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국가상징
  2. 어린이·청소년
  3. RSS
  4. ENGLISH

외교부

1,2차관

제2차관, 제주포럼 2014 '외교관 라운드테이블' 세션 기조발언

부서명
작성자
작성일
2014-05-30
조회수
2368

Remarks by H.E. Cho Tae-yul
Vice Foreign Minister of the Republic of Korea
at the Roundtable on
‘Trustpolitik and the Korean Peninsula’
Jeju Forum 2014


1. Introduction

• The year 2014 is a special yea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orld history, as it marks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outbreak of the First World War and the 25th anniversary of German unification. Next year will mark the 70th year of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yet distrust, conflict and tensions run high between the two Koreas. At this critical juncture, I believe it is a meaningful exercise to review the major changes in the security environment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today and the challenges these changes pose to Korea’s foreign policy.

2. Security Environment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Major Changes and Challenges)

• Henry Kissinger once said, “Each success only buys an admission ticket to a more difficult problem.” I don’t think there was a time in the past that these words sunk in as much as they did during the past one year. Indeed, Korea’s foreign policy is faced with an extremely difficult and complex environment; we have been struggling day and night to resolve a variety of problems rushing towards us simultaneously from across the globe.

• Today, Korea’s diplomacy is being undertaken in the most serious and complex external security environment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During the Cold War period, all foreign policy issues were addressed without much difficulty as we had only to follow the camp logic. But today, not a single issue can be resolved with a simple equation. Rather, the majority of the problems require a multi-dimensional solution as well as strategic thinking.

• The Air Defense Identification Zone (ADIZ) incident that occurred in the East China Sea late last year is a case in point. It was a very sensitive and complicate problem as the security and strategic interests of China -- which had unilaterally announced the ADIZ -- and those of Korea, Japan and the US were intertwined. Therefore, it was never easy for Korea to secure its national interests, while not undermining the cooperative relations with the countries involved. Under such a difficult circumstance, however, Korea was able to catch two rabbits at the same time. Perhaps it may indicate that Korea is no longer ‘a shrimp whose back breaks when the whales fight’, and its diplomacy has become more articulate and skillful, if I may say so.

• The ADIZ issue is only one example that symbolizes the challenges of our foreign policy. We are facing different challenges every day, and we will continue to run into many more in the future. The important thing is to turn these challenges into opportunities with a wise and principled diplomacy.

• The major changes in the external security environment that pose both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to Korea’s foreign policy today can be epitomized into four: first, the rise of China, second, the historical revisionism in Japan, third, the return of assertive Russia, and fourth, an anachronistic North Korea with its nuclear ambitions.


(The Rise of China)

• The rise of China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dealing with not only Northeast Asia but also the international order in the 21st century, and it is at the heart of international discourse on realigning the global governance. In 2010, China became the number two economy in the world. According to a recent report, China’s GDP surpassed that of the United States in terms of purchasing power parity. Based on this economic confidence, China is actively pursuing its foreign policy. The policy of the so-called ‘Tao Guang Yang Hui’ that had been in place from the Deng Xiaoping to Hu Jintao era seems to be transitioning to a policy that goes beyond ‘You Sou Zou Wei’, which means China is moving away from its discreet attitude of 'waiting for the right time while building strength’ to one that is more proactive and assertive by 'flexing its muscles, if and when it is necessary’

• Like the term ‘butterfly effect’, when China takes a certain position on a major international issue, the impact can be felt immediately across the globe. This development will inevitably bring about some type of change in its relations with the US, which has been exercising absolute influence in the Asia Pacific region.

• The US has been pursuing the policy of ‘Rebalancing to Asia’ from the start of the first Obama administration. This can be seen as a strategic response to defend and promote the US security and foreign policy interests in the Asia Pacific where China is rising rapidly. And the so-called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hip’ that President Xi Jinping presented last year as the vision of the US-China relationship appears to be China’s response to the US policy toward the Asia Pacific. China’s new initiative taken at the 4th CICA Summit held in Shanghai last week to build a new Asia security order and develop CICA into a platform for security dialogue and cooperation for Asia can also be understood in this context.

• China is also being engaged in active diplomacy to strengthen its relations with its neighbors. President Xi Jinping visited Russia as his first foreign trip, and demonstrated the solidarity between China and Russia by holding a summit meeting with President Putin at the margin of the CICA Summit. They even went further to carry out a large-scale joint military exercise in the East China Sea. China also appears to be taking bold steps to strengthen its position in Southeast Asia. As you know, China is now in a standoff with Vietnam over a Chinese oil rig in the water off the Paracel Island.

• Without a doubt, the rise of China has a great impact on Korea’s foreign policy, the backbone of which has been the Korea-US alliance. The Korea-US alliance, which celebrated its 60th anniversary last year, is stronger than ever. It not only became the linchpin for the peace and security in the Korean Peninsula, Northeast Asia and the Asia Pacific, but it has also developed into a comprehensive strategic partnership with the entry into force of the Korea-US FTA in 2012.

