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OECD-FAO 농업전망 2023-2032

작성자
주 오이시디 대표부
작성일
2023-09-25
수정일
2023-09-25

OECD-FAO 농업전망 2023-2032


1. 가정 


◇ 현재 각 국가들의 농업 정책이 그대로 유지되는 것을 가정하고 소비자 선호도와 생산 기술 변화 추세를 반영하여 분석

* (주요 가정) △향후 10년 동안 전 세계 평균 경제 성장이 2.7%에서 2.6%로 하향 조정(IMF, 2022년 10월), △세계 인구 증가율은 0.8%로 감소(지난해 1.1%), △에너지 가격은 2023년에 약간 감소한 후 2032년까지 완만하게 증가


2. 농식품 시장 전망


◇ (소비) 전 세계 농식품 소비는 향후 10년간 연평균 1.3% 증가하나. 인구 및 1인당 소득 성장 둔화로 인해 이전 10년보다 둔화

ㅇ (식품) 세계 인구 및 1인당 소득의 증가에 힘입어 향후 10년간 식품 수요는 15% 증가

   * 전 세계적으로 매년 약 14%(4,000억 USD 상당)의 식품이 수확 및 소매 단계에서 손실되며, 약 17%의 식품이 소매 및 소비 단계에서 폐기

ㅇ (사료 및 연료 등) 저소득 및 중간 소득국의 사료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바이오연료 공급 작물에 대한 수요는 완만세


◇ (생산) 전 세계 농업 생산량은 연평균 1.1% 증가하며, 중간 및 저소득 국가의 성장에 기인

ㅇ R&D․인프라 투자 강화, 관리 기술 개선 등 생산성 향상이 주도

ㅇ 농업 온실가스 직접 배출은 향후 10년간 7.6% 증가하나 농업 생산 성장률(12.8%) 보다 낮아 탄소 집약도는 감소


◇ (무역) 2000년대 초까지 빠르게 늘었으나 향후 10년간의 성장세는 둔화(연평균 1% 증가, 지난 10년간의 1/3)

ㅇ 다자간 관세 인하와 무역 왜곡 지원 개선의 정체가 주요인


◇ (가격) 최근 농산물의 실질 가격이 크게 상승했지만, 장기적 하락 추세 지속

   * 경제적, 정치적 충격(예: 코로나19 대유행 및 분쟁), 기후변화, 무역정책의 불확실성 등 수요 및 공급망에 대한 충격이 가격 변동의 주요 요인

※ OECD와 FAO는 향후 10년간의 세계 농수산업 전반의 소비, 생산, 무역 및 가격에 대해 조망하는  ‘OECD-FAO 농업전망’ 보고서를 매년 발간





소개된 요약 자료에 대한 전체 내용은 첨부하는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