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정책

한국과의 관계

  1. 정책
  2. 한국과의 관계
  • 글자크기

우리나라와의 관계

작성자
주네덜란드대사관
작성일
2014-05-21

우리나라와의 관계

 

1. 역사적 관계

 

. 박연의 표류

    ◦ 1627년 네덜란드 선원 Jan Jansz Welteveree3인이 제주도에 표류함.

    ◦ 조정은 벨테브레에게 박연이라는 이름을 내리고 한국 여자와 혼인시켜 조정 내 훈련도장에
       배속
, 한국에서 살게 함(박연과 함께 표류한 2명은 병자호란시 전사).

    ◦ 1989.12.9 박연의 출생지인 네덜란드 드레이프(de Rijp)시가 축소 제작한 풍차와 현지의 박
       연동상을 기증
, 1991년 서울시가 어린이 대공원에 설치함.

 

. 하멜 표류기

    ◦ 1653Hendrik Hamel 등 네덜란드인 38명이 바타비아(자카르타)에서 나가사끼로 항해중 제주
       도에 표류하여 여수
, 순천, 남원 등지의 병영에서 지내다가 16668명이 탈출함.

    ◦ 이들 중 Hamel은 귀국 후 난선 제주도 난파기(An Account of the Shipwreck of a Dutch Vessel
      on the Coast of the Isle of Quelpaert)
와 부록 조선왕국기(Description of the Kingdom of the
      Corea)
를 저술, 한국을 서양에 최초로 소개함.

 

. 헤이그밀사 사건

    ◦ 1907년 헤이그에서 열린 제2차 만국평화회의에 고종이 이상설, 이준, 이위종 3인의 밀사를
       파견하였으며
, 동인들은 헤이그에서 을사조약의 무효와 회의 참석을 주장하다가 일본의 방해
       로 회의참석을 거부당함
.

    ◦ 이에 동인들은 각국 대표들을 방문하거나 언론에 호소하는 등의 활동을 벌이던 중 이준 열사가
      
7.14 현지에서 순국하였으며 그 유해는 헤이그 근처에 안장되었다가 1963년 서울 수유리 본지
      로 이장되었음
.

    ◦ 이 사건의 여파로 고종 황제가 물러나고 순종이 즉위하였으며 일본과의 신협약 체결로 군대가
      해산되고 일본이 내정 감독권을 갖게 됨
.

 

. 한국전 참전

    ◦ 기 간 : 1950.71955.1

    ◦ 규 모 : 보병 1개 대대, 연 함정 6, 연 인원 5,322

    ◦ 주요전적 : 인천상륙작전, 청주, 원주, 횡성지구 전투 참가

    ◦ 인명피해 : 768(전사 120, 부상 645, 실종 3)


    
16개 유엔 참전국중 유일하게 전투(횡성전투)중 사령관(Den Ouden 중령)이 사망

 

 

2. 정무관계

 

. 네덜란드의 대한반도 정책

    ◦ 네덜란드는 참전 16개국의 일원이며 UNCURK(국제연합 한국통일부흥위원회) 7개 회원국으
      로서
UNCURK 활동에 적극 기여하였으며, 유엔 등 국제무대에서 우리의 입장을 지지해 온
      전통 우방국임
.

    ◦ 북한과는 2001년 수교 이후에도 실질적 관계증진은 없고, 북한 핵무기 등 대량살상무기
      확산
, 인권문제에 대해 원칙적 입장을 견지함으로써 비판적 자세를 취하고 있으며, 한국
      의 통일방안 및 대북정책을 지지하고 있음
.

 

. 주요 외교일지

    1949.7.25 대한민국 승인

    1950.7. 네덜란드군 한국전 참전(보병 1개대대, 함정1)

    1961.4.4 대사급 외교관계 수립 합의

    1962.1.23 주불 백선엽 대사 신임장 제정(겸임)

    1966.2.23 주불 이수영 대사 신임장 제정(겸임)
    

    1968.11.29 J.Q.Bas Backer 주한 네델란드대사 신임장 제정(겸임, 일본 상주)


    1968.12.24 주한네덜란드 상주공관 설치 및 I. Verkade 네덜란드 대리 대사임명  


    1969.10.15 주네덜란드 상주공관 설치 및 안진생 대리대사(초대 대사)임명

    1971.2.24 송광정 대리대사(2대 대사) 임명

    1971.10.6 T.P. Berqsma 네덜란드 대리대사 임명

    1972.5.27 M.J. Meijer 네덜란드 대리대사 임명

    1974.1.19 W.CH.E.A.de 네덜란드 대리대사 임명

    1974.4.11 최완복 대사 신임장 제정(3)

    1975.12.27 C.D.Barkman 주한네덜란드대사 신임장 제정(겸임)

    1977.7.5 연하구 대사 신임장 제정(4)

    1978.4.21 R. Van de Berg 대사 신임장 제정(초대)

    1980.3.21 암스테르담 총영사관 설치

    1980.7.3 김봉규 주암스테르담 총영사 임명(초대)

    1981.9.2 윤영교 대사 신임장 제정(5)