• Marking the 2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ties two years ago, the Korea-China relationship has never been better. As Korea’s number one export market and investment destination, China has become Korea’s single most important economic partner. The strategic cooperative partnership between Korea and China will make another leap forward when the ongoing bilateral FTA negotiations are completed.

• After taking office, President Park Geun-hye, by actively pursuing summit diplomacy during the past year, has built a deep personal trust with both President Obama and President Xi Jinping, and based on this, Korea’s relations with the US and China have been deepening and broadening. However, it won’t be an easy task to further strengthen the robust Korea-US alliance, while upgrading the strategic partnership with China in a balanced and harmonious way. This would demand of us a creative and strategic thinking as well as prudent policy judgments and decisions. It is indeed the most important yet difficult challenge facing Korea’s foreign policy today.

• By the same token, whether the strategic interests of the US and China in Northeast Asia collide or maintain harmony is probably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will define the external environment of Korea’s foreign policy. If the relations between China and the US get more difficult, maneuvering room for Korea’s diplomacy will grow smaller. However, if Korea is able to address this challenge wisely by building trust both with the US and China, then room for Korea’s diplomacy will expand, which, in turn, will provide new opportunities for Korea to play a constructive role in the region. This is why I believe that the North Korean issue, including the nuclear problem, poses both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to Korea’s foreign policy.

(Historical Revisionism in Japan)

• The historical revisionism that is emerging in Japan with the slogans of ‘Normalization of the Country’ and ‘Proactive Contribution to Peace’ under the Abe administration is deepening the tensions with neighboring countries, including China and Korea. It is making the political landscape of Northeast Asia more complex.

• This movement, which stems from the wrong perception of history and misguided nationalism of some politicians, is a problem not only for Northeast Asia but also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s a whole. It is all the more so because behind this movement lies the intention of rewriting history and changing the post-war international order. I believe the leading media in the US, Europe and Southeast Asia are strongly criticizing Japan’s historical revisionism because they share these concerns. Washington Post even used the term ‘historical denialism’.

• A recent New York Times op-ed by a German journalist titled ‘What Germany Can Teach Japan’ hit the nail on the head concerning the problems of Japan under the Abe administration. The author said, “Normalcy is not something that is granted; it must be sought out and earned.” Japan will become a normal country only when it follows Germany’s example of earning trust by showing genuine remorse for its past mistakes and seeking forgiveness in earnest. On the issue of exercising the right to collective self-defense, too, the Abe government should first make efforts to earn the trust of the neighboring countries prior to pursuing substantive discussions. And the discussions should be conducted in a transparent and prudent manner given the concerns of the neighboring countries over historical issues.

• Currently, the US is facing a serious dilemma due to the tension between Korea and Japan. Since Korea and Japan are the strongest allies of the US in this region, the deteriorating relations between the two are undermining US strategic interests in this reg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US alliance and the Japan-US alliance is one of shared growth, not one of zero-sum. Therefore, it would be inconceivable for the US to sacrifice one for the other. From the US perspective, the tr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among Korea, Japan and the US is strategically important, especially in dealing with a rising China and increasingly unstable North Korea with its nuclear program. This is why President Obama made efforts to realize a Korea-US-Japan trilateral summit on the sidelines of the Nuclear Security Summit held in The Hague last March, and to improve the relations between Seoul and Tokyo during his visit to the two countries in April.

• We had hoped to see a new momentum to improve the Korea-Japan relations since the trilateral summit in The Hague. Unfortunately, however, we have yet to see the light at the end of the tunnel. The future prospects are not all that promising either. As the main architect of the post-war regional order, I hope and expect that the US will play a more active role in preventing the resurrection of historical revisionism that can potentially undermine the stability in the region. Realistically speaking, it is only the US that holds the key to change Japan.

• With all these gloomy pictures, however, we have seen a narrow window of opportunity for moving forward. After many ups and downs, Korea and Japan agreed to hold bilateral meeting at the director-general level to address the so-called comfort women issue and two rounds of meeting have been held so far. I hope that Japan will address this important issue with sincerity at the forthcoming monthly meetings, so that it can pave the way for improving the Korea-Japan relations. By doing so, I hope that next year we can celebrate in good spirits the 50th anniversary of the normalization of our bilateral relations.

(Return of Russia)

• Korea and Russia agreed to establish a strategic cooperative partnership in 2008, but not much progress had been made in the following years. It was only when new leaders took office in both Korea and Russia that a new momentum was created. Since then, the Korea-Russia relations have been making significant progress, especially in the aftermath of two summit meetings.

• The Look East Policy of President Putin and the Eurasia Initiative of President Park have come together for projects such as the Najin-Hasan logistics cooperation project to become a reality.

