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탈리아 알기

이탈리아 문화교육

  1. 이탈리아 알기
  2. 이탈리아 문화교육

이탈리아 사회ㆍ문화 개관

민족

  • 이탈리아는 기원전 천년경 켈트족, 에트루리아족, 그리스족 등 다양한 인도.유럽족이 이동해 정착한 곳이며, 이탈리아인들은 지중해를 사이에 두고 유럽과 아프리카를 연결하는 반도국으로서의 지리적 위치 때문에 유럽 북동부의 독일·슬라브계, 북서부의 프랑스계, 서부의 카탈로니아계, 동남부의 희랍·알바니아계, 남쪽의 희랍·아랍계가 혼합된 민족

인구

  • 총 인구 약 6,001만명 중 65세 이상 인구가 5명중 1명(총인구의 19.20%) 이며, 14세 이하 인구 비중은 14.20%로 사회 고령화가 심화되고 있고, 출생률은 1.34%(2005)로 저조한 상태

언어

  • 공용어는 이탈리아어로서 이탈리아뿐 아니라, 인근국 및 해외교포들을 포함하여 약 7천만 인구가 이탈리아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유럽문화의 선구자 지위를 유지하던 16세기까지는 서구 유럽에서 문화인들이 사용하는 국제어 역할 담당
  • 이탈리아는 지방어가 다양하며 이에 대한 주민들의 애착이 강한 편임. 그러나 14세기 초 詩聖 단테(Dante Alighieri)가 토스카나 지방의 피렌체 방언으로 “신곡"을 지음으로써 단일어에 대한 단초를 마련하였고, 이후 1861년 이탈리아왕국으로 통일되면서 민족문화로서의 이탈리아어에 대한 인식이 강화되었으며, 2차 세계대전 이후 라디오ㆍTV 방송 및 의무교육을 통해 지금의 표준어가 보급ㆍ형성

종교

  • 이탈리아 인구의 90% 이상이 신봉하는 카톨릭은 1929년 교황과 이탈리아 정부간의 Concordat 협약에 의해 국교로 인정되었으나, 1984.2월 Craxi 총리와 Casaroli 로마교황청 국무장관 간에 서명된 신 Concordat에 의해 국교로서의 지위가 상실됨에 따라, 교육기관에서의 의무적인 종교교육이 폐지되고, 종교기관에 대한 국가의 재정지원도 감소
  • 그러나 1929년 Lateran 조약에 의해 인정된 바티칸시의 독립국가로서의 지위는 그대로 유지

문화유산

  • 이탈리아는 세계에서 가장 풍부한 문화유산을 가지고 있는 나라로 르네상스를 통해 단테, 복카치오, 레오나르도다빈치, 미켈란젤로 등을 배출, 18세기까지 서양문명의 주류 형성
    • 오늘날에도 문학, 철학, 건축, 미술, 조각, 음악, 패션 등 문화·예술 분야에서 세계문화 주류의 한 축을 형성
  • 현대 이탈리아 문화의 구조적 특성은 분권적 다원주의로 로마, 피렌체, 베네치아, 나폴리 등이 각기 문화적 분권의 중심을 형성
    • 이탈리아 정치, 경제, 사회도 공통된 역사의 소산
  • 이탈리아 문화는 자유스러운 표현방식 때문에 진보적 색채가 강하나 그 저류에는 카톨릭 종주국으로서의 강한 보수성이 잠재
  • 1939년 문화재보존관리법 제정, 1974년 이를 관장하는 문화환경부 설치, 1998.12월 정부조직개편에 따라 문화재관리, 문화예술·관광을 총괄하는 문화부 설치

