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국가상징
  2. 어린이·청소년
  3. RSS
  4. ENGLISH

외교부

1,2차관

제1차관, 미사일기술통제체제(MTCR) 총회 특별연설

부서명
작성자
작성일
2016-10-19
조회수
2403

임성남 차관 미사일기술통제체제(MTCR) 총회 특별연설

Special Opening Remarks
by H.E. Lim Sungnam
Acting Minister of Foreign Affairs

Missile Technology Control Regime Plenary
Busan, October 19, 2016

Ambassador De Klerk,
Distinguished delegates,

Good afternoon and a warm welcome to Busan.

It is a great honor to join you this afternoon. This Plenary is particularly meaningful in several ways. Let me tell you why.


To begin with, today we are welcoming a new Partner.

We have the honor of welcoming India in Busan after we welcomed Bulgaria in Seoul 12 years ago. India’s accession shows that the MTCR is a constantly developing regime.

I would like to send my warmest welcome to India, and look forward to working with India as a constructive and essential Partner of the MTCR.

In addition, the MTCR will celebrate its 30th Anniversary next year.

During the past three decades, the number of the MTCR Partners has grown from seven to thirty-five; its focus has expanded to include missiles for the delivery of chemical and biological weapons as well as nuclear weapons; and in 2002, it gave birth to the HCOC,
the only multilateral transparency and confidence-building instrument concerned with the spread of ballistic missiles.

There is no doubt that the day-to-day efforts of Partners have enormously contributed to countering the global missile proliferation.

But what makes this Plenary even more special is the fact that it takes place at the most appropriate venue in a most timely manner.

Today, North Korea’s ballistic missile program is undoubtedly the biggest challenge the MTCR faces.

While MTCR Partners have been striving to prevent the proliferation of missile technology, North Korea, as both a procurer and proliferator, floute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by disregarding all norms and warnings.

This year alone, Pyongyang fired 23 rounds of different ballistic missiles. As you may know, the city of Busan is already within the range of Scud missiles.

And North Korea’s other missiles, such as Nodong, Musudan, and ICBM, can now target the capitals of each and every Partner gathered here.

This is why we must address this issue squarely bearing in mind the gravity and urgency of the matter.


Earlier this year, in response to Pyongyang’s fourth nuclear test and ballistic missile launch, the UN Security Council unanimously adopted resolution 2270, which is one of the strongest and most comprehensive sanctions resolutions ever adopted against any WMD program.

Notwithstanding UNSCR 2270, however, North Korea has repeatedly shown its intention to continue the development of its nuclear and missile capabilities through multiple provocations, culminating in its fifth nuclear test on September 9th.

In terms of magnitude, the September 9th nuclear test is the largest of the five that North Korea has conducted over the past decade.

This indicates that North Korea is advancing its nuclear capabilities at an alarming pace.

Following its latest test, Pyongyang claimed that it can now produce, I quote,“a variety of smaller, lighter, and diversified nuclear warheads of higher strike power at will,”unquote.

Kim Jong-un, in pursuit of advanced delivery means, ordered 23 ballistic missile launches in just 8 months since February.

This number far exceeds the total of 16 ballistic missiles launched during the entire 18-year regime of Kim Jong-il, his late father.

This not only illustrates the recklessness of the North Korean regime but also shows that North Korea is nearing a point where it can mount a nuclear warhead on a missile and hold the world hostage.

Indeed, Kim Jong-un has officially stated that he is ready to use nuclear weapons for pre-emptive strike.

Pyongyang’s nuclear and missile programs are a clear and present threat to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Friends and Colleagues,

North Korea now stands alone and isolated against a determined international community.

More than 100 countries have publicly condemned Pyongyang’s fifth nuclear test.

And now, it is imperative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faithfully implement resolution 2270.

As UN sanctions resolutions on North Korea have incorporated the MTCR Annex in its entirety since 2006, we can say that the MTCR constitutes an integral part of these resolutions.


Against this backdrop, I would like to share my ideas on the role of the MTCR, as a stronghold against the advancement of North Korea’s missile program.

First, the MTCR must step up its efforts to close the loopholes in the field of export control, which is the very mandate of the regime.

The pace of the technical advancement of North Korea’s missile program, most notably Musudan and the SLBM program, is truly alarming.