• However, the Korea-Russia relations are now facing new challenges due to the outbreak of the Ukraine crisis early this year. Some people are going as far as to describe the conflict between Russia and the West following Russia’s takeover of the Crimean Peninsula as the ‘return of history’ or ‘return to the Cold War’. It is only natural that the Korea-Russia relationship will be affected by the development in Ukraine. We are also worried that the Ukraine crisis can send the wrong signal to Pyongyang when it comes to dealing with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 Since the worsening of the situation in Ukraine will only impose greater burden on the countries concerned, a cautious optimism is arising that the situation will soon calm down. We hope that will be the case. As Russia is an important partner for Korea not only to re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but also in our efforts to pursue Trustpolitik, it is critical to have an external security environment that is less-confrontational. In this context, we welcome the fact that the elections in Ukraine were held peacefully on May 25 according to schedule.

(Anachronistic North Korea)

•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North Korean issue and its nuclear ambitions pose the biggest threat and challenge to the security on the Korean Peninsula. Notwithstanding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united message that North Korea should give up its nuclear weapons program and walk on a path towards reform and openness, Kim Jong-un conducted the third nuclear test in February last year and, a month later, publicly announced the simultaneous pursuit of nuclear armament and economic development. In particular, after the execution of Jang Sung-taek last December, the growing volatility and uncertainty in North Korea has become a greater threat to the security i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 Moreover, North Korea has continuously elevated the level of provocations by threatening to conduct an additional nuclear test and to launch ballistic missiles.

• It was against this backdrop that Foreign Minister Yun Byung-se visited New York earlier this month on the occasion of Korea’s presidency of the UN Security Council for this month and gave a serious warning that if North Korea conducts another nuclear test, the regime would pay the heaviest price. This will entail stronger sanctions not only from the UN Security Council but also from the individual countries.

• Looking back upon the past, we come to realize that historical opportunities for transformational change in inter-Korean relationship arrived in the Korean Peninsula almost every two decades. In the 1970s, thanks to the East-West détente, the inter-Korean relations experienced a brief thawing period; in the 1990s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some progress was made in improving the relations, including the adoption of the Basic Agreement between North and South. But both failed to bring about a fundamental change in the inter-Korean relations. Rejecting the trend of the times, North Korea took a path towards a greater isolation especially after the death of Kim Il-sung. 20 years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it appears that the Korean Peninsula is facing another historical era of transformation. In his recent speech, Foreign Minister Yun called this the third “tectonic shift.”

• Early this year, President Park Geun-hye compared reunification to winning the jackpot, and during her visit to Germany last month, she presented a vision of peaceful reunification in her Dresden speech. I believe this vision stems from her sense of historical mission as a leader standing at a critical time in history where we have to prepare for the future of the Peninsula. This vision did not come out of the blue. It is in line with the philosophy and vision of Trustpolitik that President Park has been advocating since even before she took office.

3. Trustpolitik and the New Korean Peninsula

(Philosophy and Vision of Trustpolitik)

• Lately, the rivalries and realignment in East Asia has been getting more complex and volatile. Last week's Financial Times editorial made the assessment that, in East Asia, nationalism is on the march, and there is a return to great power politics. The editorial also reminded us of the devastation caused by nationalism in Europe in the 19th century. Last February, Dr. Kissinger had also warned at the Munich Security Conference that military confrontation cannot be ruled out in the region by comparing the recent state of affairs in East Asia to Europe in the 19th century. In fact, experts are raising concerns that the Korean Peninsula, with the threat of an anachronistic North Korean regime, can become the most dangerous hotspot.

• The fundamental reason behind this crisi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 lies in the deficit of trust among the countries in the region. Confucius once said that, “without trust, there is no foundation for existence”. Trust is an asset for cooperation and an indispensable element for prosperity. It is also a social capital that will eliminate the cost of mistrust and promote efficiency. The Trustpolitik of the Park Geun-hye government aims to build the infrastructure of trust among the countries in the region, and then based on this infrastructure, promote a high-quality cooperation.

• We are already aware of many cases where by building trust, age-old conflicts were resolved or history changed its course of direction: just to name a few, the creation and development of the EU, the development of the US-China relations after establishing diplomatic ties, and the conclusion of the peace agreement between Egypt and Israel. For its part, Trustpolitik is based on a dispassionate assessment of the realitie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 as well as the unique historical experiences of Korea.

• The basic thrust of Trustpolitik is to establish sustainable peace and cooper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 by starting to build trust from the lower level. And the two main pillars of Trustpolitik are the ‘Korean Peninsula Trust-building Process’ and ‘Northeast Asia Peace and Cooperation Initiative’.

• The former aims to make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by exercising strong pressure and persuasion, while keeping peace with a robust deterrence.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seeks to resolve what is called the Asia paradox, a phenomenon of increased conflicts over historical and territorial issues, despite the deepening economic interdependence in the region. To this end, the initiative aims to build an infrastructure of trust in Northeast Asia by accumulating habits of cooperation and dialogue starting from soft issues.

