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중국 간쑤성 사진 출처 : 두산백과

1.일반개황

가. 지역특징

  • 황허(黃河) 상류에 위치, 서북 5개 성과 동부지역을 연결하는 다리 역할
  • 과거 실크로드 시대부터 동·서간 경제교류의 중요 통로

나. 주요도시 : 란저우(蘭州), 톈수이(天水), 딩시(定西), 바이인(白銀) 등

다. 면 적 : 42.59만㎢(중국 전체 면적의 4.7%)

라. 인 구 : 2,492만 명(2022년)

마. 민족구성 : 한족 90%, 그 외 후이족, 만족, 몽고족 등 소수민족 8.75%

바. 행정구역 : 12개 지급시(地級市), 2개 민족자치주(民族自治州), 17개 시 직할구(直辖区), 5개 현급시(县级市), 57개 현(县), 7개 자치현(自治县) (성도 : 蘭州)

사. 기후 : 대륙성 계절기후

아. 주요경제지표 (2022년)

  • GDP : 11,201.6억 위안(전년 대비 4.5%↑)
  • 1인당 GDP : 4.5만 위안
  • 공업 증가치(규모이상기업) : 6%↑
  • 교역규모 : 584.2억 위안(전년 대비 18.8%↑)
  • 고정자산투자 : 10.1%↑
  • 사회소비품 판매총액 : -2.8%

자. 주요인사

  • 당서기(省委書記) : 후창셩(胡昌升)
  • 성장(代省長) : 런전허(任振鹤)
  • 성정협 주석(省政協主席) : 좡궈타이(庄国泰)

2. 성도 : 란저우(蘭州)

가. 기본특징

  • 간쑤성 정치·경제·과학·문화·산업의 중심
  • 풍경은 항주, 과일은 란저우(看景下杭州, 品瓜上蘭州), 과일의 도시(瓜果城)라는 별칭 보유

나. 자연조건

  • 면적 : 13,085.6㎢
  • 기후 : 온대 대륙성 기후

다. 인구 : 438.4만 명(2022년)

라. 주요경제지표(2022년)

  • GDP : 3,344억 위안
  • 대외교역액 : 168.8억 위안(19%↑)
  •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 교역액 : 10.2억 위안(75.5%↑)

마. 주요 인사

  • 당서기(市委書記) : 주톈수(朱天舒)
  • 시장(市長) : 장웨이원(張偉文)

바. 란저우신구(蘭州新區) 발전전략

  • 2012. 8월 중국 국무원이 비준한 국가급 신구로 상하이 푸둥신구, 텐진 빈하이신구, 충칭 량쟝신구, 저장 저우산군도신구에 이은 중국 내 다섯 번째 신구
    • 위치 : 란저우시 중심에서 38.5㎞ 떨어져 있으며 란저우, 시닝, 인촨의 중간 지점에 위치
    • 면적 : 1,744㎢(남북 49㎞, 동서 23㎞)
    • 전략적 지위 : 서북지역의 중요한 경제성장점, 국가급 중요 산업기지, 서부지역 개방을 위한 전략플랫폼, 동부지역 산업 이전 시범구, 실크로드경제벨트 및 유라시아대륙교의 중요한 연결통로

3.최근동향

가. 간쑤성 향서개방(向西開放) 정책 추진

  • 간쑤성은 중앙정부의 향서개방(중국을 중심으로 서쪽인 중앙아시아 및 유럽으로 진출하겠다는 전략) 정책 및 일대일로 전략 적극 수용
    • 개방형 경제발전 환경 조성, 둔황실크로드국제문화박람회 등 국제적 행사 개최
    • 최근 일대일로 사업을 계기로 문화, 기술, 센터, 정보, 생태 5개 분야 역량 강화
    • 실크로드 경제벨트 건설 추진 및 일대일로 연선국가들과 문화교류, 물류운송 등 다방면 협력 추진

나. 간쑤성 도시-농촌 시스템 계획(2013-2030)

  • 2012. 12월 간쑤성 도시·농촌 균형 개발을 위한 계획 마련
    • 제1기(2013-2020)와 제2기(2020-2030)로 구분하여 간쑤성을 교통중심지·문화개방·실크로드 주요 경제벨트로 발전 도모
    • 제1기 동안 2,660만 인구 달성, 제 2기 동안 2,830만 인구 달성 목표
간쑤성은 풍부한 일조량으로 질 좋은 포도가 생산되며 중국의 와인 생산지로 유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