Such a phenomenon indicates a possible inflow of sensitive materials into North Korea and help from third countries.

To close these loopholes, we need to block North Korea’s procurement of below-threshold items.

In this regard, my Government announced a watch-list of 41 missile-related items last June, and shared this watch-list with Partners this week.

I hope that my Government’s watch-list can contribute to the international efforts to implement catch-all controls.

Secondl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needs to take a holistic approach in dealing with North Korea’s procurement network.

The tighter international sanctions get, the more deliberate Pyongyang’s procurement tactics become.

Operating hand in hand with nebulous networks of suppliers, brokers and financiers, North Korea is even using diplomats and diplomatic pouches to procure sensitive materials in violation of the Vienna Conventions.

To address this issue, it is imperative that MTCR Partners actively exchange information and exercise extra vigilance on North Korea’s various procurement activities including through third countries.

By cooperating with other export control regimes and international bodies, especially the UNSC 1540 Committee and the HCOC, we can weave an intricate and multi-dimensional non-proliferation net to halt North Korea’s procurement activities.

Third, the MTCR needs to send a clear and strong message against North Korea’s missile activities at this critical juncture.

The public statement of the MTCR is not a political rhetoric. Rather, it is a useful and effective tool the Regime has in curbing the proliferation of missiles, which is our core mandate.

We have the responsibility to make North Korea realize that if it continues to challenge the non-proliferation regime, it will only end up worsening its isolation against a determined international community.

If we fail to send the right message at the end of this Plenary, I am afraid that we might give the wrong signal tha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condones the wrongdoings of North Korea, which I strongly believe is unacceptable to every Partner here.


Friends and Colleagues,

The incoming Chair, Mr. HAM Sang-wook, will focus on facilitating discussions and finding solutions for the various challenges the regime faces today during his tenure of 2016-2017.

An example of what we Partners need to focus on is the issue of intangible technology transfer (ITT). Unlike 30 years ago, ITT is now a present threat.

Electronic communication is available anytime, anywhere, and e-commerce is growing exponentially; 3D printers have become just one of the more expensive toys which can be purchased in shopping malls in your neighborhood; thanks to globalization, people with technical expertise freely interact across the borders.

It will require ceaseless efforts for the MTCR to remain as relevant in the coming years as it is now.

In a similar vein, the MTCR needs to adapt to the new issues emerging from new actors in the field of export control.

In addition to countries and companies which supply and demand sensitive items, new actors such as transit and trans-shipment hubs, freight-forwarders, and the academia joined the scene.

Any one of them could be the weakest link in the global export controls network. The MTCR needs to expand its outreach activities to those various actors to increase their awareness.


Before closing, I would like to say that my Government is privileged this year to chair both the MTCR and the NSG concurrently, which is unprecedented in the history of export control regimes.

I view this double chairmanship as a token of trust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or Korea’s non-proliferation commitment, and thus feel a great sense of responsibility.

However, collective efforts of all Partners will be essential in fulfilling this responsibility. We are the ones who write and guard the MTCR Guidelines and control lists, which are recognized as the international standard in this field.

I believe the price attached to our privileged membership is our joint responsibility to lead the global efforts to address the issue of missile proliferation, and guard the international non-proliferation regime.

I would like to close by assuring all of you that, as the chair country, the Republic of Korea will work closely with each and every one of you, and provide every support for a productive and successful Meeting.

Thank you very much. /END/

----------<국문번역>----------

De Klerk 의장님,
대표단 여러분,

부산에 오신 것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여러 가지로 각별한 의미가 있는 이번 총회에 참석하여 연설을 하게 되어 영광으로 생각합니다.


먼저, 이번 총회는 MTCR이 신규 회원국을 환영하는 뜻 깊은 자리입니다. 12년 전 서울총회에서 불가리아를 신규 회원국으로 환영한 이후, 이번에는 부산총회에서 인도를 환영하는 영광을 다시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인도의 가입은 MTCR이 계속 발전하는 체제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인도 대표단에게 각별한 환영인사를 전하며, MTCR의 건설적이고 필수적인 파트너로서 함께 일하게 되기를 고대합니다.

