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1. 한국 – 섬서성 교류역사

고대

  • 중국 역사상 가장 개방적이었던 당나라 시기를 중심으로 원측, 혜초스님 등 여러 위인들이 활발히 활동
  • 7~9세기 당나라 시기 신라의 구법승들이 불교의 가르침에 대한 깨달음을 얻기 위해 당시 동아시아의 중심 도시이자 불교문화로 꽃피었던 장안을 방문하여 불경 연구, 번역 작업 등에 참여
  • 신라 왕자 출신인 원측 스님은 현장법사의 수제자로 수많은 경전을 번역하고 유식학을 강의했으며 현재 흥교사(興敎寺)에 원측 스님의 사리탑이 현장법사, 규기(窺基) 사리탑과 함께 자리
  • 소릉(昭陵) 주변에서 출토된 진덕여왕 석상, 건릉(乾陵)의 신라인 석상, 장회(章懷)태자 묘에서 발굴된 사신도에 나오는 신라 사신(고구려 사신이라는 주장도 있음) 등 당시 당나라와 신라 간 활발한 교류 증거 풍부

근대

  • 대한민국 임시정부 산하 광복군 총사령부가 시안 시내에 주둔하였고 광복군 제2지대가 시안 외곽에 주둔하면서 대일선전 등 항일운동을 활발하게 전개
  • 1942. 4월 광복군 제2지대가 광복군 참모장 이범석 장군을 지대장으로 하여 새롭게 편성되었으며 초기 시안시이부가(二府街) 4호에 위치하였다가 1942. 9월 총사령부가 충칭으로 옮길 당시에 시안시 외곽의 두곡진(杜曲鎭)으로 이전
  • 2014. 5. 29. 중국 정부의 협조로 당시 광복군 제2지대 주둔지에 광복군 제2지대 표지석 및 기념공원 조성
  • 주시안총영사관은 광복군 제2지대 표지석 및 기념공원 조성 후, 매년 광복절 기념행사를 동 기념공원에서 개최

현대

  • 2007. 9. 20. 주시안총영사관 개관 후 삼성프로젝트 등 경제 협력 강화로 300여 개 한국기업 진출

2. 한국 – 섬서성 교역·투자·지방정부 교류 현황

가. 한국의 對 섬서성 교역현황(단위 : US$ 백만)


연도

교역액

수출

수입 

2017년

7,217

2,806

4,411

2018년

10,013

5,142

4,871

2019년

13,388

8,099

5,289

2020년

13,973

6,876

7,097

2021년

15,917

7,117

8,798

2022년

13,438

5,149

8,288

  • 출처 : 한국무역협회, 시안해관
  • 한국은 섬서성 제 1위 교역상대
  • 對 섬서성 주요 수출품 : 메모리반도체, 반도체·전자집적회로 제조용 기기, 프로세서 및 컨트롤러, 인쇄회로 폴리실리콘 등
  • 對 섬서성 주요 수입품 : 컴퓨터기억장치, 전자부품, 리튬이온배터리, 에어백부속품 등

나. 한국의 對섬서성 투자 현황 (단위 : US$천불, 건)

 연도

신고건수

신규법인수

투자금액 

 2013년

41

34

2,027,511

 2014년

36

20

171,558

 2015년

33

16

11,760

 2016년

19

9

7,171

 2017년

16

4

329,252

 2018년

29

8

341,953

 2019년

13

4

619,708

 2020년

10

3

8,246

 2021년

6

1

4,987

 2022년

 8

2

2,500

  • 출처 : 한국수출입은행

다. 교민사회(2023년)

거주교민(명) 법인수(개)
약 3,000명 약 180개

라. 지방정부간 교류 현황

성급

 교류도시(중국-한국)

 종류

 체결일자

 섬서성-경상남도

우호교류의향서 체결 

  2008.10.16 

 섬서성-경상북도

자매결연

 2013.04.05

 섬서성-부산광역시

교류협력도시

 2014.01.14

 섬서성-충청북도

우호협력도시 

 2015.05.19

 섬서성-세종특별자치시우호교류도시 2015.05.22

 섬서성-제주특별자치도

우호협력MOU 체결

 2020.11.20


시급 및 기타


 교류도시(중국-한국)