유네스코 문화유산

  • 이탈리아는 예술의 본고장, 세계문화의 수도, 열린 박물관 등 역사와 문화가 전국 곳곳에 아로새겨져 남아 있는 문자 그대로 '전 국토가 문화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나라
  •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총 유적지의 14% (총 586곳 중 35개소) 보유, 이는 세계문화유산의 6%를 차지하는 방대한 양의 문화유산으로 세계 1위
  • 전 세계에서 드물게 국가의 문화유산 보호 의무를 헌법(제9조)에 명시
  • 특히, 베네치아, 피렌체, 페라라, 아씨지, 티볼리의 빌라 데스테, 시에나 같은 곳은 도시 자체가 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고, 2002년 시칠리아섬 남동쪽에 소재하는 후기 바로크 시대의 도시들이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등재

스포츠

  •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는 축구ㆍ스키ㆍ수영ㆍ사이클ㆍ자동차경주 등이며, 이중 축구는 최고의 스포츠
  • 축구는 이탈리아인들에게 영원한 사랑의 대상으로 지역적 충성심의 표출을 넘어 국민적 열정으로까지 승화
    • 빗장 수비로 유명한 이탈리아는 2006년 독일 월드컵을 포함, 통산 4번의 월드컵 우승을 차지한 전통의 축구 강국
      • 이탈리아 프로축구 리그는 수준별로 1부 (세리에 A), 2부(세리에 B), 3ㆍ4부(세리에 C1ㆍC2)로 구성되는 바, 세리에 A는 영국의 프리미어 리그 및 스페인의 프리메라리가와 함께 세계 3대 리그중의 하나
      • 이탈리아 축구 클럽은 2만여개, 등록 선수도 14만 여명에 이르며, 클럽간 평준화가 잘 이루어져 있는 것이 특징
  • 여름철에는 수영ㆍ요트 등 수상 스포츠와 사이클이 인기 있으며 겨울철에는 알프스 주변 유럽 최고의 리조트에서 즐기는 스키가 국민 스포츠로 인기

언론, 방송, 통신

  • 이탈리아는 자유 언론의 상징으로서 세계에서 가장 많은 정기 간행물과 방송국을 보유하고 있는 나라중의 하나
  • 헌법 제21조에 표현의 자유 및 검열금지가 규정되어 있으며, 모든 신문과 잡지는 등록만으로 발행 가능

신문

  • 110여종의 신문(약 1,200만부)과 천여종의 정기 간행물을 발행하고 있으며, Corriere della Sera와 La Repubblica 양대 일간지를 비롯하여 여러 전국지와 유력 지방지외에 유럽 유수의 경제일간지 Il Sole 24 Ore가 발행
    • 오랜 역사의 일간지는 La Nazione(1859년), La Stampa(1867년), Il Corriere della Sera(1876년), Ⅱ Messaggero(1878년), La Gazzetta di Mantova(1735년), Il Giornale de Bergamo(1812년) 등
    • 지방지는 Lazio(Rome) 17개지, Lombardy 17개지, Puglia 7개지, Emilia-Romagna 6개지, Sicilia 5개지, Liguria (Genoa) 4개지, 기타 지방 1-3개지
    • 이탈리아에는 신문 배달제도가 없으며 뉴스 스탠드 판매 방식 또는 정기구독자에게 우편 발송 방식으로 배포
  • 주요 신문
    • Il Corriere della Sera(밀라노) : 100만부
    • La Stampa(토리노) : 50만부
    • La Repubblica(로마) : 100만부
    • Il Messaggero(로마) : 30만부
    • L'Unita(로마,밀라노) : 19만부
    • Il Giornale(밀라노) : 35만부
    • Il Giorno(밀라노) : 29만부
    • Il Tempo(밀라노) : 10만부
  • 경제전문지/스포츠 일간지
    • Il Sole 24 Ore(밀라노) : 50만부(경제)
    • La Gazzetta Dello Sport(밀라노) : 73만부(스포츠)
    • Il Corriere Dello Sport(로마) : 55만부(스포츠)
  • 잡지
    • 약 6,000여종의 잡지 발행
    • 주요 시사주간지는 Panorama, L'Espresso, Domenica del Corriere, Oggi, Gente, Epoca 등