• The Eurasia Initiative, the other pillar of Trustpolitik, is a grand vision to restore Eurasia into ‘One Continent’, which was divided in the Cold War period due to ideological barriers, and to create a ‘Continent of Creation’ and a ‘Continent of Peace’. More specifically, the initiative aspires to connect the Northern and Southern economies centering around the Korean Peninsula, by building a network of energy,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through, among others, strengthening the Korea-Russia relations, the trilateral cooperation among the two Koreas and Russia, as well as Korea’s relations with Eurasian countries.

(Dresden Initiative and Foreign Policy for Preparing Unification)

• No doubt, the ultimate goal of Trustpolitik is the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Trustpolitik, the Park Geun-hye government is committed to overcome the four major challenges I mentioned earlier, and proactively create an environment conducive to the eventual 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This commitment is well reflected in the vision for a unified Korea that President Park laid out in her speech in Dresden -- that is, unification that will proceed in harmony with the interest of our neighbors, with the blessing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will contribute to the cause of humanity. In this speech, she also presented three proposals that put the lives of the North Korean people first, and can be immediately implemented if North Korea responds with sincerity. The proposals are aimed specifically to resolve humanitarian problems in North Korea; to build infrastructure for the welfare of the people in the North; and to promote integration of the people on both sides.

• The Dresden Initiative is serious, not based on a rosy illusion about unification. We know that the road to reunification will be long and bumpy. This is why, working together with the neighboring countries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e should start making preparations, and create a platform and environment, for reunification. North Korea flatly rejected our genuine proposal denouncing it as an attempt for unification through absorption, and has vehemently responded by hurling insults to our leadership. But we will continue to seek ways to implement the proposals with patience and sincerity. For its own future, North Korea should make a strategic decision to give up its nuclear ambition and hold on to our hands.

• Benjamin Franklin left a famous saying that “By failing to prepare, you are preparing for failure”. Our generation is one that needs to live this era with the historical mission to prepare for the future of the Korean Peninsula. As an old saying goes, “opportunities cannot be caught from behind as they don’t have tails”. If we fail to cope with the challenges we are facing today with collective courage and wisdom, we may later remorse painfully for having lost the god-given opportunity for the future of the Korean Peninsula. I am a firm believer that opportunities only come when we make change, instead of waiting for change, and that only those who are prepared can grasp such opportunities. Thank you. /END/

---------------------------------------------------------------------

제주포럼 2014 조태열 차관 기조발언
라운드 테이블 주제 : 신뢰외교와 한반도



1 인사말


o 올해는 1차 세계대전 발발 100주년이자 독일 통일 25주년이 되는 뜻깊 은 해임. 그러나, 내년이면 분단 70주년이 되는 한반도에서는 불신과 갈등, 긴장이 지속되고 있음. 이러한 시점에서 한반도 주변의 외교안 보 환경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고, 그러한 변화가 한국 외교에 어떠한 도전을 던져주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고 생각함.


2 한반도 주변 외교안보 환경


□ 주요 변화와 도전

o 헨리 키신저가 “모든 성공은 보다 어려운 문제로 안내하는 입장권을 사는 것일 뿐이다(Each success only buys an admission ticket to a more difficult problem)" 라고 말한 적이 있음. 돌이켜보면, 이 말이 지난 한 해처럼 실감나게 다가온 적은 없었던 것 같음. 밤낮을 가리지 않고 지구촌 곳곳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밀려오는 크고 작은 문제들과 씨름하면서 우리 외교가 참으로 어렵고 복합적인 환경에 처해 있다는 걸 실감하였기 때문임.
ㅇ 오늘날 한국은 냉전 종식 이후 가장 엄중한 안보 환경 속에서 외교를 수행하고 있다고 생각함. 과거 냉전체제 하에서는 진영논리에 따라 단순방정식으로 풀면 모든 외교현안들이 쉽게 정리될 수 있었으나 이제는 어느 이슈 하나도 1차방정식으로 풀리는 것이 없음. 고차원적 해법과 전략적 사고가 없이는 풀리지 않는 이슈들이 거의 대부분임.
ㅇ 지난해 11월에 있었던 동중국해 방공식별구역(ADIZ) 문제가 그 좋은 예임. 이 문제는 일방적으로 ADIZ 선포 조치를 취한 중국과 이해관계국인 한국, 일본, 미국의 안보 및 전략적 이해관계가 서로 복잡하게 얽힌 매우 민감한 사안이었기 때문에 한국으로서는 주변국들과의 관계를 훼손하지 않으면서 국익을 확보하는 것이 결코 쉽지 않았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은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을 수 있었음. 이는 한국이 더 이상 ‘고래 싸움에 등터지는 새우’가 아닐 뿐 아니라 우리 외교가 그만큼 정교해졌기(articulate and skillful) 때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임.
o 방공식별구역 문제는 현재 우리 외교가 직면하고 있는 도전을 상징적으로 보여 주는 일례에 불과함. 우리는 이러한 문제들을 거의 매일 수도 없이 외교 현장에서 만나고 있으며 앞으로도 더 많이 만나게 될 것임. 중요한 것은 지혜롭고 원칙있는 외교(wise and principled diplomacy)를 통해 이러한 도전들을 기회로 만드는 것임.
o 오늘날 한국 외교에 도전과 기회를 동시에 제공하고 있는 주요 환경적 변화는 다음 네 가지로 요약됨. 첫째, 중국의 부상(the rise of China), 둘째, 일본의 역사 수정주의 움직임(historical revisionism in Japan), 셋째, 자신감 넘치는 러시아의 귀환(the return of an assertive Russia), 넷째, 핵 야망을 버리지 않고 있는, 시대착오적인 북한(anachronistic North Korea)임.

