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탈리아 알기

이탈리아 경제 (웹컨텐츠임시저장)

  1. 이탈리아 알기
  2. 이탈리아 경제 (웹컨텐츠임시저장)

이탈리아 경제 특징

GDP 규모 세계 제8위, EU내 제3위 경제대국 

  • 국가주도에 의한 산업 근대화: 이탈리아는 다른 서구국가들에 비해 산업 근대화가 지연되어 1930년대, 제2차 세계대전 후인 1950년대에 각각 국영기업을 설립, 철강, 석유화학, 에너지, 통신, 해운, 항공, 도로 등의 기간산업과 금융·서비스 산업에 투자를 집중하였으며 1990년대에 들어 기간산업이 본궤도에 진입

중소기업 중심의 국가경제

  • 국가주도로 중화학공업 등 기간산업이 발전하는 가운데 지방 전통산업을 바탕으로 발전해 온 민간중소기업을 근간으로 하는 산업특화지역이 발달함에 따라 1950-1960년대 고도성장(연평균 5.5%)을 달성하면서 선진국가로 발돋움하는 기반 구축
  • 1970년대 초 이후 대두된 과도한 노동운동의 영향으로 경쟁력에 타격을 입은 중소기업들은 가내공업 형태로의 전환을 통해(종업원 15인 미만 소기업인 경우 노조가입의무 면제) 경쟁력을 유지해 왔으나, 2000년대 이후 세계화 추세와 중국 등 개도국의 저가제품 공세로 점차 경쟁력을 상실하는 추세

유럽공동시장 참여를 통한 경제발전

  • 이탈리아는 1957년 유럽공동시장 창설 당시부터 참여함으로써 농업발전에 혜택을 입어왔으며, 산업분야도 역내 수출확대로 활로 모색
  • EU 통합 확대 추진에의 적극적인 참여 및 EU 차원의 경제정책에 보조를 맞추어 자국의 경제 성장 추구
  • 1998년 유럽경제통화동맹(EMU) 가입, 2002.1 유로화 도입, 유럽중앙은행(ECB)과의 경제정책상 보조 유지 노력 등

남·북 지역간 격차

  • 이탈리아는 유럽 경제강국 중의 하나이나, 산업이 발달된 북부지역(주로 민간 기업들 소재)과 그렇지 못한 남부 농업지역(주로 국영기업들 소재)간의 심한 소득 격차 등이 경제발전의 장애요소로 작용
  • 통상 메쪼조르노(Mezzogiorno)로 지칭되는 남부지역(Abruzzo, Molise, Campania, Puglia, Calabria, Basilicata, Sicilia, Sardegna)의 면적은 이탈리아 전체의 40%, 인구는 35%를 차지하고 있으나, 소득은 25%에 불과하며, 농업인구 비율은 중·북부의 2배인 반면, 제조업 인구 비율은 여타지역의 1/2에 못 미치고 제조업의 노동 생산성도 중·북부에 비해 크게 저하
  • 이탈리아 정부는 1950년대부터 남부지역개발법을 제정, 남부 지역에의 투자시 투자자금의 무상지원 및 각종 세제혜택을 제공하고 있으나 낮은 노동 생산성, 사회간접자본의 부족 등으로 그동안 충분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실정

이탈리아 경제의 강점

  • 창의적인 기업가 정신을 기초로 제반 산업이 고루 발달
  • 전통 중소기업은 세계시장에 신축성 있게 대처하는 경영능력을 배양하면서 세부 분야별로 독자적인 첨단기술을 개발, 각종 기계를 비롯하여 섬유, 의류, 가구, 피혁, 귀금속, 식품, 공예품, 염색, 디자인 등의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 유지
  • 이탈리아 경제는 제조업 부문에 강한 면을 보이고 있으며 주요산업은 자동차, 기계, 화학, 가구, 의류 및 직물, 가죽 및 신발, 식품가공, 세라믹 등
  • 발칸국가, 북부아프리카 및 중동 등 여러 경제권에 인접한 지정학적 위치
  • 자동차, 기계, 화학 등 기술 집약 제품과 섬유, 가구 등 고급 소비재가 주요 수출품이며, 원유 및 원자재, 부품소재 등을 수입