    1982.2.28 주암스테르담 총영사관 폐쇄

    1982.9.23 A.B. Hoytink 대사 신임장 제정(2)

    1983.8.24 윤하정 대사 신임장 제정(6)

    1986.4.1 J.Van Ebbenhorst Tengbegen 대사 신임장 제정(3)

    1986.5.21 한우석 대사 신임장 제정(7)

    1987.5.13 윤억섭 대사 신임장 제정(8)

    1989.11.8 최상섭 대사 신임장 제정(9)

    1990.1.17 Elink Schuurman 대사 신임장 제정(4)

    1991.10.8 Paul Lagendijk 대사 신임장 제정(5)

    1992.11.4 임인조 대사 신임장 제정(10)

    1995.11.1 김경철 대사 신임장 제정(11)

    1995.11.28 Joost P.M.Wolfswinkel 대사 신임장 제정(6)

    1997.3.12 권인혁 대사 신임장 제정(12)

    1998.5.20 송영식 대사 신임장 제정(13)

    1999.10.21 H.G. De Vries 대사 신임장 제정(7)

    2000.9.27 김용규 대사 신임장 제정(14)

    2003.9.3 엄근섭 대사 신임장 제정(15)

    2003.9.30 Radinck J. van Vollenhoven 대사 신임장 제정(8)

    2005.4.15 주네덜란드대사관겸 주헤이그국제기구대표부로 개칭

    2006.5.3 최종무 대사 신임장 제정(16)

    2007.2. Hans Heinsbroke 대사 신임장 제정(9)

    2008.10.8 김영원 대사 신임장 제정(17)

    2010.10.12 Paul Menkveld 대사 신임장 제정(10)

    2011.9.28 이기철 대사 신임장 제정(18)

 

. 주요 인사교류

    1973.7.3-4 김신 교통부장관

    1973.8.14-15 김용식 외무장관

    1974.10.2-5 장예준 상공부장관

    1975.3.21 김동조 외무장관

    1977.9.29-10.1 이용희 통일원장관

    1978.10.22-25 C.A.Van der Klaauw 외무장관

    1979.6.14-17 김종필특사

    1981.7.3-7 D.S.Juijnman 교통공공사업장관

    1981.12.13-15 노태우특사

    1983.9.24-29 Bolkestein 대외무역장관

    1984.1.3-6 P.A.J.M Steenkamp 상원의장

    1984.6.21-24 이원경 외무장관

    1985.1.23-26 N.Smit-Kroes 교통공공사업상

    1985.1.31-2.1 이진우 국회사무총장


    1985.4.12-16 Rund Lubbers 총리(Hans van den Broek 외무장관 수행)

    1985.5.19-27 A.A.M. van Agt 전 총리

    1985.6.10-15 금진호 상공부장관

    1985.6.26-28 이재형 국회의장

    1985.9.24 O. Ruding 재무장관

    1985.10.6-11 E.M. Schoo 개발협력장관(IMF 참석)

    1985.10.20-28 A.Ploeg 농수산 정무장관

    1986.3.19-22 C.H.E.Brainich Felth 해군참모총장

    1986.10.17-18 G. van Aardenne 전 부총리

    1986.11.2-4 최상화 해군참모총장

    1987.1.20-22 노신영 국무총리

    1987.5.19-21 차규헌 교통부장관

    1988.1.18-20 R.W.De Korte 부총리 겸 경제부장관

    1988.9.25-10.4 Dolman 하원의장

    1988.9.25-10.2 A. Ploeg 하원 국방위원장

    1988.10.18-21 Yvonne Van Rooy 대외무역장관

    1989.2.1-4 조순 부총리

    1989.2.8-12 김대중 평민당총재

    1989.9.3-5 한승수 상공부장관

    1989.10.15-17 Neelie Smit-Kores 교통공공사업장관

    1990.6.24-26 Braks 농수산장관

    1991.5.5-8 Mrs. Van Rooy 통상장관

    1992.2.23-26 Maij-Weggen 교통·공공사업장관

    1995.5 김철용 해운항만청장

    1995.8 황창평 국가보훈처장

    1996.5 Linschoten 사회고용부차관

    1996.6.9-12 Wim Kok 총리

    1997.10.12-16 Jorritsma 교통공공사업장관

    1999.3 고건 서울시장

    1999.6.16-13 Willem-Alexander 왕세자(서울 IOC 총회 참석)

    2000.10.19-21 Kok 총리(ASEM 참석)

    2000.11 김명자 환경장관

    2001.5 최경원 법무장관

    2001.4.30-5.4 Jorritsma 경제장관

    2001.6 정우택 해양수산부장관

    2001.6 최경원 법무장관

    2002.7 이종찬 동북아 비즈니스 중심국가 발전기획단장

    2002.9 한갑수 국회 농어업특위위원장

    2002.9.20-21 김대중 대통령(암스테르담 경유 방문)

