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3.(토)-9.30.(화) 간 마다가스카르의 주요 경제 동향을 알려드립니다.
가. 에너지 및 광물 동향
ㅇ (에너지 공급 안정화 노력) 주재국 정부는 안타나나리보 및 주변 지역 에너지 문제 해결을 위해 태양광 발전소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바, 총 50MW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 3곳을 정부 자금으로 건설 중이라고 밝힘.
- ①암바투미라하바비(Ambatomirahavavy) 발전소(출력 1.5MWc, 배터리 저장 용량 1MWh, 인버터 용량 1MW) : 완공이 임박하여 근시일 내 RIA(안타나나리보 전력 공급망)에 연결될 예정
- ②암판가베(Ampangabe) 발전소(11Ha 부지에 17,400개의 패널 설치 예정, 예상 출력 11.5MWc) : 현재 시공 중
- ③사부치 나메하나(Sabotsy Namehana) 발전소(출력 7MWc, 배터리 저장용량 4.2MWh, 패널 수 12,180개) : 현재 시공 마무리 단계로, 2025년 말 완공 예정
ㅇ (ORE 독립기관 전환) 에너지부 산하 기관이었던 전력규제청(ORE)이 8.6.자로 독립기관인 전력규제당국(ARELEC)으로 확대개편된바, ORE측은 더 많은 자율성과 책임을 바탕으로 더욱 엄격한 감독을 수행하겠다고 밝힘.
※ 전력규제청(ORE, Office de Regulation de l'Electricite)은 1999년 설립되어 △전력 생산 및 유통 감시 △요금 책정 △전력 품질 관리 등의 임무를 수행해왔으며, 전력의 전략적 중요성을 고려하여 독립기관인 전력규제당국(ARELEC, Authorite de Regulation de l'Electricite)으로 전환
ㅇ (바스툴레아) 미국의 Energy Fuels社는 최근 주재국 남부 미네랄 샌드 광산인 바스툴레아 광산 개발 관련, 현재 주재당국과 투자 협정(Investment Agreement)을 협상 중이라고 밝혔으며, 동 협정에는 △세금 및 관세 혜택 △외환 규정 조정 △수용(국유화) 방지 조항 △분쟁 해결 절차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짐.
- 동 협정은 바스툴레아 사업의 법적 재정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절차이면서, 일메나이트, 루틸, 지르콘 등 기 채굴 허가를 득한 광물 이외, 모나자이트(희토류 광물)를 추가하기 위한 준비 단계로도 알려졌으며, 2025.5월 의회 상정 예정
나. AGOA 만료
ㅇ 주재국 정부가 9.6.(토) 아프리카성장기회법(AGOA) 갱신 협상을 위해 워싱턴에 파견한 협상 사절단이 9.13.(토) 귀국, 긍정적인 결과가 기대된다고 밝혔으나, 이후 미측조치는 알려진바 없으며, 9.30.부로 AGOA가 만료된 것으로 보임.
※ 동 사절단은 지난 3개월간 2차례 워싱턴을 방문
다. 관광 분야 동향
ㅇ (에미레이트 항공 취항 1주년) 에미레이트 항공은 9.13.(토) 안타나나리보 취항 1주년을 맞아 기념 행사를 개최한바, 2024.9월 첫 운항 이후 총 53,000명 이상의 승객을 수송하였고, 초기에는 주4회 운항이었으나, 2025.4월부터 주6회로 확대하여 순조롭게 운용중이라고 밝힘.
ㅇ (마다가스카르항공-코르스에어 간 협력) 주재국 국적기인 마다가스카르항공과 프랑스 코르스에어 간 공동운항(Code Share) 협정이 체결되어, 두 항공사가 단일 항공권으로 전체여정을 예약할 수 있게 된바, 9.18.(목)부터 안타나나리보-생드니(레위니옹) 간 노선이 코드쉐어 방식으로 운영됨.
- 더불어, 양사는 인터라인 특별 요율 협정(SPA)도 체결하여, 코르스에어 승객이 마다가스카르항공의 국내선으로 쉽게 연결되고, 마다가스카르항공 승객 또한 코르스에어 국제선으로 쉽게 환승할 수 있도록 운영
라. 2026년도 성장률 전망
ㅇ 주재국 정부는 2026년 예산안에서 2026년 GDP 성장 목표치를 4.8%로 설정하고 ①쌀 자급자족 및 농업 다변화 ②재생 에너지 확대 ③도로, 항만, 공항 현대화 ④교육, 보건, 식수, 사회보장 분야 투자를 중점으로 동 성장률을 달성하고자 한다고 밝힘.
ㅇ 반면 전문가들은 생산성 부족, 금융 접근성 부족, 에너지 인프라 미비, 잦은 정전, 바닐라 시장 재고 과잉, 니켈 및 코발트 가격 폭락 등을 이유로 동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울 것으로 평가하고 있음.
※ 2024년도 실제 성장률은 4.2%, 인플레이션은 7.1%에 달했으며, IMF는 2025년도 성장률을 기존 4.6%에서 3.9%로 하향 조정하고, 인플레이션은 8.4%로 예상.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