이탈리아 경제의 취약점

  • 중소기업 중심 산업구조로 인해 규모의 경제면에서 국제경쟁력 약화, 방만한 재정 운영, 노동시장 경직성, 인프라 취약 등 낮은 경제성장률, 고임금, 고실업, 고간접비용 등의 구조적 취약점
  • 연금․의료․교육 등 공공분야의 과도한 사회보장지출, 공기업 적자 보전, 지방자치단체 보조금 지급 등으로 공공지출 확대, 공공부채 지속 증가로 인한 이자 지불 부담으로 효과적인 경제정책 추진에 제약 초래
  • 노조의 영향력으로 노동시장 경직, 기업주의 높은 사회보장 부담금 등으로 기업의 경쟁력 저하
  • 해고를 어렵게 만드는 고용보호규정, 노동시간 및 임금 등 고용 조건에 대한 정부의 과도한 규제가 노동시장 유연성을 저해하여 신규 노동력의 노동시장 진입과 기업주의 고용 증가 어려움 초래
  • 경공업 위주 전통산업 특화 산업구조로 ‘규모의 경제’ 실현이 어려워 세계시장에서 경쟁력 약화
  • 노동시장의 경직성, 취약한 공공재정 및 과도한 공공부채, 부패, 조직범죄 등을 주요 경쟁력 저해 요인으로 지적

이탈리아 경제의 산업별 개황

농림수산업

  • 농림수산업 생산은 GDP의 약 2.0%를 차지하고 전체 경제활동 인구의 약 4%가 농수산업에 종사
  • 농경지 면적은 총 국토면적(30,132천 ha)의 47%인 17,1백만ha이고 대부분의 농가는 소규모이며 농가당 평균 경지면적은 약 7ha
  • 농업총생산액은 45,466백만유로로 육류(20.1%), 채소(15.3%), 과일(12.7%), 유제품(10.0%), 곡물(8.6%)의 순으로 생산액 비중이 높음
    • 단일 작물인 포도, 올리브가 각각 전체 생산액의 6.7%, 3.6%를 차지
  • 농산물 교역은 EU 국가들이 농산물 수출입에서 모두 각각 70% 정도를 차지
    • 신선농산물보다는 가공농산물(포도주, 파스타, 가공토마토제품, 올리브오일 등)에서 경쟁력이 있으며, 주로 곡물을 수입하고 가공 농산물을 수출

광업

  • 다양한 광물자원이 부존하나 양적으로 풍부치 않으며 생산조건도 열악
  • 건축용 석재와 대리석이 풍부하고 보크사이트가 Abruzzo, Campania, Puglia 지역에 매장되어 있으며, Sardegna에서는 납과 아연을 생산

에너지

  • 석유가 에너지 소비량의 42%, 천연가스는 31%를 점하며, 석유 수입의존도는 90.1%, 천연가스는 약 90.2%에 이르는 에너지 수입의존국
  • 기타 에너지원별 총소비량 비중은 재생에너지 12.2%, 고체연료(석탄 등) 7.3%, 전기수입 5.2% 등 이탈리아 전기료는 EU 국가 중 최고 수준 (유럽 전체 평균치보다 60% 높음)
  • 원자력 발전은 1987년 국민투표로 폐지되었으며, 이후 석유, 석탄, 천연가스 등의 수입량이 증가함
  • 이탈리아 정부는 원전 재개를 추진하였으나 2011.6.12-13 실시된 국민투표로 다시 포기

제조업

  • 국영기업: 다수 국영 기업을 민영화하였으나, 대부분 여전히 정부가 지분의 30% 내외를 보유.
  • 민간기업: 민간 대기업은 상대적으로 많지 않은 편이며 가장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FIAT(자동차), TELECOM ITALIA(통신), ERG(에너지), RIVA FIRE(철강), BENETTON(의류), PIRELLI(고무·타이어), ITALMOBILIARE(통신), FININVEST(미디어) 등
  • 중소기업: 이탈리아의 중소기업은 각종 기계(공작, 목가공, 섬유, 석가공, 요업, 농업), 식품가공, 가구, 피혁가공, 귀금속가공, 공예품, 염색, 디자인 등 분야에서 세계 첨단수준의 기술을 보유 중소기업은 지역별로 특화된 것이 특징인데 SASSUOLO(세라믹타일), PRATO(양모), COMO(실크), VERONA(신발), MARCHE(부엌용품) 등이 대표적 (예) SASSUOLO 지역 : MODENA를 중심으로 한 타일특화 지역으로 이탈리아 타일 생산의 80%, 세계생산의 25% 점유, 미국시장의 21% 점유

