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국가상징
  2. 어린이·청소년
  3. RSS
  4. ENGLISH

외교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 국가/지역 정보

  • 국가/지역 개관 및 우리나라와의 관계

    • 지역개관

      아프리카는 북위 37도21에서 남위 34도51, 동경 51도27에서 서경 17도33까지에 이르는 지역으로, 동서 최장거리가 7,400km 남북 최장거리가 8,500km이며, 총 면적은 약3,025만㎢에 달함. 지구육지면적의 1/5을 차지하는 광활한 대륙으로, 2018년 약 12억의 인구를 갖고 있으며, 54개 독립국으로 구성되어 있음. 세계 대륙면적의 20.4%, 세계인구의 16.4%를 차지하며, 권역 또는 국가별로 다양한 특성과 복잡성을 가지고 있음

      • 아프리카의 5개 권역 구분

        아프리카는 북부아프리카(마그레브국가), 서부아프리카(차드 호수의 서부지역, 나이지리아, 가나, 세네갈, 코트디부아르, 베냉 등, 아프리카 인구의 1/3), 중부아프리카(적도를 중심으로 남북 위도 20도내외, 카메룬, 가봉, 콩고, DR콩고, 중앙아프리카 등), 동부아프리카(에티오피아, 우간다, 케냐), 남부아프리카(남아공, 앙골라, 모잠비크 등)의 5개 권역으로 구분됨

      • 경제규모 및 자원분포
        • 경제 집중도의 차이도 워낙 커서 6대 경제 강국(남아공, 알제리, 이집트, 나이지리아, 모로코, 리비아)들이 아프리카 전체 인구의 약 35%, 전체 GDP의 56%, 무역고의 약60%를 차지하고 있음
        • 지하자원면에서는 리비아, 알제리, 나이지리아, 콩고, 콩고민주공화국, 남아공, 앙골라 등은 풍부한 지하자원을 보유하고 있음
      • 기후

        사하라 사막과 칼라하리 사막 주위의 고온건조기후에서부터 지중해 연안 및 남아프리카의 온대기후, 중부 아프리카 열대 우림 지대의 고온다습기후, 그리고 이들 사이 광대한 초원지대의 스텝 기후 등 다양한 형태를 갖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각 기후대별로 다른 형태의 생태계가 분포되어 있음

    • 우리나라와의 관계

      • 역사적 변천
        • 1960년대 이전은 6.25 전쟁 때 에티오피아 육군부대와 남아연방 비행중대가 유엔군 일부로서 참전
        • 1960년대 초반부터 1960년대에 들어서 이른바 ‘아프리카의 해’를 맞아 아프리카 17개국이 영국, 프랑스, 벨기에 등 유럽 제국의 식민통치에서 벗어나 대거 독립을 성취하자 이들과 외교관계를 수립하고 우호·협력관계 강화
        • 1960-70년대 대아프리카 외교는 유엔에서의 표 대결 등 북한과의 경쟁외교 중심
        • 1982년 전두환 대통령이 케냐, 세네갈, 가봉, 나이지리아를 순방하였고, 아프리카 제국에서는 정상들이 9명 방한(訪韓)정부는 대통령특사, 친선사절단, 기타 교섭단을 수시로 파견하여 아프리카의 많은 우방국들과 각종 협정 등을 체결하고 무상원조 제공, 태권도 사범 파견, 농업조사단 파견 등을 통하여 실질적 경제·기술 협력을 전개
        • 1990년대 들어 동·서 냉전의 종식은 아프리카 지역에도 민주화 운동을 가져왔으며, 차드 문제, 나미비아 문제, 앙골라 문제, 남아공 문제 등 주요 지역 문제의 해결은 역내 정세의 호전을 가져왔으나 종족간 및 지역간 반목, 국경분쟁, 구 집권 세력과 개혁 세력간의 대립은 여전히 정세 불안 요인으로 작용하였음. 또한 미·소 양 진영의 아프리카에 대한 원조 감소와 1차산품의 국제가격 하락 등은 아프리카 제국의 경제적 어려움을 가중시킴. 1991년 남북한 유엔 동시가입 후 이런 국제질서의 변화에 맞춰 우리나라는 과도한 남북한 대결외교를 지양하면서, 실익을 중시하는 외교 전개
        • 2006년 3월 노무현 대통령은 아프리카(이집트, 나이지리아, 알제리)를 순방하였고, ODA 지원규모를 2008년까지 3배 확대키로 하는 내용 등을 골자로 하는 ‘아프리카 개발을 위한 한국 이니셔티브’를 발표함. 아울러 이해찬 총리, 한명숙 총리, 반기문 외교장관 등이 아프리카를 방문하는 등 고위 인사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2006년 8월 기니와 수교함으로써 아프리카 53개국 모두와의 국교를 수립함.
        • 2011년 7월에는 신생 독립국인 남수단과 수교함으로써 아프리카 54개국과 국교수립
        • 2006년 제1차 한-아프리카 포럼(서울)을 시작으로 2009년 제2차, 2012년 제3차 포럼을 서울에서 개최. 제4차 포럼은 2016년 12월 6-7일 최초로 아프리카 대륙(아디스아바바 AU 본부)에서 개최
        • 2011년 7월 이명박 대통령은 3개국(남아공, 콩고민주공화국, 에티오피아)를 순방하고 상생협력(win-win cooperation)의 대아프리카 외교 추진
        • 2016년 5월 25일-6월 1일 박근혜 대통령은 3개국(에티오피아, 우간다, 케냐) 순방하고 아프리카와의 포괄적 협력을 위한 청사진 제의
        • 2018년 이낙연 국무총리는 7월(케냐, 탄자니아), 12월(모로코, 튀니지, 알제리) 두 차례의 아프리카 순방을 통해 우리 정부의 외교다변화 및 대아프리카 외교 강화
        • 2018년 6월 국내 최초의 아프리카 특화 기관으로서 외교부 산하 한∙아프리카 재단 출범
      • 우리나라와의 관계