또한 MTCR은 내년 출범 30주년을 맞이합니다. 30년 동안 ㅿ7개 회원국은 35개국으로 늘었고, ㅿ핵탄두 운반 미사일 관련 물품/기술로 한정되었던 통제의 범위는 화학ㆍ생물 무기 등 모든 WMD 운반 미사일 관련 물품/기술로 확대되었으며, ㅿ2002년에는 탄도미사일 확산 방지를 위한 헤이그 행동규범(HCoC) 이라는 미사일 분야 투명성 규범도 만들어 내었습니다. MTCR 회원국들의 부단한 수출통제 노력이 모여 국제사회의 미사일 비확산에 지대한 기여를 해 왔다는 점에는 의심이 없습니다.

그러나 이번 총회가 특별한 가장 큰 이유는 최적의 장소에서 적시에 개최되는 점 때문일 것입니다. 지금 MTCR에 대한 최대의 도전은 의심의 여지없이 북한의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입니다. MTCR 회원국들이 30년간 미사일 기술 이전의 확산 방지를 위해 노력하는 동안, 북한은 미사일 관련 조달자(procurer)이자 확산자(proliferator)로서 국제사회의 규범과 경고를 무시하며 국제사회를 조롱해 왔습니다. 북한은 금년에만 23발의 다양한 탄도미사일을 발사했습니다. 아시다시피 부산은 이미 북한 스커드 미사일의 사정거리 안에 있고, 북한이 금년 발사한 노동, 무수단, ICBM 등은 이제 그 위협을 이 자리에 모인 MTCR 전 회원국으로 확대시키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MTCR 당사국들이 북한 미사일 문제의 위중함과 심각성을 느끼고 확고히 대처해 나가야 하는 이유입니다.


대표단 여러분,


금년초 북한의 4차 핵실험 및 장거리미사일 발사에 대해 국제사회가 WMD 관련 제재 결의로는 전례없이 강력하고 실효적인 안보리 결의 2270호를 만장일치로 채택했음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핵·미사일 능력 고도화를 지속하겠다는 의지를 노골화하며 각종 도발·위협을 멈추지 않다가, 급기야는 9.9 5차 핵실험이라는 시대착오적 도발을 감행하였습니다.

금번 북한 핵실험의 위력은 지난 10년간 5차례에 걸친 핵실험중 가장 강력한 규모로, 북한의 핵능력이 우려할만한 속도로 진전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평가됩니다. 북한은 금번 핵 실험 이후, “소형화, 경량화, 다종화된 보다 타격력이 높은 핵탄두를 마음먹은 대로 필요한 만큼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고 발표한바 있습니다.

김정은은 미사일 투발 수단의 고도화를 위해 지난 2월부터 8개월간 23발의 탄도미사일을 명령했습니다. 이 숫자는 김정일 정권 18년간 발사된 16발이라는 숫자를 훨씬 뛰어넘는 것입니다. 이것은 북한 정권의 무모함을 보여주고 있는 동시에, 북한이 실제로 핵탄두를 미사일에 장착하여 전세계를 위협할 수 있는 시점에 보다 근접하였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실제로 김정은은 핵무기를 선제 타격용으로 사용할 의사가 있음을 공언한바 있습니다. 북한 핵ㆍ미사일 문제는 이제 국제 평화와 안보에 대한 현재적이고 급박한 위협인 것입니다.

대표단 여러분,

현재 북한은 홀로 고립된 채 북한 비핵화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가진 국제사회와 대결하고 있습니다.

100여개 국가들이 북한의 5차 핵실험을 공개적으로 규탄하였습니다.

이제는 국제사회가 안보리 결의 2270호를 철저하게 이행해 나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2006년 채택된 안보리의 첫 대북 제재결의부터 MTCR 통제목록이 그대로 반영하고 있는 만큼, MTCR은 대북 제재 결의의 안보리 결의 이행의 불가분의 한 부분을 이루고 있다고 하겠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북한 미사일 프로그램 진전을 저지하기 위한 보루로서 MTCR의 역할에 대한 저의 세 가지 생각을 여러분과 공유하고자 합니다.

첫째, MTCR은 본연의 임무인 수출통제 분야에서 발생하고 있는 허점(loophole)을 막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북한 미사일의 기술적 진전 속도, 특히 무수단 및 SLBM 프로그램의 진전은 매우 우려스럽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북한으로의 민감 물자 유입 및 북한-제3국간 협력 가능성을 암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허점을 막기 위해서는 우선 북한이 국제사회의 통제기준에 미치지 않는 물품(below-threshold items)을 조달하는 것을 차단해야 할 것입니다. 이러한 차원에서, 우리 정부는 지난 6월 ‘북한 맞춤형 감시대상품목(watch-list)’을 작성하여 발표하고, 이중 미사일 관련 41개 품목을 이번 총회를 통해 MTCR 회원국들과도 공유하였습니다.