통신사

  • 대부분 Roma에 본부를 둔 다수의 통신사가 있는 바, 주요 통신사로는 ANSA(Associated National Press Agency), ADN KRONOS, A.G.I. 등

TV 및 라디오

  • 1924년 첫 라디오 방송 실시
  • 2,000개의 라디오 방송국 존재
  • TV는 1954년 첫 방송을 실시했고 칼라방송은 1978년부터 방영을 시작
    • 현재의 TV 방송국 수는 500여개
  • 1975년까지 라디오 및 TV 방송은 RAI(국영 방송)의 독점체제였으나, 불법적인 사설 방송에 대한 RAI의 제소가 위헌(언론의 자유)을 이유로 RAI의 패소로 귀결됨으로써 현재와 같이 많은 지방 TV방송의 출현을 초래
  • 국영방송(RAI)
    • RAI 국영방송은 1924년 설립된 유럽 최대 방송공사(재경부가 99.56% 지분을 소유한 대주주임)의 하나이며, 시청률 43%, 제1, 제2, 제3의 전국 네트워크 방송 보유
    • RAI의 직원수는 14,000여명이며, 우리나라와 방송 협력협정 체결
    • RAI는 당초 총리 직속이었으나 뉴스 프로의 공정성이 문제됨에 따라, 현재는 40인(상원20, 하원20)으로 구성된 의회 공영방송감독위원회(야당측에서 위원장직을 맡는 것이 관례)가 감독
      • 의회 공영방송감독위원회는 RAI 방송공사의 운영정책 수립 및 감독, 방송공사 이사장 지명 승인, 이사회 이사 9명중 7명(나머지 2명은 재경부에서 지명)의 선출권 보유
  • 민영 지방 TV 방송
    • 로마, 밀라노 등 대도시와 주요 지방도시에 100여 개의 민간 지방 TV 방송이 소재
    • 전국 네트워크를 갖고 있는 민영 방송 중 Rete 4, Canale 5, Italia 1 등 3개 채널을 소유하고 있는 Mediaset 그룹(베를루스코니 총리의 소유)과 TMC (Televisione Montecarlo)의 2개 채널이 대표적인 민영 방송

유.무선 통신

  • 유선 통신 : 2001년 민영화된 Telecom사는 총 2,500만 회선 등록, 700만 ADSL 가입자, 1억520만 km의 기존의 구리전화선 연장선 및 370만 km 광케이블 연장선 보유
    • ADSL 보급율은 14.4%이며, 전체 가구의 40%(EU 평균 52%)가 인터넷에 접속
  • 무선 통신 : 이탈리아에는 Tim 이탈리아 무선통신회사 외에도 Wind, Vodafone, 3 Italia 등 외국계 무선통신회사가 있고 전체 인구의 82.3%가 휴대폰을 이용

이탈리아 교육제도

개요

  • 이탈리아 학교의 90%는 국·공립학교로서 대부분의 학생들이 국공립학교에 취학
  • 국공립학교의 경우, 고등학교 및 대학교 학비의 대부분을 국가 및 지방정부가 부담하여 학부모의 교육비 부담은 경미
  • 학제는 초등학교 5년(6-10세), 중학교 3년(11-13세), 고등학교 5년(14-18세), 대학교 3-5년
    • 초·중등 및 고등학교 2년까지는 의무교육
    • 학기는 9월 시작, 6월 종료
    • 초등.중등학교는 1주일 5일, 고등학교는 1주일 6일 수업
    • 수업시간은 초등학교 주당 27~30시간(학교에 따라 40시간), 중·고등학교 주당 27시간(학교에 따라 30시간)

