.3만불
- 연수생 초청 : 7명(2.6만불)
- 물자지원 : 20.7만불

o 2006년도~2007년 (2012 여수세계박람회 유치와 연계)
- 물자지원 : 30만불(경찰차량 4대(10), 학생버스 3대(20))
- 연수생초청 : 1명(0.5만불)

o 2009년 지원실적
- 연수생 초청 : 2명(1만불)

o 2010년 지원 실적(1만불)
- 노트북(6), 빔프로젝터(2), 디지털 카메라(2), 복사기(1)

o 2011년 지원 실적 없음.

o 2012년 지원실적(10만불)
- 총리실 회의실 화상회의 시스템 물품(60인치 LED 삼성 3D TV, 스피커, 무선수신기, 앰프 등)

o 2013년 지원실적(8만불)
- ODA 전략원조 사업(7만불)으로 외교부용 의전차량 3대(기아 Sorento 2대 및 Sportage 1대)
- 연수생 초청 : 2명(1만불)

o 2014년 지원실적(10만불)
- 외교부용 의전차량 2대 및 컴퓨터 용품

o 2015년 지원실적(20만불)
- 장애인 버스 2대

o 2016년 지원실적(7만불)
- 시각장애인 의료장비

(6) 명예영사

o 주앤티가바부다 명예영사 : Dr. Eumel Samuel 병원장(2011.9.27. 임명, 재임명 추진중)
o 주한 앤티가바부다 명예영사 : 이성희 현마산업 대표(1995.10.9 임명)

※ 상주대사 - 중국, 쿠바, 베네수엘라, 브라질

(7) 북한과의 관계

o 1990.11.27 수교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