    2002.10 이홍구 세계박람회 대통령특사

    2002.11 신홍 노사정 위원장

    2003 Willem-Alexander 왕세자(동계올림픽 후보지 실시단)

    2003.5 김영진 농림부장관

    2003.5 강현욱 전라북도지사

    2003.6 허성관 해양수산부장관

    2003.6 손학규 경기도지사

    2003.7 Karien van Gennip 통상장관

    2003.10 김혁규 경상남도지사

    2003.11 안주섭 국가보훈처장

    2004.3 김금수 노사정위원장

    2004.3 이정우 대통령정책자문특위 위원장

    2004.4 오영교 KOTRA 사장

    2004.4 백충현 서울대 대학원장, 최서면 국제한국연구원장

    2004.8 김광원 국회 농림해양수산위 위원장

    2004.8 맹형규 국회 산자위 위원장

    2004.12 박준영 전남지사

    2005.3 오거돈 해양수산부장관

    2005.5 허남식 부산시장

    2005.5 김태호 경남지사

    2005.5 Wim Kok 전 총리 방한(Global Forum 참가)

    2006.6 김성진 해양수산부장관

    2006.9 이완구 충남지사

    2006.9 김완주 전북지사

    2006.10 임채정 국회의장

    2006.10 이명박 전 서울시장

    2007.3 박명재 대통령특사(여수 세계박람회 유치 활동)

    2007.8 강무현 해양수산부장관

    2007.10 송민순 외교장관

    2008.10 Maxime Verhagen 외교장관

    2008.10 김경한 법무장관

    2009.3 유명환 외교통상장관

    2009.4 한승수 국무총리

    2009.6 원유철 국회독도특위 위원장

    2009.8 이인기 국회기후변화특위 위원장

    2009.11 Wim Kok 전 총리

    2010.4 Jan Peter Balkenende 총리

    2010.5 이강국 헌법재판소장

    2010.5 김황식 감사원장

    2010.9 Wim Kok 전 총리

    2010.9 김준규 검찰총장

    2010.9 이각범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 위원장

    2010.10 이기택 민주평통자문회의 수석부의장

    2010.11 최서면 국제한국연구원장

    2010.12 Willem-Alexander 왕세자(Global Water 포럼 참석)

    2011.1 이강래 한-구주 의원외교협회 회장

    2011.4 박근혜 대통령특사(-네덜란드 수교 50주년 기념)

    2011.5 -네덜란드 의원친선협회

    2011.5 강현욱 새만금공동위원회 위원장

    2011.5 김동수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

    2011.7 현병철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

    2011.7 장광근 국회국토해양위원회 위원장

    2011.7 Wim Kok 전 총리

    2011.8 남경필 국회외교통상통일위원회 위원장


    2011.11 Ben Knapen 외교부 유럽·국제협력장관(부산세계개발원조총회 계기)

    2012.3 Uri Rosenthal 외교장관(2012 핵안보정상회의 참석)

    2012.5 Henk Kool 헤이그 부시장

    2012.5 송석구 사회통합위원장

    2012.5 우기종 통계청장

    2012.6 Willem-Alexander 왕세자(여수박람회 참석)

    2012.8 안홍준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장

    2012.9 안희정 충남도지사   

    2013.2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장관


    2013.2 Jan Peter Balkenende 전총리(대통령 취임식 축하 특)


    2013.3 박태호 통상교섭본부장 



    2013.3 이병석 국회부의장



    2013.3 Jan Peter Balkenende 전총리(아시아리더쉽 컨퍼런스 참가)



    2013.4 반기문 유엔사무총장(OPCW 평가회의 참석)



    2013.4 서상기 대통령특사(국왕 즉위식 참석)


    2013.5 진영 보건복지부장관 



    2013.5 최규성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장  


    2013.5 Fred de Graaf 상원의장 



    2013.6 방하남 고용노동부장관  


    2013.6 이동필 농식품부장관  


    2013.7 이준 헌법재판소 사무차장  


    2013.7 Middendorp 국방총장(정전협정 60주년 기념식 참석


    2013.8 반기문 유엔사무총장(평화궁 설립 100주년 기념식 참석)  

    2013.9 Eberhard van der Laan 암스테르담 시장 


    2013.10 Uri Rosenthal 전외교장관(사이버스페이스총회 대표)


    2014.1 정승 식약처장



. 고위 정무협의회 


    1983.11         1차 정책협의회(헤이그)

                        수석대표이복형 구주국장/Van den Berg 아주국장

    
    1988.5
           2차 정책협의회(헤이그)

                         수석대표민형기 구주국장/Vijverberg, H.A.C. 본부대사

   
    1991.7
           3차 정책협의회(서울)

                        수석대표권영민 구주국장/Van Tooren 아주국장

    
    1995.9
           4차 정책협의회(헤이그)

                            수석대표이재춘 제1차관보/Joris Michael Vos 정무차관보

    
    2004.2
           정무 협의(헤이그)

                        김영석 구주국장/Jones-Bos 지역정책 부차관보



    2004.11
         정무 협의(헤이그)

                        이선진 외교정책실장/Siblesz 정무차관보


    2005.3
          정무 협의(헤이그)

                        천영우 외교정책실장/Schaper 정무부차관보


    2012.11
         다자정책협의회(헤이그)

                        김봉현 다자조정관/Karel van Oosterom 정무차관보


    2012.12
         개발협력정책협의회(헤이그)