 종류

 체결일자

 시안시-경주시

 자매결연

 1994.11.18

 시안시-진주시

 자매결연

 2016.05.15

 시안시-안동시

 자매결연

 2020.11.30

 시안시-대전광역시

 우호협력도시 의향서 체결

 2019.11.12

 셴양시-의성군

 자매결연

 2003.10.17

 셴양시-함양군

 우호협력교류

 2015.11.19

 퉁촨시-봉화군

 자매결연

 1998.09.28

 웨이난시-구미시

우호결연협졍서 체결

 2014.11.17

 웨이난시-창원시

 국제우호도시

 2015.10.08

 한청시-여주시/광명시

 우호도시관계의향서

 2016.02.06

 상뤄시-진안군

 우호도시협정 체결

 2015.05.25

 바오지시-예천군

 자매결연

 2016.05.26

 한중시-창녕군

 우호교류협정 체결

 2019.02.20

 안캉시-부안군 우호교류협약 체결 2021.04.28
 부평현-제천군 우호도시관계의향서 체결  2016.06.15

마. 한국 – 섬서성 경제협력 동향

  • 2012. 4월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시안 진출 이후 한·섬서성 경제협력은 급격하게 확대
    • 2012년 이후 한-섬서성 교역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8년 100억불을 초과
    • 한·섬서성 경제협력 증진으로‘삼성효과, 섬서속도, 시안효율’이라는 말이 생겼으며 약 180여개 한국 기업체 진출
    • 삼성전자는 1기 108억불, 2기 70억불을 투자하여 시안에 반도체 공장 건설
      • 시안 삼성 반도체공장이 가지는 3가지 의의는 △중국 개혁개방이래 가장 큰 규모의 단일항목 프로젝트, △한국기업의 외국 투자 중 가장 큰 규모의 단일항목, △ 최첨단 차세대 대용량 저장장치(낸드플래시 기반) 생산

3. 섬서성 시안 소재 독립운동 활동지

가. 한국광복군 제2지대 기념공원

1) 광복군 제2지대 시안 주둔 개요
  • 1940.9월 충칭에 설립된 한국광복군 총사령부는 그 해 11월에 시안으로 이전, 그 예하에 제 1·2·3·5 지대 설치
    • 1942.4월 광복군 제1·2·5 지대가 제2지대로 통합 재편
  • 1942.9월 총사령부가 시안에서 충칭으로 재이전하면서 제2지대 본부는 현 기념공원 위치인 시안시 장 안현(長安縣) 두곡진(杜曲鎭)에 잔류
    • 광복군 참모장 이범석 장군(초대 국무총리)이 제2지대장을 맡고, 제2지대는 주로 군사훈련과 대일선전 업무 담당
2) 표지석 기념공원 설립 경위
  • 우리측은 2009.4월 광복군 관련 유적지를 기념하는 표지석 건립을 위해 섬서성에 건립 허가를 정식 요청한 이래 주요 인사 교류 계기를 포함, 동 건 지속 제기 (‘13.6월 우리 대통령 시안 방문 계기 포함)
  • 중국측은 ‘13.12월 표지석 설치 최종 승인, ‘14.5월 제막식 거행
광복군 제2지대 표지석 및 기념공원
<광복군 제2지대 표지석 및 기념공원>

나. 기타 광복군 활동지

1)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옛터
  • 한국광복군 총사령부는 ‘40.11월부터 ‘42.9월까지 시안에 주둔하면서 중국 화북지역에서 병력모집 활 동을 활발히 전개, 창설 2년여 만에 300여명에 달하는 병력을 모병하며 광복군의 토대 마련
    •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건물은 2층 목조 건물이었으나 현재는 건물이 철거되고 일대가 재개발되어 옛 모습 소멸
2) 한국광복군 OSS 훈련지
  • 시안 소재 광복군 제2지대 본부 인근 미타고사(弥陀古寺) 뒷산에서 ‘45.5월부터 미국 전략첩보기구인 OSS와 함께 국내진공 관련 훈련 실시
    • 제1기 훈련생으로 광복군 제2지대 대원 등 50명 선발, 미 교관들로부터 특수훈련을 받고‘45.8.4. 수료
광복군 OSS 훈련지
<광복군 OSS 훈련지>
  • 김구 임정 주석은 8.5.시안에 도착, OSS 책임자 도너반 소장과 국내진공작전을 협의하고 대원들의 시범도 관람하였으며 시안 방문 기간중인 8.10.일제의 무조건항복 소식을 접함
3) 한국 청년훈련반 훈련지
  • ‘39.11월 한국 청년 전지공작대는 시안에 도착한 후 ‘40.2월 대원 16명이 중앙전시간부훈련단 제4사단에 설치된 한국 청년훈련반에 입교
    • 훈련생은 졸업 후 중국군 소위로 임관하였으며 화북지역에서 한인청년 100여명을 모병하는 등 활동 (교육은 3기생까지 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