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글로벌 참여, 지속가능성 및 디지털 역량을 높이는 학교교육

작성자
주 오이시디 대표부
작성일
2023-06-12
수정일
2023-06-12

글로벌 참여, 지속가능성 및 디지털 역량을 높이는 학교교육


◇ (교직의 승격과 강화) 교직의 매력도는 물질적인 것을 넘어 사회적 지위, 자기효능감, 보람도 등의 조합으로 형성

☞교사의 초기 교육과 지속적인 전문성 계발과 적절한 금전적 보상, 매력적인 경력구조와 근무조건 구축, 교직의 사회적 명성과 신뢰 보호 필요

☞교사 주도 협업 공동체 형성 및 교직 전문성 표준 개발 등 자율규제 체제를 도입하여 주인의식을 높이고, 리더는 인적‧물적‧재정적 투자 및 보수적인 구조 혁신 추진


◇ (글로벌 참여와 지속가능성) 현재 학교는 과목별, 학교별, 직업 전망별로 단절적이고, 교육기회의 불평등은 포용적‧민주적 사회 구축을 저해

☞학교는 학생들이 사고의 자율성을 배우고 현대 생활의 다양성을 인식‧포용하는 정체성을 개발하도록 지원, 글로벌 이슈와 다양한 문화에 대한 포용성을 높이는 학교, 가정 및 사회 환경이 중요

☞교육을 통해 기후 위기 뒤에 숨겨진 과학과 그로 인한 정치‧경제‧윤리적 영향에 대한 이해 제공, 친환경적 지식, 태도와 행동 함양, 교육 시스템 인프라와 운영의 녹색화 추진


◇ (디지털화) 디지털화는 다양한 방식과 저렴한 비용으로 지식에 효율적으로 접근하는 것을 도와주고, 교수학습의 혁신을 촉진하며, 특별한 교육적 요구를 가진 사람들에게 새로운 학습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음 

☞교사의 디지털에 대한 이해‧실습‧적용을 적극 지원하고 협업 기반 교육 생태계(학습자 공동체, 교사 공동체, 정책 공동체)를 구축

☞디지털 기기를 단순히 많이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잘 활용하는 것이 중요, 학생들이 미디어와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갖추고 비판적 사고와 윤리적 판단 역량을 발전시킬 수 있는 교육 필요

※ Teaching for the Future–Global Engagement, Sustainability and Digital Skills (’23.5.): OECD-미 교육부가 공동 개최한 국제교직정상회의(ISTP, 23.4.)를 계기로 발간



소개된 요약 자료에 대한 전체 내용은 첨부하는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