                        김봉현 다자조정관/Rob Swartbol 국제협력차관보


    2013.1
           영사안전협의회(헤이그)


                        문하영 재외동포대사 겸 대테러국제협력대사/Monique 


                        
van Daalen 외교부 수석차관보









3.
경제관계


. 무역관계

                                                 ≪ 양국간 무역현황
                                                                                                    단위: 억불, (증감 %)

구 분

2009

2010

2011

2012

2013

수 출

45.3 (-29.3)

53.1 (17.2)

46.3 (-12.8)

50.5 (9.3)

55.1 (9.0)

수 입

20.6 (-36.4)

41.9 (103.4)

44.2 (5.6)

39.9 (-9.8)

42.1 (5.5)

무역수지

24.7 (-22.1)

11.2 (-54.7)

2.1 (-81.3)

10.6 (431.3)

13.0 (22.6)


자료원 : 한국무역협회

 

1) 무역 현황

    ◦ 수입은 2009년 세계 금융위기로 크게 감소 후 201011년간 다시 증가하였으나,
      2012
년 네덜란드의 주력 수출품인 반도체 제조용 장비에 대한 한국내 수요 감소로
      수입이 다시 감소하면서 무역수지 흑자폭은
201210억 불로 증가 

    ◦ 2013년에는 수입이 2012년보다 5% 상승하였으나, 수출이 9% 증가하여 무역수지는 13
     불 흑자 기록

     - 네덜란드는 독일에 이어 한국의 EU 2대 수출 대상국이며, 교역규모 기준으로는
       
EU 국가 중 독일, 영국에 이어 3대 교역국으로 2013년 교역액은 총 97억 불

 

2) 수출입 주요 품목

    ◦ 우리나라의 대네덜란드 10대 수출품(2013)

      - 제트유 및 등유(13.4억불), 경유(8.4억불), 윤활유(3.7억불), 무선전화기(2.7억불), 자동차
        
(1.9억불), 건설 중장비(1.4억불), 자동차부품(1.3억불), 보조기억장치(1.2억불), 정밀화학
         원료
(1.1억불), 합성수지(0.9억불 

    ◦ 우리나라의 대네덜란드 10대 수입품(2013)

      - 반도체 제조용 장비(16.3억불), 반도체 제조용 장비부품(2.3억불), 우라늄(1.5억불), 고철(1.1억불),
          
낙농품(0.9억불), 합성수지(0.8억불), 배전 및 제어기(0.8억불), 나프타(0.7억불), 기초유분
        
(0.7억불), 철구조물(0.7억불)

 

. 투자관계

                                                    ≪ 양국간 투자현황
                                                                                                                (단위: 백만불)

 

2009

2010

2011

2012

2013

누계(19622013)

네덜란드한국

1,897

1,184

1,011

634

618

22,297

한국네덜란드

1,768

1,770

311

2,921

1,455

12,784

 
자료원 : 한국수출입은행



 

1) 네덜란드의 우리나라에 대한 투자

    ◦ 네덜란드는 미국, 일본에 이어 세계 제3위의 한국 투자국이며, 1962부터 2013년 말 기준
     총
222.97억 불(신고기준) 투자 

     - ING(금융), Philips(전자), ASML(반도체장비), Akzo Nobel(화학), DSM(화학) 등 대기업들이 주로 투자

     - 네덜란드의 우리나라에 대한 투자는 네덜란드 국적기업의 투자보다는 네덜란드 소재
        미국
, 일본 등 제3국의 paper company에 의한 우회투자가 큰 것으로 분석(KOTRA 암스
        테르담 무역관 조사결과
)

         · 네덜란드는 세계 금융의 중심지로서 기업 친화적 조세제도 보유, 우리나라를 포함한
         제3국과의 광범위한 이중과세방지협약 체결 등 외국 기업이 투자하기에 유리한 조건
         을 보유하고 있어 약
2,600개의 다국적 기업의 지주회사가 네덜란드에 설립운영 중


    ◦ 주요 투자분야
     
      -
[석유화학] 석유화학은 네덜란드의 주력산업으로 Shell, Akzo Nobel, DSM 등 글로벌 기업들이
            포진해 있으며 아시아 시장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한국 선택

      - [반도체] ASML2008년 인천국제공항 자유무역지역에 국제 물류 허브센터를 설립하여
             반도체 노광장비
(Lithography Machine) 각종 부품을 전 세계로 배송

      - [특수목적 물류] Vopak은 우리나라의 동북아오일허브 구축사업에 참여하기 위해 한국
          석유공사
(KNOC) S-OIL 함께 합작법인인 코리아오일터미널의 지분 투자(38% 보유)

 

2) 우리나라의 네덜란드에 대한 투자

    ◦ 우리나라네덜란드 투자는 2000년 대 후반에 증가하다 2011년 대폭 감소하였으나, 삼성
      전자의
ASML 투자가 이루어졌던 2012년 다시 급격히 증가한 후 2013년 다시 감소