□ 중국의 부상

o 중국의 부상은 동북아뿐만 아니라 21세기 국제질서를 다룸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다양한 이슈들에 있어 global governance 재편이라는 논의를 수반하고 있음. 중국은 2010년에 세계 2위 경제대국으로 올라섰음. 최근에는 구매력(PPP) 기준 GDP가 미국을 추월하였다는 보도도 있었음. 중국은 이러한 경제적 자신감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대외 정책을 펼치고 있음. 덩샤오핑 이래 후진타오 시대까지의 “도광양회(韜光養晦)” 정책은 시진핑 시대에 접어들면서 “유소작위(有所作爲)”를 넘어서는 수준으로 바뀌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음. 다시 말해서, “힘을 기르며 때를 기다리는” 신중한 정책에서 “필요할 때는 힘을 발휘한다”는 보다 상황주도적이고 자신감 넘치는 정책으로 변하고 있다는 것임.
o “나비효과”라는 말이 있듯이, 중국이 주요 국제문제에 대해 어떤 입장을 취하면 그 파급효과를 즉각 지구촌 곳곳에서 느낄 수 있게 되었음. 이러한 변화는 그동안 아태 지역에서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해 온 미국과의 관계에서 어떤 형태로든 조정이 불가피하게 되었음을 의미함.
o 미국은 오바마 1기 행정부 이래 소위 아태 재균형(rebalancing to Asia) 정책을 추진해오고 있음. 이는 중국이 급속히 부상하고 있는 아태 지역에서 미국의 외교 안보 이익을 지키기 위한 전략적 대응이라 할 수 있음. 시진핑 주석이 작년 미·중 정상회담 시 소위 신형 대국관계(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hip)라는 양국 관계 비전을 제시한 것은 미국의 아태 정책에 대한 중국의 대응이라고 봄. 지난주 상하이에서 개최된 제4차 아시아교류 및 신뢰구축회의(CICA)에서 중국이 新아시아 안보 질서 구축의 필요성을 제시하면서 CICA를 아시아 지역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안보 대화 및 협력의 플랫폼으로 발전시켜 나갈 것을 제안한 것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임.
ㅇ 중국은 또한 적극적인 주변국 외교를 펼치고 있음. 시진핑 주석은 취임 후 최초 해외 방문국으로 러시아를 택하였고, 이달 중순에는 CICA회의 계기에 푸틴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통해 양국간 연대를 과시하는 한편 동중국해에서 중.러 대규모 연합 군사훈련을 실시하기도 하였음. 중국은 동남아 지역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한 적극적 행보도 보이고 있음. 최근 중국의 서사군도 해역 시추작업을 둘러싼 베트남과의 갈등이 그 좋은 예임.
o 의심할 바 없이 중국의 부상은 한미 동맹을 근간(backbone)으로 삼아온 한국의 외교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 지난해 동맹 60주년을 맞은 한-미 관계는 어느 때 보다 공고함. 한미 동맹관계는 이제 한반도와 동북아를 넘어 아태지역의 평화 및 안정에 핵심 축(linchpin)이 되었을 뿐 아니라, 2012년에 발효된 한미 FTA를 통해 포괄적인 전략 동맹관계로 발전하였음.
o 재작년 수교 20주년을 맞은 한-중 관계도 수교 이래 최상의 상태에 있음. 중국은 한국에게 최대 수출시장이자 제1의 투자대상국으로서 가장 소중한 경제파트너로 부상하였음. 한.중 양국간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는 현재 진행중인 한.중 FTA 협상이 마무리되면 한 단계 더 도약하게 될 것임.
ㅇ박근혜 대통령은 취임 이후 지난 1년 동안 적극적인 정상외교를 통해 오바마 대통령 및 시진핑 주석과 공히 깊은 개인적 신뢰를 쌓았고 이를 바탕으로 미.중 양국과의 관계를 더욱 심화해 오고 있음. 그러나 한미 동맹관계를 더욱 튼튼히 하면서 중국과의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균형 있고 조화롭게 발전시켜 나가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님. 창의적이고 전략적인 사고와 현명한 정책적 판단과 선택을 요하는 일임. 따라서 이 문제는 한국외교가 직면하고 있는 가장 중요하고도 어려운 도전이 되고 있음.
o 같은 맥락에서 동북아 지역에서 미.중 양국의 전략적 이익이 충돌하느냐 아니면 조화를 이루느냐 하는 것은 한국외교의 대외 환경을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음. 미중관계가 어려워지면 한국의 외교적 입지는 그만큼 좁아지게 될 것임. 그러나, 한국이 이러한 도전에 지혜롭게 대처하면서 미.중 양국과 공히 신뢰를 쌓아갈 경우 한국외교의 입지도 넓어지고 동북아 지역에서 건설적인 역할을 수행할 공간도 생길 수 있다고 봄. 그러한 측면에서 북핵문제를 포함한 북한 문제는 한국외교에 도전과 기회를 동시에 제공해 주는 것이라고 생각함.

