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농림] 농업의 디지털화

작성자
주 오이시디 대표부
작성일
2024-04-15

농업의 디지털화



▣︎ COVID-19, 러·우 전쟁 이후 고조된 식량안보 확보 노력,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 필요성 등으로 농업의 디지털화(농업 활동 전반에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여 최적화 도모)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아직 농업의 디지털화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객관적 지표는 없으나 OECD는 개별 국가 통계 분석을 통해 주요 국가 농업의 디지털화가 최근 크게 진전되었으나 여전히 디지털화 진전 수준, 속도가 충분치 않음을 지적하고 있다(2019년 영국 작물 농가의 30∼40%가 수확지도, 변량살포기술 등 활용). OECD는 농업의 디지털화 제약 요인으로 높은 초기 투자 비용, 데이터 거버넌스 부재, 디지털 기술 효과에 대한 불신 등을 지적하며, 이를 해소할 수 있도록 무역 개방 등을 통한 디지털기술 도입 비용 완화, 공공 부문 개입을 통한 데이터 거버넌스 구축, 현장 실험 프로그램, 농업인·기술제공업체 간 위험 공유 계약 등을 통한 디지털 기술의 효과성 검증을 제시하고 있으며 특히 정부의 역할은 특정 기술에 대한 육성이 아닌 시장 형성에 초점을 맞춰야 함을 강조하였다.

소개된 요약 자료에 대한 전체 내용은 첨부하는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상기 책자는 아래 링크(OECD 홈페이지 링크)에서 확인 가능

The digitalisation of agriculture (OECD)

https://www.oecd.org/publications/the-digitalisation-of-agriculture-285cc27d-en.htm 

(*OECD 보고서의 링크 주소가 변경된 경우, www.oecd-ilibrary.org  에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