      - 2012년에만 전체 누적 투자금액의 약 25%에 해당하는 29.2억 불 투자 

    ◦
네덜란드 투자 총액은 127.84억불이며, 한국은 제9위 네덜란드 투자국


      - 우리나라의 전체 해외투자액 중 약 3.5%


    ◦ 네덜란드 내에서 우리 기업 약 50개사가 현지법인(B.V.) 또는 지사형태로 진출영업하고 있으
      며
, 전자, 물류(운송), 중화학, 자동차, 금융 분야의 기업들이 다수 진출


      - 한국 기업들은 유럽 물류 및 판매 거점을 위해 네덜란드에 투자 



    ◦ 석유공사의 카자흐스탄 자원개발, 한국전력공사의 사우 라빅 발전소 건설을 위한 합자회
     사 설립 등 우회투자 다수

      - 우리 기업들은 러시아, 동유럽, 중앙아시아, 중동 등에 투자할 경우 네덜란드를 우회투자
        지로 활용

 


. 여타 경제 협력

 

1) 물류

    ◦ 네덜란드는 로테르담항, 스키폴 공항, 내륙 철도 및 운하 등 운송망을 잘 갖추고 있어 유럽의
       물류 중심지 역할 담당


    ◦ 우리나라의 대유럽 수출 중 상당 물량이 로테르담항을 통해 반입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우리
      나라의 해운 선사는 네덜란드 선사 또는 제
3국 선사와 공동으로 로테르담항 내 공동 터미널
      운영


      - 한진해운은 K-Line(일본), Cosco(중국), Yangming(대만) 네덜란드 ECT와 공동으로 Euromax
        
터미널 설립

 

2) 조선

    ◦ 네덜란드는 무역강국으로서 에너지산업에 투자를 집중하고 있어 컨테이너선, 유조선, 가스운반
      선
, 석유 및 가스탐사개발 관련 시설의 주요 구매자이며, 우리나라는 조선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어 이 분야에서의 협력이 활발히 진행


    ◦ Royal Dutch Shell와 삼성중공업은 2009.715년간 Shell사 발주 예정인 대형 LNG-FPSO
      (Floating Production Storage & Offloading Unit (
해상 부유식 액화플랜트)) 삼성중공업이
     독점 공급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기본계약 체결 후
2011.5월 호주 프릴류드 프로젝
     트용
LNG-FPSO 1(30억불 규모)에 대해 본 계약 체결

 

3) 수자원 관리

    ◦ 오랜 역사의 간척사업을 통해 세계적 수준의 수자원 관리기술을 보유한 네덜란드는 한국
      의 새만금 간척사업에 참여하길 희망하고
있으며, 3국의 수자원 사업에도 한국과 공동으
      로 진출하길 희망


    ◦ 한국과 네덜란드는 2010.4월 국무총리실-네덜란드 경제부 간 새만금사업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
체결 이후 4차에 걸친 새만금사업 세미나 개최, 새만금투자유치 사절단의 네
     덜란드 방문 등을 통해 긴밀히 협력 중


빔 콕(Wim Kok) 전 총리는 새만금사업 명예자문관으로 활동(2009.11월 위촉)

 

4) 농업

    ◦ 2010.11월 국내에서 구제역이 발생하여 전국으로 확산됨에 따라 가축 접종용 백신이 긴급히

      필요하게 되자 우리 정부는
10여 개국을 긴급히 접촉하고, 백신 제공을 요청하였는데, 네덜란
      드는 보유 중인 구제역 백신
200만 회분 중 100만 회분을 우리나라에 제공(매각


     - 이를 계기로 양국은 방역분야 정보를 상호 교환하기로 하였으며, 이후 우리나라 동물 방역
        대표단이 네덜란드를 방문
(2011.11)하는 등 동식물 방역분야 협력 증진


    ◦ 한편, 네덜란드는 2012년 여수세계박람회 및 2013년 순천정원박람회에 참가하였으며, 순천
      시가 우리 우리 정부의 지원을 받아
2012년 네덜란드 벤로(Venlo)시에서 10년마다 개최되는
       세계원예박람회인
‘Floriade 2012’ 참가하는 등 양국간 박람회 및 농업 분야에서의 협력도 확대

 



<
자료 1 >

주요 네덜란드 기업의 우리나라 투자 사례

 

구 분

기 업 명

분 야

소재지

투자신고

전 자

Philips

LCD 판넬

파주

99.7

제 약

Crucell

백신

인천

10.12

화 학

Akzo Nobel

화공(Ink 분해)

군산

99.9

선박용 도료

거제

98.5

화공(PE첨가제)

경주

02.1

Sigma Kalon

선박용 도료

울산

04.4

자동차부품

Inalfa Roof System

자동차 선루프

화성

95.12

Philips Lighting

자동차용 전구

안산

99.1

반도체

ASM Int‘l

반도체장비조립

천안

07.2

ASML

반도체장비판매A/S

화성

97.7

국제물류허브센터

인천공항

08.7

NXP

반도체생산장비

서울

06.9

금 융

ING Bank

Financing, M&A

서울

05.1

ING Insurance

생명 보험

서울

92.4

ABN-AMRO

Financing, M&A

서울

05.1

Rabo Bank

Financing

서울

06.1

물 류

AMB Property

물류창고

인천공항

06.2

Vopak Terminal

액체화학물류

울산

72.3

14.1

Samskip

냉동어류물류

부산

06.6

TNT

화물배송

서울

10.10

부동산

ING Real Estate

부동산펀드

서울

04.11

Rodamco Asia

부천 플라자,

은석빌딩

부천

05.12


Heineken, Unilever, DSM 등 국내 판매를 위한 영업거점 투자 제외




<
자료 2 >

네덜란드 진출 주요 우리기업 현황

분야

회 사

품목

업종

위치

전기

전자

삼성전자(판매)

