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1세기 역량 계발을 위한 학교 평가 혁신

작성자
주 오이시디 대표부
작성일
2023-07-10

21세기 역량 계발을 위한 학교 평가 혁신


◇ (발간 목적) 현대 세계는 더 이상 우리가 아는 것을 강조하지 않고 알고 있는 것을 활용해서 ‘할 수 있는 것’을 강조

☞이에 21세기에 필요한 복합적 역량의 측정에 중점을 둔 혁신적인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의 개발‧운영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평가 시스템을 개혁하는 국가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 탐색


◇ (21세기 역량) 21세기 지식경제에서 ① 성공적으로 생활하고 일하기 위해, ② 다양해지는 사회에 적절하게 참여하기 위해, ③ 신기술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④ 변화와 불확실성에 적응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 기술 및 태도

☞비판적 사고, 창의성, 의사소통, 협업, 메타인지 및 디지털 역량 등이 포함되며, 어떤 논의나 국가를 막론하고 일관되게 강조


◇ (핵심 방향) 평가는 측정하기 쉬운 것이 아니라 중요한 것을 측정해야 함

☞학생들은 단순히 얼마나 많이 아느냐가 아니라 주어진 상황에서 지식과 자원을 어떻게 적용해서 무엇을 할 수 있는지 평가받아야 하며, 맥락에 따라 연결된 지식을 협업을 통해 습득하고 활용하는 것에 대한 평가 중요

☞차세대 평가는 전통적인 평가를 대체하기보다 평가의 다양성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접근해야 하며, 사회문화적 맥락이 달라도 측정의 동등성을 확보하여 평가 결과가 비교 가능해야 함


◇ (디지털화) 디지털 기술은 평가에서 단순한 인지적 역량 뿐 아니라 문제 해결, 의사 소통, 정서 반응 등 다양한 역량을 관찰할 수 있게 하는 잠재력을 지님

☞그러나 일관성 있는 평가설계의 어려움, 신기술의 끊임없는 등장, 국가간 기술 가용성 격차 및 알고리즘 편향 등 한계가 있으므로 평가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원칙과 절차가 필요

※ [원문] Innovating Assessments to Measure and Support Complex Skills (’23.4.)



소개된 요약 자료에 대한 전체 내용은 첨부하는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