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청정에너지 전환과 핵심 광물의 역할

작성자
주 오이시디 대표부
작성일
2022-07-11
수정일
2022-07-11

청정에너지 전환과 핵심 광물의 역할


◇ 핵심 광물(critical minerals)은 청정에너지 기술(clean energy technologies)에 기반한 에너지시스템의 핵심 요소

ㅇ 전기차는 내연 기관차에 비해 약 6배, 육상 풍력은 가스발전에 비해 약 9배 많은 핵심 광물을 사용 

ㅇ 청정 에너지로의 전환 본격화 이후, 2019년 에너지 분야 광물 소비는 2010년 대비 50% 증가

ㅇ 2050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핵심광물 수요는 2040년까지 2020년 대비 4배, 2050년까지는 6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청정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핵심 광물의 중요성과 수요 증가 추이는 광물 안보(mineral security)라는 새로운 정책 과제를 제기

ㅇ 핵심 광물 채굴(Production), 가공(Processing) 등은 석유, 가스보다 더 지역적으로 편중되어 있는 상황

* 리튬, 코발트, 희토류 등은우 상위 3개 국가가 전 세계 생산량의 75%를 차지하며, 백금은 남아공, 코발트는 콩고가 전 세계 생산량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희토류는 중국이 전 세계 생산량의 60% 이상을 생산

ㅇ 탐사에서 생산까지 장기간이 소요, 경제성 있는 광산 확보의 어려움, 강화된 ESG 기준 요구 등 도전에 직면


◇ IEA는 핵심 광물 안보 강화를 위한 정책 권고로  

ㅇ ①광물 공급처 다변화를 위한 투자 확대, ②공급망 전반에 걸친 기술 개발, ③재활용 확대, ④공급망 회복력 및 시장 투명성 강화, ⑤강화된 ESG 기준 적용, ⑥생산자와 소비자간 국제협력 강화 등을 제시

※ 출처 : The Role of Critical Minerals in Clean Energy Transitions (‘21.5월, IEA), Critical minerals threaten a decades-long trend of cost declines for clean energy technologies (‘22.5월, IEA)


소개된 요약 자료에 대한 전체 내용은 첨부하는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