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3. 4월 | 최규하 국정자문위원장 |
---|---|
1996.10월 |
공로명 외무장관(한.EU기본협력협정 서명) |
2015.11월 | 윤병세 외교장관 방문(제12차 ASEM 외교장관 회의) |
2019.10월 | 박삼득 보훈처장 |
2021.12월 | 정진석 국회부의장 |
2023. 9월 | 박민식 국가보훈부 장관 |
1979.10월 | 앙리(Henri) 대공세자 |
---|---|
1984. 4월 | 앙리(Henri) 대공세자 |
1985.10월 | 앙리(Henri) 대공세자, 산터(Santer) 총리, 푸스(Poos) 외무장관(IMF/IBRD 총회 참석) |
1988. 9월 | 장(Jean) 대공 내외 |
1990.10월 | 앙리(Henri) 대공세자 |
1993. 4월 | 앙리(Henri) 대공세자 |
1995.11월 | 앙리(Henri) 대공세자 |
1997. 9월 | 앙리(Henri) 대공세자 및 괴벨스(Goebbels) 경제장관 |
2000.10월 | 융커(Juncker) 총리 및 폴페(Polfer) 외무장관(제3차 ASEM 정상회의) |
2001. 3월 | 기욤(Guillaume) 대공세자(경제사절단) |
2004. 3월 | 그레테(Grethe) 경제부장관(경제사절단) |
2006.10월 | 기욤(Guillaume) 왕자, 프라이든(Freiden) 재무예산장관 |
2011. 4월 | 아셀보른(Asselborn) 외교장관 |
2011. 5월 | 기욤(Guillaume) 대공세자 및 크레케(Krecke) 경제통상부장관(경제사절단) |
2014.10월 | 기욤(Guillaume) 대공세자, 슈나이더(Schneider) 부총리겸 경제장관 및 바우슈(Bausch) 지속개발 인프라 장관(경제사절단) |
2015. 1월 | 그라메그나(Gramegna) 재무장관 |
2017. 2월 | 그로츠(Grotz) 경제부 차관 |
2017. 9월 | 슈나이더(Schneider) 부총리 겸 경제장관 회의 |
2018. 2월 | 앙리(Henri) 대공(평창 동계올림픽 계기) |
2018. 7월 | 베텔(Bettel) 총리 |
2019. 7월 | 에티엔 슈나이더(Etienne Schneider) 부총리 겸 경제장관(우주포럼, 경제사절단) |
2022.11월 | 기욤(Guillaume) 대공세자, 파이오(Fayot) 경제장관(경제사절단) |
2023. 2월 | 바케스(Backes) 재무장관(투자사절단) |
2023. 7월 | 베텔(Bettel) 총리(정전 70주년 기념 행사) |
2024. 6월 | 베텔(Bettel) 부총리겸외교장관, Obertin 고등교육연구부장관 |
Henri 대공은 대공세자 즉위이후 1979.10월 최초의 해외방문 국으로 한국을 방문하는 등 2018.2월까지 평창 올림픽 포함 8차례 방한(Guillaume 대공세자도 대공세자 즉위 이후 경제사절단을 이끌고 최초의 해외 방문국으로 한국을 방문)
1970. 4월 |
사증면제협정 |
---|---|
1974.12월 |
한.벨.룩 투자보장협정 |
1978. 6월 |
한.벨.룩 경제협력협정 |
1984.11월 |
이중과세방지협정 * 개정협상 진행중 |
1987. 1월 |
한.벨.룩 해운협정 |
2003. 5월 |
한.룩 항공협정 |
2018. 3월 |
한.룩 사회보장협정 서명(19.9월 발효) |
최근 몇 년간 교역액이 늘고 있으며, 2023년 교역액 116백만불(수출 44, 수입 72, 수지 △28)
구분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
---|---|---|---|---|---|---|---|---|
수출 |
금액 |
19.4 |
28.2 |
24.6 |
18.4 |
37.4 |
50 |
44 |
증가율 |
81.6 |
45.0 |
△12.7 |
△25.2 |
103 |
32.8 |
△11.3 |
|
수입 |
금액 |
69.0 |
68.7 |
67.7 |
75.4 |
104.1 |
91 |
72 |
증가율 |
△15.9 |
△0.5 |
△1.4 |
11.4 |
38 |
△12.6 |
△20.7 |
|
무역규모 |
88.5 |
96.9 |
92.3 |
93.9 |
141 |
141 |
116 |
|
무역수지 |
△49.6 |
△40.5 |
△43.1 |
△57 |
△66.7 |
△41 |
△28 |
주요 수출 : 항공기부품, 알루미늄괴 및 스크랩, 플라스틱깔개 및 벽비복 등
주요 수입 : 밸브, 동조가공품, 레이더 및 항해용무선기기 등
5대 수출 품목 |
5대 수입 품목 |
||||||
---|---|---|---|---|---|---|---|
순위 |
품목명 |
금액 |
증가율 |
순위 |
품목명 |
금액 |
증가율 |
1 |
항공기부품 |
11 |
3674 |
1 |
밸브 |
24 |
24 |
2 |
알루미늄괴 및 스크랩 |
6 |
333 |
2 |
동조가공품 |
21 |
△21 |
3 |
플라스틱깔개 및 벽피복 |
5 |
△44.8 |
3 |
레이더 및 항해용무선기기 |
6 |
48 |
4 |
합성수지 |
15 |
47.6 |
4 |
부직포 |
5 |
△30 |
5 |
기타섬유제품 |
5 |
130 |
5 |
합성수지 |
5 |
6 |
룩셈부르크의 對한 투자는 2022.12월 기준 총 55.3억불(누적)
구분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누계 |
---|---|---|---|---|---|---|---|---|---|---|
건수 |
13 |
15 |
12 |
13 |
11 |
10 |
20 |
19 |
13 |
366 |
금액 |
1,920 |
186 |
190 |
195 |
154 |
122 |
222 |
285 |
155 |
5,534 |
한국의 對룩셈부르크 투자는 2022.9월 기준 총 188억불(누적)로 2019년 최대 투자액(49.6억불)을 기록
대부분이 금융* 및 부동산 투자*이며, 주로 제3국 진출**을 위한 교두보 역할
구분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9월 |
누계 |
---|---|---|---|---|---|---|---|---|---|---|
건수 |
30 |
29 |
56 |
80 |
123 |
173 |
149 |
216 |
176 |
1,147 |
금액 |
1,385 |
517 |
1,342 |
2,411 |
3,949 |
4,963 |
5,682 |
8,007 |
5,101 |
35,193 |
자료 : 신고기준, 수출입은행, 총계는 1968년 이후 누계
수정일자 : 2024. 11.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