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 도시 건설의 역사
파리시는 동서남북의 각 지역을 잇는 교차 지점에 위치하고 있고 노르망디를 거쳐서 대서양까지 연결되는 세느강을 통해 상업 및 교역이 활성화되는 등 예로부터 수도로서의 지리적인 잇점을 지니고 있었다.
◈ 옛 파리, 루테시아 (Lutèce)
파리(Paris)라는 도시 명칭은 기원전 3세기경 파리 지역에서 살던 “파리지(Parisii)” 부족의 이름에서 유래한다. 그 후, 기원전 1세기에 로마 제국이 갈리아 지방(현재의 프랑스)을 지배하게 되면서, 파리는 라틴어로 “루테시아(Lutetia, 프랑스식 발음으로 루테스 Lutèce)”로 불렸다. 당시 파리의 면적은 현재 파리의 5구 크기 정도였으며, 당시 파리의 인구는 세느강 좌안에 주로 분포했다.
초창기 파리는 현재 노틀담 성당이 위치하고 있는 시테섬(L'île de la Cité)을 중심으로 발달했으며, 현재의 클뤼니(Cluny) 중세 박물관 자리와 노틀담 성당 앞에는 로마 제국 시대의 공중 목욕탕 유적이 아직도 남아있다. 기원후 1세기에 건축된 것으로 알려진 루테스 원형 극장(파리 5구 동쪽에 위치)은 17000명까지 입장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였으며, 따라서 당시 파리 인구 규모는 15000명 정도로 예상되고 있다. 루테스 원형 극장은 3세기 말까지 사용되었으며, 이곳의 석재는 훗날 시테섬을 방어하는 성곽을 건설하는데 사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3세기경, 프랑스 북동부 지역 민족들이 로마 제국 국경을 위협하기 시작하자, 시테섬이 군사적 요새로 기능하게 되었다.
◈ 파리(Paris) 도시의 발달
6세기 초 프랑크 민족의 클로비스(Clovis) 왕이 “루테스”를 “파리”라는 명칭으로 부르기 시작하였으며, 이로부터 파리는 메로빙거 왕조의 왕들이 거주하는 도시가 되었다.
12세기 말 십자군 원정을 전후로, 필립 오귀스트 왕(Philippe Auguste)은 루브르 성을 건설하고 파리를 요새화하여 외적의 침입에 대비했으며, 생 마르탱 거리 및 생 드니 거리 등 주요 거리에 돌을 깔아서 도로를 정비하기 시작했다. 중세 시대에는 노틀담 사원이 위치한 시테 섬을 중심으로 행정, 사법, 종교 활동이 이루어졌고, 세느강 우안을 중심으로는 큰 시장이 생겨나는 등 상업이 활성화 되었다. 세느강 좌안에는 수도원들을 중심으로 학교가 생겨났으며, 대학이 설립되어 지방출신 학생들이 파리로 모여드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중세 시대를 거치면서 파리는 정치, 행정, 경제, 교육의 중심지가 되어 수도의 기능을 담당하게 되었으며, 파리의 인구는 1328년에 20만 명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 파리의 확장: 오스만 남작의 도시 정비 계획
오스만(Georges Eugène Haussmann) 남작의 도시 정비 계획이 시작되기 전, 파리는 수도 방어를 위한 성곽 건설을 통해 점차 확장되었는데, 19세기 중엽 루이 필립(Louis-Philippe) 1세가 통치하던 1841년~1844년에는 파리를 둘러싼 외곽에 Thiers 성곽(enceinte de Thiers)을 건설하여 외적들의 침입으로부터 파리를 보호하도록 했다.
그 후, 나폴레옹 3세가 영국 런던 서부 재건축으로부터 영감을 받아파리 도시 계획을 실시하게 되었다. 이 때, 오스만 남작이 세느 도지사로 임명되어 파리를 재정비하는 임무를 부여받았다. 오스만 남작의 도시 정비 계획이 진행되면서, 1860년에 파리가 근교 지역까지 확장되었으며, 벨빌(Belleville) 지역, 바티뇰(Batignolles) 지역, 오퇴유(Auteuil) 지역이 파리에 편입되었다.
오스만 남작은 리볼리(Rivoli) 거리, 샹젤리제(Champs-Élysées) 거리, 오페라(Opéra) 거리 등 파리 시내의 주요 대로들을 정비했으며, 몽소 공원, 뷰트 쇼몽 공원, 몽수리 공원 등 파리 시내의 공원들도 정비하였다. 물과 공기의 원활한 순환과 공중 위생에 각별한 관심을 갖고 있던 당시, 파리 지하에 600km에 달하는 하수도망이 설치되기도 했다.
오스만 남작은 성당을 제외한 오래된 건물들을 철거한 후 파리 곳곳에 오스만 스타일 건물들을 세웠다. 오스만식 건물들은 앙시앙 레짐 말기의 엄격한 규칙에 따라 지어졌는데, 건물의 높이는 거리의 너비가 넓을수록 높아졌다. 맨 아래층에는 상점 및 건물관리소가 있었으며, 프랑스식으로 2층(한국의 3층에 해당)은 천장이 높고 발코니가 있는 아파트로 귀족 및 부르주아 층을 위한 공간이었으며, 프랑스식으로 5층(한국의 6층) 전면 전체에는 발코니를 설치하였으며, 지붕 아래 다락방에는 가정에서 고용한 도우미가 거주했다.
◈ 그랑 파리 (Grand Paris) 프로젝트
2008년 이후 그랑 파리 (Grand Paris) 프로젝트가 창안되어 파리 및 수도권 지역을 통합하여 뉴욕 또는 도쿄와 같은 현대식 광역 대도시로 변화시키고자 했다. 그랑 파리 메트로폴(Métropole du Grand Paris)은 2016년에 공식적으로 탄생했는데, 그랑 파리의 면적은 파리시의 8배에 해당하며, 약 7백만 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그랑 파리는 특별한 지위를 지닌 대도시로 새로운 행정 및 정치 기관의 설치, 그랑 파리 익스프레스(Grand Paris Express)라고 불리는 수도권 전철의 건설, 파리 수도권 서부지역과 동부지역 간의 불균형 보완 등 다양한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주요 내용 요약 및 참조
루테시아에서 수도로(De Lutèce à la capitale), 프랑스 국립 도서관(BNF) 웹 사이트, https://essentiels.bnf.fr/fr/histoire/moyen-age/99f01b1e-76a4-42f6-bfd0-1700e9ebbf99-ville-moyen-age/article/3835a75d-9077-4cd1-95a1-11d9446dcd33-lutece-la-capitale
프랑스 국립 도서관(BNF) Classes 웹 사이트, http://classes.bnf.fr/ema/ville/paris/index2.htm
고대 파리 소개 자료, Carnavalet 박물관, https://www.carnavalet.paris.fr/sites/default/files/2022-07/paris_antiquite_mp_pdf.pdf
그랑 파리 : 세계적 수준의 광역도시를 위한 개발계획(Grand Paris : un projet de développement pour une métropole de rang mondial), 프랑스 공공 생활 웹 사이트, 2021년 6월 9일, https://www.vie-publique.fr/eclairage/19461-grand-paris-projet-de-developpement-dune-metropole-de-rang-mondial
작성 : Jynghan10@mofa.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