주요 교육기관

  • 유치원(Scuola dell' infanzia)
    • 입학가능연령 : 3-5세(의무교육은 아니나 일반화)
    • 종류 : 국립, 지방공립, 사립
    • 교사자격 : 대학의 유아 교육관련 특수학위 소지자
  • 초등학교(Scuola primaria)
    • 학제 : 5년제(6-10세) 의무교육
    • 교사자격 : 대학의 초등교육 관련 특수학위 소지자
    • 시험제도 : 입학시험이 없는 지역제이며, 학년 진급은 학년말 고사로 결정하고 졸업시 종합고사 실시
    • 교육비: 국공립학교의 경우 국가 또는 지방 정부가 지원하여 학부모 부담은 없으며(교과서 무상 지급), 사립의 경우 학부모 부담
      • 국가 : 교원 및 행정직 요원 급여 부담
      • 지방정부 : 잡무고용원 급여, 교육자재, 시설, 건물, 난방 부담
  • 중학교(Scuola Secondaria di I grado)
    • 학제 : 3년제(11-13세) 의무교육
    • 교사자격 : 대학의 전공학위 소지하고 공개 채용시험을 통과한 자
    • 시험제도 : 초등학교 졸업 종합고사 합격자가 중학교 입학자격 취득, 입학시험은 없으며 지역제
      • 학년말 고사로 진급 결정, 졸업시 국가가 실시하는 중등교육 졸업시험 합격 필요
    • 교육비 : 국공립학교의 경우 국가 및 지방정부가 부담하여 학부모 부담은 없으며(교과서는 학부모 부담), 사립학교의 경우 학부모 부담
      • 국가 : 인건비 부담
      • 지방정부 : 시설, 교육자재, 건물, 난방비 부담
    • 각 학교는 24학급 이하여야 하며, 1학급의 학생수는 25명 수준
  • 고등학교(Scuola Secondaria di II grado)
    • 학제 : 5년제(14-18세)로서 첫 2년 과정은 의무교육
    • 시험제도 : 중학교 졸업시험 합격자가 고등학교 입학자격을 취득, 입학시험이 없는 지역제
      • 학년말 고사 결과 3과목 이상 낙제인 경우 유급되며, 졸업년도에 국가에서 실시하는 고등학교졸업자격시험(Maturita'=Maturity Exam) 실시
    • 종 류
      • 인문고등학교(Liceo Classico, 5년제, 한국의 문과 해당)
      • 과학고등학교(Liceo Scientifico, 5년제, 한국의 이과 해당)
      • 예술고등학교(Liceo Artistico, 5년제, 미술, 건축, 디자인, 멀티미디어 등)
      • 외국어고등학교(Liceo Linguistico, 5년제, 외고에 해당)
      • 인성과학고등학교(Liceo delle Scienze Umane, 5년제, 사회심리, 교육‧인류학 등)
      • 음악ㆍ무용고등학교(Liceo Musicale-coreutico, 5년제, 음악 및 무용 전문고등학교)
      • 기술고등학교(Istituto tecnico, 5년제, 경제‧테크놀로지 관련 11개 분야)
      • 직업전문고등학교(Istituto Professionale, 5년제, 상업, 농업, 수공업, 의료, 호텔, 음식업 등 6개 분야)
    • 교육비 : 학부모는 교육비(100-120유로)와 교과서 비용 부담(학교의 특수활동 및 특수시설 경비를 학부모회가 결정, 학부모가 부담)하고, 기타 비용은 국가 또는 지방정부 부담
      • 국가 : 교원 급여 부담
      • 지방정부 : 행정직원 및 잡부고용원 급여, 시설, 교육자재, 건물, 난방비등 부담
  • 대학(Università)
    • 학제 : 3+2년제(3년제 제1단계 학사학위 + 2년간 제2단계 전문학사학위(5년제로서 기존의 4년제 Laurea 학위에 해당)
    • 시험제도: 고등학교졸업자격시험(Maturità) 합격자는 졸업시험 성적으로 전공과목 및 대학을 자유로이 선택(단, 치과대 등 일부 학부는 정원제로서 입학시험 실시)