둘째, 국제사회는 북한의 조달 네트워크 전반에 대해 총체적 (holistic) 접근을 취해야 합니다.

국제사회의 제재가 강화되면서 북한의 조달 수법도 나날이 교묘해 지고 있으며, 다양한 공급자, 중개자, 자금 제공자로 구성된 확산 네트워크와 협력하는데 그치지 않고 외교관계에 관한 비엔나 협약을 위반하면서 외교관과 외교 행낭을 확산 활동에 사용하는데 이르렀습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MTCR 차원의 활발한 정보 공유 및 제3국을 통한 대북 물자 유입에 대한 각별한 관심과 주의가 필요할 것입니다. 이러한 측면에서, 안보리 1540 위원회 HCOC 등 다각적 협력을 통해, 북한의 확산 활동을 차단하기 위한 정교하고 다차원적인 그물망을 짜 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셋째, MTCR는 이 중차대한 시점에 북한 미사일 문제에 대해 분명하고도 강력한 메시지를 발신해야 합니다.

MTCR이 대외적으로 표명하는 입장은 정치적 수사가 아니라, MTCR의 임무(mandate)인 불법적인 미사일 확산 방지를 위한 유용하고 효과적인 수단입니다. 우리는 올바른 메시지 발신을 통해 북한이 비확산체제에 대한 도전을 지속하는 한 ‘국제사회 對 북한’의 구도만 심화된다는 점을 깨닫게 해줘야 합니다. 만약 우리가 회의를 마무리 지으며 올바른 대북 메시지를 발신하지 못한다면, 자칫 북한의 잘못된 행동을 국제사회가 용인하는 듯한 인상을 주게 될 것으로, 이는 용납할 수 없는 결과일 것입니다.


대표단 여러분,

함상욱 의장은 MTCR의 여러 다른 도전과제들에 대해서도 논의를 촉진하고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가령 무형기술이전(ITT) 문제는 30년 전에는 예측하지 못했지만 이제는 현재진행형의 위협이 되었습니다. 전자통신은 24시간 전 세계로 발신이 가능하고,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통한 거래도 폭증했습니다. 3D 프린터는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조금 비싼 장난감이 되었습니다. 세계화로 인해 높은 기술적 전문성을 가진 다수의 사람들은 국경을 자유롭게 넘어 왕래하며 정보를 교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세상에서 MTCR이 적실성 있는 체제로 남아 있기 위해서는 부단한 노력이 필요할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MTCR은 수출통제에 있어 행위자가 점점 다양해지는 것에도 적응해 나가야 할 것입니다. 민감품목의 공급국 및 수요국, 그 안의 기업들 뿐만 아니라, 환적‧경유국, 운송업자, 학계 등 다양한 행위자들이 새로이 등장했습니다. 때때로 이러한 행위자들은 수출통제의 가장 약한 고리가 될 수 있는바, MTCR은 적극적인 아웃리치 등을 통해 국제사회 다양한 행위자들의 인식을 제고해 나가야 할 것입니다.


올해 우리 정부는 수출통제체제 역사상 전례없이 NSG와 MTCR 양 체제의 의장국을 동시에 수임하는 영광을 누리게 되었습니다. 저는 우리나라가 동시에 두 체제의 의장국을 수임하게 된 것이 우리나라의 비확산 체제 강화 노력에 대한 국제사회의 신뢰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며, 그런 만큼 막중한 책임감도 느끼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책임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모든 MTCR 회원국의 공동의 노력이 긴요합니다. 우리에게는 미사일 비확산분야의 국제적 표준인 MTCR의 지침과 통제목록을 제정하고 수호하는 임무가 있습니다. 우리의 특권에 부수되는 책임은 미사일 확산에 대처하기 위한 국제적 노력을 선도하고, 국제 비확산 체제를 수호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1년간 의장국으로서 여러분들과 함께 일할 날들을 기대합니다. 금번 총회가 성공적이고 생산적인 총회가 되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