이탈리아 주요 경제 수치

  • 경제 현황(2020년)
    GDP, GDP 성장률, 교역액, 실업률의 정보를 제시한 이탈리아 주요 경제 수치 테이블
    GDP 1조 8,850억 달러
    GDP성장률 -8.9%
    교역액 9,189억 달러 (수출 4,961억 달러, 수입 4,229억 달러)
    실업률 9.3%
    출처: IMF, WTA

이탈리아의 대외교역 및 투자

  • 이탈리아는 부존자원이 비교적 빈약하고 국내시장이 협소하여 수출 증대를 통한 경제성장을 경제정책의 기본방향으로 설정하고 추진
  • 20개 각 주(Region)별 상공회의소내의 무역센터를 중심으로 지방자치단체, 해외무역공사(ICE) 및 전경련(CONFINDUSTRIA) 등이 유기적으로 협조, 지방 동종 중소기업간 콘소시엄을 구성, 공동으로 수출 진흥활동 전개
  • 전통적으로 EU 역내국가와의 교역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가운데 최근에는 중국 등 아시아 신흥국가들과의 교역(특히 수입)이 증가 추세
  • EU이외 주요교역대상: 미국, 러시아, 중국, 터키, 일본 / OPEC, EFTA, MERCOSUR 등
  • 이탈리아 GDP의 40%를 차지하고 있는 제조업(연관 서비스업 포함)은 이탈리아 수출의 95%를 차지하고 있는 바, 주요 수출 품목은 기계류, 금속제품, 자동차 등 운송기계, 화학제품, 전기제품과 식료품, 의류, 섬유, 가구 등 소위 전통적인 이탈리아 상품(Made in Italy products) 등임.
  • 이탈리아의 경우, 그간 목욕실 설비, 보석, 세라믹, 제화, 소형선박, 가죽, 포장기계, 가구, 선글라스 등 세분화된 맞춤형 상품과 재질 및 디자인에서 우수한 고부가가치 상품 수출에서 강점 시현

한·이탈리아 경제통상 관계

개요

한ㆍ이탈리아 양국은 세계 10위권 내외의 경제규모, 높은 대외교역 의존도, 대규모 경제권에 인접한 지정학적 위치 등으로 양국간 경제협력 잠재력은 다대

양국간 경제협력 잠재력에 비해 교역 및 투자 규모는 다소 저조한 편

  • 투자 현황
    • 우리나라의 대이탈리아 투자는 시장 진출을 위한 판매법인 및 지사설립이 주류 (이탈리아에 33개의 지상사 소재)
    • 이탈리아의 대한국 투자는 지사와 조인트 벤쳐 기업이 주류