      • 3년제 학사학위과정은 180학점 취득, 5년제 전문학사학위과정은 120학점을 추가하여 총 300학점을 취득하고 논문이 통과되어야 졸업 가능
    • 이탈리아 전체 인구(25세~64세)의 약 13%만이 대학졸업자
    • 이탈리아 대학과정 및 학위종류
      과정단위, 과정명, 내용의 정보를 제시하는 이탈리아 대학과정 및 학위종류 테이블
      과정단위 과정명 내용
      대학 1과정(Primo Ciclo) 3년과정(Laurea triennale) 학위명:라우레아(Laurea)
      기간: 3년
      취득학점:180 학점
      입학자격: 고등학교 Diploma 소지자
      대학 2과정(Secondo Ciclo) 2년과정(라우레아 스페찰리스티카, Laurea Specialistica) 학위명:라우레아 마지스트랄레(Laurea Magistrale)
      기간: 2년
      취득학점:120학점
      입학자격: ‘라우레아’ 소지자
      1급 마스터과정(Master I) 학위명:1급 마스터 디플롬
      기간: 1년
      취득학점:60학점
      입학자격: ‘라우레아’ 소지자
      대학 3과정(Terzo Ciclo) 2급 마스터과정(Master II) 학위명:2급 마스터 디플롬
      기간: 1년
      취득학점:60학점
      입학자격: ‘라우레아 마지스트랄레’, ‘1급 마스터 디플롬’ 소지자
      Dottorato di Ricerca 과정 학위명:Dottore di Ricerca
      기간: 3년
      취득학점:비학점제, 연구논문통과까지 4-5년 소요
      입학자격: ‘라우레아 마지스트랄레’, ‘1급 마스터 디플롬’ 소지자
      Corsi/Scuole di Specializzazione(의학, 약학, 법학, 교육학 등의 전문분야) 학위명:Diploma di Specializzazione
      기간: 전공에 따라 2-6년
      취득학점:전공에 따라 120-360 학점
      입학자격: ‘라우레아 마지스트랄레’, ‘1급 마스터 디플롬’ 소지
      • 이러한 대학학위체계는 1999.7.19 ‘볼로냐 선언’의 원칙과 목표에 입각, 1999년 단행된 대학제도개혁의 전후시기에 전면 적용
      • 이탈리아에서는 1997년 “리스본 협정”(유럽지역국가 공동학위인정협정)이 2002.7.11 의회비준을 받음에 따라, 모든 ‘외국학위인정” 심사는 전적으로 각 대학당국 및 고등교육당국의 자율적인 평가와 판단에 따라 실시
      • 이탈리아 고등교육체제 관련 정보: 이탈리아 교육∙대학∙연구부 www.miur.it - Università 또는 http://universo.miur.it/, www.study-in-italy.it
  • 국립음악원(Conservatorio di Musica)
    • 3년 또는 5년제 과정으로 전문 음악인을 양성하는 국립음악교육기관
    • Diploma(대학 음학사 또는 전문음악사 증서에 상당, 대학학위 종류 도표 참조) 수여
  • 국립미술원(Accademia di Belle Arti)
    • 3년 또는 5년제 과정으로 전문 미술가를 양성하는 국립미술교육기관
    • Diploma(대학 미술학사 또는 전문미술학사 증서에 상당, 대학학위 종류 도표 참조) 수여
  • 직업학교(Scuola Professionale di Formazione)
    • 주정부에서 운영하는 3년제 공립학교
  • 사립학교
    • 민간재단/종교단체에서 운영하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이 있으며, 국립학교에 비해 교육비는 비싼 편이며 전체 학생수의 5-10% 차지