        한국과 아프리카 관계는 1950년대 한국전쟁으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한국이 전쟁으로 어려움에 처해있던 시기, 에티오피아는 왕실근위대를, 남아공은 비행편대를 파병해주었으며, 이집트와 라이베리아는 물자 지원을 해주었고, 프랑스군에 소속되어 있던 모로코 청년들은 참전을 통해 우리에게 도움의 손길을 내밀었습니다. 이로부터 시작된 소중한 인연은 1960년대 아프리카 국가들의 독립과 함께 코트디부아르, 니제르, 베냉, 차드, 카메룬, 콩고공화국 6개국과의 외교관계 수립으로 이어졌습니다.

        1980년대 '88 서울올림픽'의 유치과정에서 한-아프리카 간 문화적, 정치적 교류가 증진되며 우리의 아프리카 외교가 본격적으로 재조명되기 시작했습니다. 이를 계기로 아프리카 국가들과의 접촉 면이 점차 확대되면서 대아프리카 협력 수준이 향상되었습니다.

        1990년대 냉전이 종식되면서 아프리카에서 한국의 외교 영역도 본격적으로 확대되었습니다. 특히 1991년 우리의 유엔 가입과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출범은 우리의 대아프리카 외교를 강화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습니다.

        2000년대에 들어 아프리카에서 연대와 결속 노력이 본격화되며 아프리카연합(AU)이 2002년 출범했습니다. 한국은 2005년 AU 옵저버 국가 지위를 획득함으로써 AU와의 협력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2006년 ‘아프리카 개발을 위한 이니셔티브’를 통해 한국 개발 경험 공유 확대 의지를 발표하였으며, 같은 해 4월‘한-아프리카 경제장관회의(KOAFEC)’와 11월 외교장관 협의체인 ‘한-아프리카포럼(KOAF)’이 출범하며 아프리카와의 핵심 협력 플랫폼이 구축되었습니다.

        국내적으로는 2013년 ‘국회아프리카새시대 포럼’이 발족하여 의회외교의 발판이 마련되었고, 2016년 ‘아프리카와 포괄적 협력을 위한 청사진 이니셔티브’를 통해 한-아프리카 상생 동반자로서 협력 파트너십을 확대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습니다. 2018년 외교부 산하기관 ‘한-아프리카 재단’이 설립되며 양측 민간 교류 또한 증진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과 아프리카는 교역, 투자, 인프라, 광물·에너지, 방산, 전자정부, IT·디지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협력을 확대해왔습니다.

        2024년 6월 4일-5일 한국은 한-아프리카 정상회의를 최초로 개최하여, 한-아프리카 상호 강점을 연계하여 실질 협력을 획기적으로 확대하는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했습니다.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개황자료를 작성ㆍ제공하는 각 과(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