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세종대왕 문해상
유네스코 세종대왕 문해상(UNESCO King Sejong Literacy Prize)은 우리 정부지원으로 1989년에 제정돼 1990년부터 시상해오고 있는 상으로서, 문해, 특히 개발도상국 모어(母語) 발전·보급에 크게 기여한 개인/단체/기구 2명(곳)에게 매년(9월 8일 문해의 날) 시상하는 상이다. 후보는 유네스코 회원국 정부, 또는 유네스코와 공식 관계를 맺고 있는 국제 비정부기구들이 각 2명까지 추천할 수 있다. 수상자는 국제심사위원단의 추천으로 유네스코 사무총장이 선정한다. 국제심사위원단은 유네스코 사무총장이 세계 각 지역별로 안배해 임명한 문해 분야의 남·녀 저명인사 최소 5명으로 구성되며, 국제독서협회 문해상, 공자 문해상 국제심사위원단을 겸한다. 각 수상자에게 상금 미화 2만불과 상장, 세종대왕 은메달을 수여하며, 시상식은 매년 9월8일 세계 문해의 날에 열린다.
수상 대상
UNESCO King Sejong Literacy Prize
The UNESCO King Sejong Literacy Prize was created by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1989. The Prize honours the outstanding contribution made to literacy by Sejong the Great (1397 - 1418/1450) who created the Korean alphabet Hangul.
The prize (consisting of a sum of US$20,000, a silver medal and a certificate) rewards the activities of governments or governmental agencies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NGOs) displaying merit and achieving particularly effective results in contributing to the promotion of literacy. It gives special consideration to the use and dissemination of mother-tongue languages in developing count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