한-이탈리아 문화-교육분야 협력 교류

개요

  • 양국간 문화교류는 1970.3월 발효된 한·이 문화협정 체결이후 점진적으로 증진
  • 특히 1984년 한·이 수교 100주년을 기념하여 양국에서 시행된 각종 기념사업은 양국간 문화관계 및 기존 우호협력 관계를 심화시키는 주요 계기
  • 기존의 문화협정을 보완한 「新 문화 협정」을 2005년 10월 서명하고, 동 협정의 구체 이행 계획인「한․이문화교류계획서」를 2007년 2월 달레마 외교부총리 방한시 체결
    • 연극, 영화, 학술 교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호간 문화교류가 증진될 것으로 기대

문화협력 교류

  • 교육분야 협력
    • 대학 및 연구기관간 협력 및 대학간 협력 약정 체결 장려
    • 공공도서, 출판물 및 잡지 교환
  • 이탈리아내 한국학 진흥
    • 이탈리아내 한국학 강좌설치
    • 1958년 나폴리 동양학대학, 1979년 이탈리아 국립동양학 연구소(ISMEO)에 한국어 강좌가 설치되어 꾸준히 보급
    • 3개 국립대학 동양학부에 한국어 및 한국학 강좌 설치(베네치아대학, 로마대학, 나폴리 동양학대학), 볼로냐대학과 밀라노 대학에 각각 한국정치제도 및 한국어 강좌 설치
    • 베네치아 대학
      • 국제교류재단에서 1998년 말부터 비정규직 교수 1명 지원
      • 국제교류재단 2004-2005간 원어민 강사 1명 지원
    • 로마 대학
      • 학술진흥재단, 2001년 말부터 3년간 비정규직 교수 1명 지원
      • 로마대학 자체 예산으로 2003년부터 원어민 강사 1명 확보
      • 2005.3월 초 석사학위자 배출
      • 2006.3월부터 5년간 한국학 부교수직 교수 1명 지원
    • 나폴리 동양학 대학
      • 1982년 이래 나폴리 동양학대학에 한국인 교수 1명을 파견, 한국학 강의
      • 1990년부터 이탈리아 교육부 지원 한국학 조교수 임용
      • 1998.11월 한국학 부교수직 설치
    • 볼로냐 대학(정치학부)
      • 국제교류재단에서 2008.9월부터 정치‧제도‧역사학과 비정규직 교수 1명 지원
    • 밀라노 대학
      •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2008년부터 한국어 강좌 원어민 강사 1명 지원
  • 정부초청 외국인장학생 사업 지원
    • 국립국제교육원은 국가간 협정에 의한 교류 활성화 및 국외 인적자원 구축에 기여코자 1967년부터 매년 우수한 외국인학생을 선발하는 장학생 초청사업을 실시
    • 이러한 사업의 일환으로 이탈리아에서도 매년 2명의 우수한 이탈리아 학생이 선발되어 한국에서 유학
    • 1974년 이래 현재까지 배출된 이탈리아 장학생은 19명이며, 현재 6명의 이탈리아 학생들이 한국에서 수학중
  • 한글학교
    • 로마한인학교(94.10창립) : 학생수 85명
    • 밀라노한인학교(84.8 창립) : 학생수 120명
    • 제노바한인학교(07.11 창립) : 학생수 40명
  • 방송분야
    • 프로그램 교환, 방송인 상호방문, 간행물 및 정보교환
    • 1985.9월 KBS-RAI간 협력협정 체결
    • 1990, 1991년 KBS 연수생 파견(각 1명)
  • 한·이 문화공동위 개최 현황
    • 관련근거 : 한·이 문화협정 제6조
    • 개최현황
      • 제1차 회의(1979.11.6-9, 로마)
      • 제2차 회의(1981.9.27-28, 서울)
      • 제3차 회의(1983.3.2-4, 로마)
      • 제4차 회의(1985.10.30-31, 서울)
      • 제5차 회의(1988.12.6-7, 로마)
      • 제6차 회의(1993.8.5, 서울)
      • 제7차 회의(1998.11.10-11, 로마)
  • 지방자치단체간 자매결연
    • 경주시-폼페이시 : 1985.10.14 자매결연 체결
    • 대구광역시-밀라노시 : 1998.12.14 자매결연 체결
    • 서울특별시-로마시 : 2000.3.18 자매결연 체결
    • 전주시-피렌체시: 2007.3 자매결연 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