가전정보통신기기

판매

Delft

삼성전자(물류)

가전정보통신기기

물류

Delft

삼성전자 CIS 법인

가전정보통신기기

판매

Delft

LG전자 유럽통합지원법인

가전정보통신기기

서비스/금융

Amstelveen

LG전자(판매)

가전정보통신기기

판매

Amstelveen

LG CNS

IT 서비스

판매/서비스

Amstelveen

LS 산전

전기장비

물류

Schiphol

삼성메디슨

의료용장비

판매/물류

Hoofddorp

중화학

수산중공업

중장비

판매

Spijkenisse

고려제강

철강

판매

Gorinchem

GB Industries

파석기, 해머

판매

Rotterdam

STX Windpower

풍력 터빈

판매

Lelystad

현대엔진 유럽 서비스 센터

선박엔진

판매/서비스

Rotterdam

현대중공업

선박

판매/서비스

Rotterdam

볼보건설기계

건설용중장비

판매/물류

Ammers

자동차

기아자동차

자동차

판매

Breukelen

쌍용자동차

자동차

판매

Breda

한국타이어

타이어

물류/판매

Schiphol

운송

물류

CJ GLS

운송

물류

Rotterdam

한진해운

해상운송

운송

Rotterdam

한진로지스틱스

운송

물류

Rotterdam

현대로지스틱스

운송

물류

Rotterdam

현대상선

해상운송

운송

Rotterdam

대한항공

여객운송

여객운송

Schiphol

하이로지스틱스

운송

운송

Oosterhout

범한판토스

화물운송

운송

Schiphol

금융

외환은행

소매금융

은행

Amstelveen

기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수산물

진흥기관

Rotterdam

대상 유럽

식품

판매

Amstelveen

마크로젠 유럽

유전자 감식

판매

Amsterdam

S-Oil

윤활유

판매

Amsterdam

SK 루브리컨츠 유럽

윤활유

판매

Amsterdam

삼일회계법인

회계서비스

회계서비스

Amsterdam

 




4.
문화관계

 

. 개요

    ◦ 양국간 문화협정이 체결되어 있지 않으나, 계기별로 문화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

    ◦ 2002년 월드컵에서의 우리 대표팀 선전 및 네덜란드 출신 히딩크 감독의 활약을 계기로
      양국 국민간 교류 및 네덜란드내 한국에 대한 인지도가 증대되는 계기가 됨



    ◦ 2013년부터 한국에 교환학생 경험이 있는 20대를 중심으로 자생한류단체가 만들어져 SNS
      한류행사를 통해 한류를 확산시키고 있으며
, K-pop을 넘어 K-movie, K-drama, K-food 등으로
      관심분야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임
.



      -
2013.8월 발족한 한류콘(facebook.nl/hallyuconNL)1,000여명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9
월 암스테르담에서 ‘Eat your Kimchi' 토크쇼(한국에 매료된 캐나다인 부부의 한국문화 알
         리기 행사
)를 개최하여 340명의 유료관람객이 참석



     - 한류콘은 2014.8월 유트레히트시에서 150명이 참가하는 23일 일정의 한류캠프’,
        10
월에는 암스테르담에서 1,000여명이 참가하는 한류컨벤션행사를 주최할 예정

 

. 최근 문화교류 현황(2000)


    2000.10-2001.1       네덜란드 국방부 주관 6.25전쟁 50주년 사진전 개최

    2001.2                     한국 전통복식 유럽 순회 방문(Rotterdam)

    2001.5                     국립합창단 방문 공연

    2001.8                     한국 축구대표팀 네덜란드 방문 친선경기

    2001.9                     한인화가 황영성작품전 개최(Geldrop)

    2001.11                   한국 남자 하키 국가대표팀 네덜란드 방문 경기

    2002.4                     한국 남자아이스하키 대표팀 방문(2002 세계선수권대회)

    2002.8                     한국 남자하키 대표팀 방문(2002 Rabobank Trophy)

    2003.2                     올림픽팀 친선축구경기(암스테르담 올림픽 스타디움)



    2003.4                     하멜 표류 350주년 기념 전통공예전시회 및 Korean Cultural Festival 개최
                                 
(호리쿰시)

    2003.5                     국립극장 총체극 우루왕공연(헤이그)

    2003.9-10               한국 현대 미술전시회(암스테르담



    2003.10                   꼭두각시인형극 공연(헤이그), ‘울타리굿공연(암스테르담)

