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제품수준 탄소집약도 지표 개발방안
▣︎ OECD는 각국 기후정책을 도식화하고, 각각의 감축효과를 평가하여 탄소감축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한 탄소감축포럼(IFCMA)을 출범(2023.2월)하고 제품 수준의 탄소집약도 지표 개발을 위한 동 보고서를 발간(2024.2월)하였다. 동 보고서에는 부문(Sector), 시설(Installation), 제품(Product) 수준의 탄소집약도 집계 현황 및 산정 방법을 소개하고 향후 IFCMA에서 다루게 될 제품 수준 탄소집약도 지표 개발을 위한 연구 범위 및 목표를 식별하였다. 동 보고서에 따르면 제품 수준 탄소집약도는 사일로잉(silo-ing) 현상으로 정보 공유가 어렵고 이용 사례가 부족하며, 공통된 국제 표준이 없기 때문에 활용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정확한 제품 수준 배출량 산정을 위해서는 지출 기반 방법 (Spend-based method), 평균 데이터 방법 (average data method), 1차 데이터 방법(primary data method) 과 같은 다양한 산정방식이 조합된 필요가 있으며, OECD는 2024년 하반기 탄소집약도 워크스트림 보고서를 통해 구체적 사용사례와 계산법, 개선방안을 분석하고, 국제표준 설계시의 기본 원칙과 고려 사항을 제시할 계획이다. |
소개된 요약 자료에 대한 전체 내용은 첨부하는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상기 책자는 아래 링크(OECD 홈페이지 링크)에서 확인 가능
Towards more accurate, timely, and granular product-level carbon intensity metrics (24.2월, OEC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