□ 일본의 역사 수정주의

o 아베 정권 하의 일본에서 ‘정상국가화’, ‘적극적 평화주의’(Proactive Contribution to Peace)라는 기치 아래 일어나고 있는 역사수정주의 움직임은 한, 중 등 주변국과의 갈등을 심화시키고 동북아 정치 지형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있음.
o 일부 정치인들의 그릇된 역사인식과 오도된 민족주의에서 비롯된 이러한 움직임은 비단 동북아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 국제사회 전체의 문제임. 전후 국제 질서를 바꾸고 과거 역사를 다시 쓰겠다는(rewrite the history) 의도가 깔려 있기 때문임. 미국과 유럽, 동남아의 유수한 언론들이 일본의 역사수정주의 움직임을 강하게 비판하고 있는 것도 이러한 우려를 공유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함. WP지는 이를 역사부정주의(historical denialism)라고까지 표현한 바 있음.
o 지난 4.17자 NYT에 실린 독일 언론인의 칼럼 ‘독일이 일본에게 가르쳐 줄 수 있는 것’(What Germany Can Teach Japan)은 아베 정권하의 일본이 안고 있는 문제의 정곡을 찌르는 글이었음. 필자는 “정상화라는 것은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추구하여 얻어내야 하는 것”이라고 하였음. 전후 독일이 그랬듯이 과거의 잘못을 진심으로 반성하고 간절하게 용서를 구하여 신뢰를 쌓았을 때 비로소 일본은 정상국가가 될 것임. 아울러 아베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집단적 자위권 행사 문제도 실질적인 논의에 앞서 주변국들의 신뢰를 얻기 위한 노력이 선행되어야 하며, 논의 과정에 있어서도 과거사에 기인한 주변국들의 우려를 감안하여 투명하고 신중하게 추진되어야 할 것임.
o 일본의 역사 수정주의로 인한 한.일간 갈등으로 미국은 현재 심각한 딜레마에 빠져 있음. 한국과 일본은 모두 이 지역에서 가장 강력한 미국의 동맹국들이기 때문에 양국 관계의 악화는 아태지역에서 미국의 전략적 이익을 훼손하는 것임. 한미동맹과 미일 동맹은 제로섬 관계가 아니라 동반성장하는 관계이므로 어느 한 쪽을 위해 다른 한 쪽을 희생한다는 것은 미국으로선 생각할 수 없는 선택일 것임. 미국으로선 대 중국 관계 및 북한 문제를 다루기 위해 한미일 3국간 안보협력이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함. 오바마 대통령이 지난 3월 헤이그 핵안보 정상회의 계기에 한·미·일 3국 정상회담을 주선한 데 이어, 4월 한·일 양국 방문시 양국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을 기울인 것도 이러한 연유에서임.
o 우리는 헤이그 3국 정상회담을 계기로 한일관계 개선을 위한 새로운 모멘텀이 생기길 기대하였으나 유감스럽게도 아직 터널의 끝이 보이지 않고 있음. 앞으로의 전망도 낙관적이지 않음. 미국은 전후 역내 질서의 설계자로서 지역 안정을 해칠 수 있는 역사수정주의의 부활을 막기 위해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야 함. 현실적으로 미국만이 일본을 변화시킬 수 있는 열쇠를 쥐고 있기 때문임.
o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가지 다행스러운 것은 우여곡절 끝에 최근 군대 위안부 문제를 다루기 위한 한·일 국장급회의가 두 차례 열렸다는 사실임. 앞으로도 매월 개최하기로 되어 있는 이 회의에서 일본이 진정성 있는 태도로 이 문제를 다룸으로써 한-일 관계 회복의 물꼬를 트게 되길 바람. 그리하여 내년에는 한일관계 정상화 50주년을 양 국민이 즐거운 마음으로 함께 기념할 수 있게 되기를 소망함.