    2003.2                     박찬옥 감독 질투는 나의 힘로테르담영화제 대상

    2004.11                   한국전통예술공연단 방문 공연(황병기 가야금 등)

    2007.7                     헤이그 특사파견 100주년 기념 늘휘무용단 공연(헤이그)

    2008.8                     5차 유럽 한국학 대학원생 학술회의(라이덴 대학)

    2008.8                     마스트리히트 음식축제 계기 한국음식축제 개최

    2009.2                   양익준 감독 똥파리로테르담영화제 대상

    2009.8                     마스트리히트 음식축제 계기 한국음식축제 개최

    2009.8                   유도 국가대표팀, 세계유도선수권대회 참가(로테르담)

    2009.9                   국방부 국악연주대.무용단 네덜란드 순회 연주

    2010.1                     박찬옥 감옥 파주로테르담영화제 개막영화로 상영

    2010.2                     JUMP 공연단 방문 공연(로테르담)

    2010.4                     한국 문화의 날행사 개최(바세나르)

    2010.5                   한국 영화제 개최(암스테르담)

    2010.9                     한국 문화의 밤행사 개최(헤이그)

    2010.9                   한국전 참전용사를 위한 리틀엔젤스 공연(헤이그)

    2011.4                     수교 50주년 기념 리셉션 개최(헤이그)

    2011.4                   수교 50주년 기념 태권도 시범행사(헤이그)

    2011.5                   수교 50주년 기념 국악그룹 Be-Being 공연(헤이그)

    2011.5                   수교 50주년 기념 Soul Sunflower 공연

    2011.7                   수교 50주년 기념 국제조형디자인협회전시회(호리쿰)

    2011.7                    한국패션문화협회, 국제패션아트페스티발 개최(헤이그)

    2011.8                   서울시립교향악단 암스테르담 공연

    2011.11                   한국영화 순회 페스티발 개최(델프트 등 6개 도시)

    2011.11                   구미 시립합창단 순회 공연(로테르담, 아인트호벤)

    2011.11                   한국음식 홍보행사 개최(아인트호벤, 마스트리히트)

    2011.12                  한국 근대대중문화 전시회(라이덴)

    2012.2                    한국빙상국가대표팀 세계빙상선수권대회참가

    2012.3                    라사문화원 한국전통국악연주회 공연

    2012.4                    아시아영화제 한국영화의 밤리셉션개최 및 고지전상영

    2012.5                    Floriade 2012 '한국의 날행사 개최(순천시 참여)

    2012.6                    한국여자하키국가대표팀 여자하키월드컵 참가

    2012.8                    한국여자농구팀 FIBA U17 세계여자농구선수권대회 참가

    2012.10                  세계약학연맹대회 한국의 밤행사 개최

    2012.11                  암스테르담 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한국의 날행사 개최

    2012.12                  한식세계화행사 한국의 맛행사 개최

    2013.2                    아시아영화제 한국영화의 밤리셉션개최

    2013.5                    아인트호벤 아시아주관 한국문화행사 개최

    2013.9                    한류자생단체 한류콘 ‘Eat Your Kimchi' 토크쇼 개최

    2013.10                  암스테르담 응용과학대학 Korea-Connect 심포지엄

    2013.11                  사우스홀란드주 호리쿰시 초등학교 한국전문수업 개시식

    2013.12                  한식세계화행사 개최

    2013.12                  정전60주년기념 사물놀이한울림 ‘Rhythms of Korea'공연

 

. Leiden 대학교 한국학과

    ◦ 1995년 네덜란드 최초로 한국학과를 독립학과로 설치운영중



       - (교수진) 현재 교수 1(학과장)과 강사 2명이 근무하고 있으며, 2013년 국제교류재단에서
          한국정치 관련 객원교수
1명을 파견지원중 



       - (재학생수) 최근 한류 확산 및 한국의 경제성장, 정치 민주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
          라
Leiden 대학내 학생수가 급증하고 있는 학과중 하나로 부상하였으며, 2014년 현재 120
         
(학사 110, 석사 5, 박사 5)이 재학중



Remco Breuker 한국학과 학과장은 2012Leiden 대학교 백서에서 한국과 북한에서 모든 업무
    가 개인적 관계를 통해 진행되며
, 사람을 알면 모든 것이 해결된다라고 기술하여, 주네덜란드
    대사관과 한국학중앙연구소가 문제를 제기하고 수정을 요구



       - 이에 대해, Leiden 대학측은 2012년 백서를 대학 홈페이지에서 삭제 조치

 

5. 동포사회 현황

 

. 개 요

    ◦ 재외동포는 2,600여명으로 현지장기체류자(가족포함) 1,000여명, 상지사주재원(가족
      포함
) 1,000여명, 유학생 600여명으로 구성됨. 거주지로는 암스테르담과 로테르담에
      집중되어 있으며
, 유학생 및 국제결혼자의 증가로 거주지역이 네덜란드 전역으로 확대
      추세임
.

    ◦ 6.25전쟁 이후 한국인 입양인이 약 4,000명에 이르며, 이들은 아리랑(Arierang)을 구성하여,
      
한인사회와 유대관계를 유지하고 있음.