양국은 그간 정부 및 민간차원의 경제협력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전개

  • 정부간 협력 현황
    • 양국간 경제협력협정(82.5. 발효)에 근거하여 양국 정부간 경제협력 공동위원회를 83-05년간 총 6회 개최
    • KOTRA와 이탈리아무역공사(ICE)는 양기관간 업무협력 약정(08.11 체결)에 근거하여 세미나 등 관련행사를 꾸준히 개최
    • KOTRA는 밀라노 사무소를, ICE는 서울 사무소를 각각 운영 중
    • 양국간 과학기술협력도 관련 정부 부처 및 과학연구기관 등 차원에서 활발하게 진행 중
      - 12차례의 한-伊 과기공동위 및 6차례 한-伊 과기포럼 개최 (제7차 한-伊 과기포럼 22년 하반기 개최 추진 중) 
    • 2021년 9월, 제1차 한-伊 산업에너지 전략회의를 로마에서 개최하고 산업, 에너지, 통상의 주요 분야에서 협력 확대 논의
  • 민간분야 주요 협력 현황
    • 양국 전경련 주관 민간경제협력위원회(Korea-Italy Economic Cooperation Committee)가 1976년 설립되어 그 동안 총 7회 합동회의 개최
    • 80년 제1회 합동회의(서울)이후 84년(서울), 85년(로마), 89년(서울), 96년(로마), 2001년(밀라노)에 이어 07.4월에 서울에서 제7회 합동회의 개최
    • 2000.3 대통령 이탈리아 방문시 ‘중소기업협력 공동선언’ 발표, 2007.7월 산자부 장관과 이탈리아 산업통상장관간 ‘중소기업협력 양해각서’ 체결 등을 통해 양국간 중소기업협력을 위한 기반 마련
    • 이탈리아는 중소기업 중심의 산업구조를 보유하여 우리 중소기업 정책의 벤치마킹 대상
    • 2004.6 제1차 한․이 중소기업협력위 개최(서울)를 통해 전기․전자, 부품, 정밀기계, 섬유패션, 환경장비 등의 산업협력 활성화 추진 합의
    • 2006.10 제2차 한․이 중소기업협력위 개최(로마)를 통해 양국 기업간 제3국 공동진출을 적극 지원키로 합의
    • 2000.3월 대통령 이탈리아 방문시 ‘산업디자인협력 공동선언’ 발표, 2007.7월 산자부 장관과 이탈리아 산업통산장관간 ‘산업디자인협력 양해각서’ 체결을 통해 양국간 산업디자인협력을 위한 기반 마련
    • 한국산업디자인진흥원(KIDP)이 이탈리아디자인협회(ADI), 피에몬테주 상공회의소 등과 상호 인력 및 정보교류사업 등 추진
    • KIDP와 피에몬테주 상공회의소 국제협력센터(CECCP)간 산업디자인 협력약정 체결(06.4)
    • 한국섬유산업연합회와 이탈리아섬유협회(SMI, Sistema Moda Italiana)는 ‘제1회 한-이 섬유산업포럼’을 09.11.28 밀라노에서 개최
    • 2011.10 이탈리아 산업총연맹(Confindustria) 주관으로 120여명의 경제사절단이 한국을 방문, 다향한 분야 경제 교류협력 논의
    • 2016.3.9-10, 서울에서 비즈니스 포럼 및 세미나를 개최, 이탈리아 산업총연맹(Confindustria) 주관으로 방문한 경제사절단 및 한국 기업간 B2B 간담회, 산업 현장 시찰 등 일정 진행

교역 추이(우리나라 기준)

[단위 : 백만불, %]
년도, 수출, 수입, 교역총액, 무역수지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는 교역 추이(우리나라 기준) 테이블
년도 수출 수입 교역총액 무역수지
04 3,408(33.1) 2,500(5.0) 5,908 907
05 4,297(26.1) 2,778(11.1) 7,075 1,519
06 4,286(-0.2) 2,916(5.0) 7,202 1,370
07 4,151(-3.1) 3,583(22.9) 7,734 568
08 3,546(-14.6) 4,151(15.9) 7,697 -606
09 2,797(-21.1) 3,513(-15.4) 6,310 -716
10 3,569(27.6) 3,723(6.0) 7,292 -154
11 4,107(15.1) 4,374(17.5) 8,481 -266
12 3,262(-20.6) 4,82(10.4) 8,090 -1,566
13 3,126(-4.2) 5,383(11.5) 8,509 -2,258
14
3,474(11.1) 6,261(16.3) 9,735 -2,787
15
3,531(1.6) 5,825(-6.9) 9,356 -2,293
16
3,163(-10.4) 5,425(-6.9) 8,588 -2,261
17
3,758(18.8) 5,696(5.0) 9,454 -1,983
18
4,494(19.6) 6,303(10.7) 10,796 -1,808
19
3,774(-16.0) 6,449(2.3) 10,223 -2,675
20
3,221(-14.6) 6,651(3.1)9,872 -3,430
출처: KITA

한-이탈리아간 주요교역 품목(2019년, 우리나라 기준)

순위, 주요수출품목, 주요수입품목에 대한 정보를 제시한 한-이탈리아간 주요교역 품목(2019년, 우리나라 기준) 테이블
순위 주요수출품목 주요수입품목
1 승용차 가방
2 합성수지 신발
3 냉연강판 직물제 의류
4 열연강판 의약품
5 금속절삭가공기계 승용
출처: 한국무역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