□ 러시아의 귀환

o 한·러 양국은 2008년에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 수립에 합의한 바 있으나 그간 별다른 진전을 보지 못하였음. 그러나 지난해 양국에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새로운 전기가 마련되었고, 이후 두 차례의 정상회담을 통해 의미있는 관계 진전이 이루어졌음.
o 푸틴 정부가 표방하고 있는 소위 아태지역중시 정책(Look East Policy)과 박근혜 정부가 추진 중인 유라시아 이니셔티브가 맞물려 나진-하산 물류협력사업과 같은 구체적인 사업들이 현실화되고 있음.
o 그러나 금년 초 발생한 우크라이나 사태로 한러 관계는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 있음. 어떤 이들은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 이후 노정된 러시아와 서방 간의 갈등을 두고 ‘역사의 귀환(return of history)’, ‘냉전으로의 회귀’라는 말까지 하고 있음. 한.러 관계가 우크라이나 사태 발전에 영향을 받는 것은 당연한 일임. 우크라이나 사태가 북한 핵문제를 다룸에 있어 북한에 잘못된 신호를 보낼 수 있다는 것도 우려되는 일 중의 하나임.
o 우크라이나에서 더 이상의 사태 악화는 관련 당사국 모두에게 큰 부담이 되는 만큼 사태가 진정국면으로 들어설 것이라는 조심스런 낙관론에 우리는 기대를 걸고 있음. 러시아는 북핵 문제의 해결뿐만 아니라 우리의 신뢰외교 추진에 소중한 파트너이기 때문에 덜 대결적인(less-confrontational) 대외환경이 조성되는 것은 우리에게 매우 중요함. 이런 의미에서 지난 5.25 우크라이나 대선이 예정대로 평화롭게 실시된 것을 다행스럽게 생각하고 이를 환영함.


□ 시대착오적인 북한

o 두말 할 것도 없이 북핵․북한 문제는 한반도 안보에 가장 큰 위협이자 도전임. 핵무기 프로그램을 포기하고 개혁과 개방의 길로 나서라는 국제사회의 단합된 메시지에도 불구하고, 김정은 정권은 오히려 지난해 2월 3차 핵실험을 실시하고 이어 3월에는 핵․경제건설 병진노선을 천명하였음. 특히 작년 12월 장성택 처형 이후 북한 내부 정세의 유동성과 불확실성 증대는 한반도와 동북아 안보에 더 큰 위협이 되고 있음. 게다가 북한은 금년 들어 추가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 등을 위협하며 지속적으로 도발 수위를 높여왔음.
o 이런 상황에서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이달 초 한국의 안보리 의장국 수임 계기에 뉴욕을 방문하여 북한이 추가 핵실험을 감행할 경우 견디기 어려운 후과가 따를 것임을 엄중히 경고한 바 있음. 유엔 안보리 차원의 제재뿐 아니라 개별국 차원의 보다 강력한 제재가 뒤따르게 될 것임.
o 돌이켜보면 한반도는 그동안 20년을 주기로 남북관계의 근본적 변환(transformational change)을 모색할 수 있는 역사적 기회를 경험하였음. 70년대 동서데탕트 분위기 하에 남북관계가 일시적 해빙기를 겪었고, 90년대 냉전 종식으로 남북관계 기본합의서 채택 등 일부 관계 진전을 이루었으나 모두 남북관계에 근본적인 변화를 이끌어내지는 못하였음. 북한은 국제사회의 흐름을 거부하고 김일성 사망 이후 더욱 고립의 길로 들어섰음. 냉전 종식 후 20여년이 지난 지금 한반도는 또 다른 역사적 변혁기를 겪고 있음. 윤병세 장관은 최근 연설에서 이를 제3의 지각변동(tectonic shifts)이라고 부른 바 있음.
o 금년초 박근혜 대통령께서 제기하신 통일대박론과 3월 독일 방문 시에 드레스덴 연설을 통해 제시하신 평화통일 비전은 한반도의 미래를 준비해야 할 중차대한 시점에 서 있는 지도자로서의 역사적 소명의식에서 나온 것이라고 생각함. 그리고 동 구상들은 갑자기 나온 (out of the blue) 것이 아니라 취임 전부터 주창해 오신 ‘신뢰외교’의 철학과 비전의 연장선 상에 있는 것임.


3 신뢰외교와 ‘새로운 한반도’