 

. 한인단체 현황

    ◦ 네덜란드 한인회(1973.2월 창립)

        회원수 : 2,600

        회 장 : 박영수

        평통자문위원 : 박행국, 고광활, 손성철, 이욱현, 홍순용


    ◦
분야별 단체로 한인경제인협회, 주재상사협의회, 재화란한인과학기술자협회, 네덜란드
      한국학생회 등이 있음
.

    ◦ 한인교회

       - 4개의 교회(로테르담 사랑의 교회, 암스테르담 화란한인교회, 헤이그 이준기념교회,
        
아인트호벤 사랑의교회) 및 네덜란드 한인 천주교회가 있음.

 

. 주재업체 및 상사

    ◦ 정부투자기관 : 한국무역관(KOTRA),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 상사지사 : 삼성전자, LG전자, 외환은행, 대한항공, 한진해운, 현대상선, 기아자동차, 한국
                         타이어
, 고려화학, 대상, 고려제강, 현대중공업, 수산중공업, 현대엔진 등
                       약 50개사










6. 협정 체결 현황


    1953.10.26
         잠정 항공운수에 관한 각서 교환('53.10.26 발효, '54.10.31 종료)

    1966.4.29           특허 및 상표에 관한 각서 교환('66.4.29 발효)

    1970.4.28           사증 면제협정 서명('70.6.1 발효)

    1970.6.24           항공협정 서명('70.12.30 발효)

                            - ‘95.4.13 개정각서 교환(‘95.9.19 발효)

    1974.10.16         투자보장 협정 서명('75.6.1 발효)

    1978.10.25         이중과세방지 협정 서명('81.4.27 발효)

                            - ‘98.11.6. 개정의정서 서명(99.4.2. 발효)

    1979.2.28           전대차관 협정 서명('81.6.24 발효)

    1982.12.1           경제기술 협력 협정 서명('83.8.1 발효)

    1995.2.3             해운협정 서명(‘95.12.1 발효)

    2002.7.3             사회보장협정 서명(2003.10.1 발효)

    2003.7.12           투자보장협정 서명(2005.3.1 발효)

                            - 74년 체결된 협정 대체

    2007.2.14           세관협력협정 서명(2009.2.1 발효)

 

 

7. 친한단체 현황


. 네덜란드 한국전 참전용사회 (The Netherlands Korean War Veterans Association)

    ◦ 창설일자 : 1977.2.26

    ◦ 회 장 : C.P.G.J. Motshagen (예비역 해군대령)

     회 원 : 400

    ◦ 주요행사 : 매년 횡성 전투(2.12) 기념식 및 6.25 참전 기념식 개최


      - 장소 : Schaasbergen 소재 KTC 부대 및 Den Bosch 소재 Van Heutsz 연대(참전기념비 소재)

 

. 재네덜란드 한인입양인회(Arierang)

    ◦ 창설일자 : 1991.2월 


    ◦ 회 장 : Mrs. Sandra Schaapherder

    ◦ 회 원 : 250여명


    ◦ 주요행사 : 자체 행사 및 대사관, 한인회, 한인학교와 공동으로 매년 학예·문화행사, 전체
                       총회
, 한국문화행사 등을 개최

  

 

8. 명예총영사관 현황

    ◦ 로테르담 명예총영사관

      - 2014. 2월 현재 공석

    
    ◦
암스테르담 명예총영사관

      - 2014. 2월 현재 공석

   
    ◦
흐로닝헨 명예총영사관


     
- 총영사 : Mr. Sibrandes Poppema 흐로닝헨(Groningen) 대학교 총장(인가일자 2012.1.25)

      - 주 소 : Oude Boteringestraat 44, 9700 AB Groningen, P.O.Box 72

  

 

9. 이준 열사 묘적지·기념관

 

. 이준 열사 묘적지


    ◦ 이준 열사가 1907.7.14 서거 후 매장되었던 곳으로 1977년 우리 정부의 묘적지 확장 작업
       에 의해 확장 조성됨
.



      - 이준 열사 유해는 1963년 본국으로 이장되어 현재 수유리 묘소에 안장



      - 우리정부는 매년 묘적지 관리비 및 화환설치비를 지원

 
    ◦
헤이그시 외곽 Nieuw Eykenduynen 공동묘지에 소재


      - 주소 : Kamperfoeliestraat 2A, 2563 KJ, Den Haag

      - 전화 : 31-70-325-8396

      - 개관 : 월요일일요일(10:0017:00)

 

. 이준 열사 기념관(Yi Jun Peace Museum)

    ◦ 사단법인 이준 아카데미(이사장 : 이기항)1907년 당시 이준 열사가 체류하다 순국한
      호텔
(Hotel De Jong)을 구입, 이를 개조하여 설립함(1995.8.5).


    ◦ 헤이그 시내 중심가에 소재하고 있으며 이준 열사의 친필 이력서 등 유품 및 만국평화
      회의 한국관련자료 등이 전시되어 있음
.


      - 주소 : Wagenstraat 124A, 2512 BA, Den Haag

      - 전화 : 31-70-356-2510

      - 개관시간 : 월요일토요일(10:0017:00)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