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청정에너지 전환과 에너지 효율향상

작성자
주 오이시디 대표부
작성일
2023-09-04
수정일
2023-09-04
첨부

청정에너지 전환과 에너지 효율향상


◇ IEA는 청정에너지 전환을 달성하기 위한 핵심 수단으로 에너지효율 향상, 최종 에너지 부문의 전기화, 재생에너지의 보급 확대 등 3가지를 제시

ㅇ 특히, 수소, 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등과 달리 에너지 효율향상은 비용 효과적이며 바로 실행가능한 기술을 토대로 하고 있어 최우선 수단으로 강조


◇ 아울러 에너지 효율향상을 포함한 에너지 수요부문 정책은 연료 전환(fuel switching), 전력망의 유연성 확대(increased flexibility) 등을 통해 에너지 전환에 기여할 수 있다고 분석

ㅇ 우선, 자동차 에너지효율향상 기준을 연비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전기차 보급을 촉진하여 화석 연료를 전기로 전환

ㅇ 아울러 청정에너지 전환을 위한 재생에너지 확대는 전력 공급 변동성을 증가시켜 보다 유연한 전력망이 필수적으로 요구

- 전력망 유연성 확대는 예비 전력(reserved generation), 에너지 저장(storage), 수요 반응*(demand response) 등이 핵심 수단

* 수요 반응 : 전기 사용자가 전기 요급이나 보상금에 반응하여 전력 소비 패턴을 변경하는 것을 의미

- 이 중 전력망의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가장 중요한 수단은 수요 반응으로, 수요 반응은 전기 수요자의 소비 행태를 변화시킴으로서 가장 효율적, 효과적으로 전력망의 유연성을 확대

※ 출처 : IEA The Evolution of Energy Efficiency Policy to Support Clean Energy Transition(IEA, 2023.4월)




소개된 요약 자료에 대한 전체 내용은 첨부하는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