□ 신뢰외교의 철학과 비전

o 최근 동아시아에서의 경쟁과 재편은 복잡성을 더해가고 있으며 그 어느 때보다 폭발성이 있음. 지난주 Financial Times 사설은 동아시아에서 위험한 민족주의가 활개치고 있으며(nationalism is on the march), 강대국간 권력정치로 회귀(return to great power politics) 하고 있다고 진단하면서, 과거 19세기 유럽에서 민족주의로 인한 폐해를 상기시킨 바 있음. 키신저 박사도 지난 2월 뮌헨안보회의에서 최근 동아시아 정세를 19세기 유럽에 비유하면서 군사적 충돌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경고한 바 있음. 이러한 상황에서 전문가들은 시대착오적인 북한의 위협을 안고 있는 한반도가 가장 위험한 hotspot이 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음.
o 한반도 및 동북아 위기의 근본 원인은 신뢰의 결핍에 있음. 공자는 무신불립(無信不立), 즉 ‘신뢰 없이는 존립의 기반이 없다’고 했음. 신뢰는 협력을 위한 자산이자 번영의 불가결한 요소이며 불신의 비용을 제거하고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사회적 자본임. 박근혜 정부의 신뢰외교는 국가간의 관계에서 신뢰의 인프라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높은 수준의 협력을 이끌어 내겠다는 것임.
o 과거 EU 탄생과 발전, 미국과 중국의 수교 이후의 관계 발전, 이집트와 이스라엘의 평화협정 체결 등 우리는 신뢰구축을 통해 오랜 갈등이 해소되거나, 역사의 방향이 전환되었던 많은 사례를 이미 알고 있음. 신뢰외교는 한국의 독특한 역사적 경험과 함께 한반도 및 동북아 지역에 대한 냉철한 현실인식을 토대로 함.
o 신뢰의 위기를 겪고 있는 한반도와 동북아에서 낮은 단계에서부터 신뢰를 구축하여 지속가능한 평화와 협력을 정착시키겠다는 것이 신뢰외교의 요체이며, 이를 구성하고 있는 두 개의 축이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와 ‘동북아 평화협력구상’임.
o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는 강력한 억지력을 토대로 한반도에서 평화를 지키면서(peace keeping) 강한 압박과 설득을 통해 평화를 만들어(peace making) 나가겠다는 것임. 반면, 동북아 평화협력구상은 경제적 상호의존성의 증대에도 불구하고, 역사․영토 문제를 둘러싼 갈등은 오히려 커져가는 이른바 ‘아시아 패러독스’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연성 이슈부터 협력과 대화의 습관과 관행을 축적하여 동북아 지역에 신뢰의 인프라를 구축해 나가겠다는 것임.
o 신뢰외교의 또 다른 축을 이루고 있는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는 냉전시대에 이념적 장벽으로 인해 허리가 잘렸던 유라시아를 ‘하나의 대륙’으로 복원하고 ‘창조의 대륙’, ‘평화의 대륙’으로 만들어나가겠다는 원대한 비전임.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러, 남북러 3각 협력 및 유라시아 국가들과의 관계 강화를 통해 유라시아를 관통하는 에너지, 교통, 물류망을 구축함으로써 한반도를 중심으로 북방 경제권과 남방 경제권을 연결하겠다는 것임.

□ 드레스덴 구상과 통일준비외교

o 신뢰외교가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표는 두말 할 것도 없이 한반도의 통일임. 박근혜 정부는 모두에 언급한 네 가지 안보 환경적 도전을 신뢰외교로 지혜롭게 극복하고 궁극적으로 한반도 통일을 위한 주변 환경을 적극 만들어 나갈 것임. 박근혜 대통령께서 드레스덴 연설을 통해 제시한 통일 비전, 즉 주변국들의 이해와 조화를 이루고, 국제사회로부터 축복을 받으며, 인류 전체에 기여하는 통일은 바로 이러한 의지를 반영한 것임. 동 연설에서 함께 제시된 3대 제안은 북한이 호응한다면 당장이라도 실천 가능한 것들로서 북한 주민의 삶에 초점을 맞춘 것임. 남북한 주민들의 인도적 문제를 해결하고, 남북한 공동번영과 복지를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며, 남북 주민간 동질성을 회복하기 위한 구체 제안이 그것임.
ㅇ 드레스덴 구상은 통일에 대한 장밋빛 환상에서 비롯된 것이 아님. 우리는 통일의 여정이 얼마나 길고 험난한 것인지 잘 알고 있음. 그렇기 때문에 지금부터 통일을 준비하고, 주변국 및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통일 기반과 환경을 조성해 나가고자 하는 것임. 북한은 진정성이 담긴 우리의 제안을 흡수통일 기도라며 거부하고 우리 리더십을 향해 입에 담지 못할 욕설을 퍼붓는 등 격렬한 반응을 보이고 있으나 우리는 인내심을 갖고 꾸준히 추진방안을 모색해 나갈 것임. 북한은 스스로의 장래를 위해 핵 포기라는 전략적 결단을 내리고 우리가 내민 손을 잡아야 함.
o 벤자민 프랭클린은 “미래를 준비하는데 실패하면 실패를 준비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다”라는 명언을 남겼음. 우리는 한반도의 미래를 준비해야 할 역사적 사명을 안고 이 시대를 살아가야 할 세대임. “기회는 꼬리가 없어 뒤에서 잡을 수 없다”는 속담이 있듯이, 오늘 우리가 마주친 도전에 슬기롭게 대처하지 못할 경우 한반도의 미래를 위한 절호의 기회를 놓치게 될지도 모름. 변화를 기다리지 않고 변화를 만들어 갈 때 기회가 찾아오며 준비된 자만 그 기회를 잡을 수 있다고 믿음. 경청해 주셔서 감사함.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