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국가상징
  2. 어린이·청소년
  3. RSS
  4. ENGLISH

외교부

1,2차관

제1차관, 2021 서울아프리카대화(Seoul Dialogue on Africa) 환영사 (12.10)

부서명
아프리카2과
작성자
아프리카2과
작성일
2021-12-31
조회수
1062

Welcoming Remarks by H.E. Choi Jong Kun

1st Vice Minister of Foreign Affairs

On the Occasion of the Fourth Seoul Dialogue on Africa


Your Excellency Ban Ki-moon, 

8th UN Secretary-General,

The Honorable Shin Hyun-Young, 

Secretary-General of the National Assembly Africa's New Era Forum,

Your Excellency Carlos Boungou,

Dean of the African Group of Ambassadors,

Ambassador Lyeo Woon-ki, 

President of the Korea-Africa Foundation,


Ladies and Gentlemen,


The warmest of welcomes to all of you. 

I am so delighted that you are here - whether online or offline - at the Fourth Seoul Dialogue on Africa. My sincere thanks go to Ambassador Lyeo and his team for their wonderful preparations for this meaningful event. 


Also, I would like to take this opportunity to recognize the presence of Secretary-General Ban Ki-moon. He is here to support our partnership with Africa. We are so proud that he is here with us.

Today’s topic is ‘Rethinking Solidarity: Korea-Africa Partnership in the Interconnectivity Era’. 


COVID-19 and the climate crisis are chilling reminder to us (of) how deeply interconnected we are - and how important it is to work in solidarity and cooperation.


When the pandemic erupted, Africa combatted the pandemic collectively under the coordination of Africa CDC. As soon as the Omicron variant emerged, South Africa was very quick to detect it with its advanced genome sequencing. Thanks to South Africa’s early report, the entire world has saved enormous time in responding to the new variant. I would like to pay our respect to the Nation of South Africa and its great people.

African countries are working in solidarity not only in the response to COVID-19, but also in the fight against climate change. 


Heads of states across Africa rolled out the Africa Adaptation Initiative six years ago, to scale up the response to climate change on the continent. The AU also initiated the Great Green Wall project to grow a 7,800 km-long natural forest spanning Africa.


We are also witnessing with great respect Africa working hand in hand to protect its democracy. 

ECOWAS (The Economic Community of West African States) intervened in a timely manner with condemnations and sanctions when militaries took over civilian governments in western Africa, and IGAD(Intergovernmental Authority on Development) engaged in the mediation in Ethiopia and South Sudan.


In short, Africa is actively responding to the global crises. It has proved itself a major player. And this means that it is truly vital to join hands with Africa.

 

Korea, with its own unique experience of achieving an economic and democratic transition in just one generation, is indeed very keen to forge ties of partnership with Africa – a partnership grounded in equality, a partnership which is sustainable.

In this spirit, I would like to invite your attention to three areas in which I believe we can continue to deepen our bonds of cooperation, our ties of collaboration.


First, Korea hopes to forge a partnership for co-prosperity with Africa in the fields of health, climate change, and peace and security. 


At the G7, the Korean government pledged $200 million to COVAX AMC. We did so in recognition to ensure equitable access to vaccines. Korea will also be delivering additional vaccines to Africa in close coordination with the Africa CDC and UNICEF.  


Korea, as a global vaccine hub, will gladly play a leading role to increase the supply of COVID-19 vaccines. Korea is manufacturing and supplying four different COVID-19 vaccines. The first Korean COVID-19 vaccine is scheduled to be on the market before the first half of next year. 

  

We will also engage with Africa in responding to the climate crisis. Our shared endeavors with Africa in moving towards a low-carbon economy, will focus on the development of renewable energy by increasing Green New Deal ODA. And we also signed a Korea-Africa energy investment framework agreement with the African Development Bank last June, under which we will provide 600 million dollars over a period of five years. 


Korea fully supports Africa playing a leading role in building sustainable peace and stability on the African continent. In addition to providing UN peacekeeping troops, we will provide a medical training centre for peace operations for the AU Peace and Security activities.


Second, Korea wishes to build an economic partnership with Africa, which is mutually beneficial and future oriented.


The recent global supply chain disruption speaks to a very simple fact that Africa will become a more important geo-economic player. 


Africa possesses approximately a third of the world's natural resources, especially crucial raw materials for electric vehicles and rechargeable batteries. Natural resources processing in Africa can contribute to supply chain diversification over the medium to longer term. Korea recognizes Africa’s increasing presence in the global value chain and is ready to work with Africa.


We are also keen to support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African Continental Free Trade Area (AfCFTA) particularly in the areas of tax administration and customs.


We hope to introduce the UNI-PASS – an electronic Customs Clearance System, which is currently adopted by five African states – to more African countries. We will also introduce the FTA-Pass, an origin-of-goods management system which will be a useful tool in Africa.


Lastly, we wish to forge a people-oriented Partnership with Africa.

This year, despite the pandemic, the high-level exchanges with Africa thrived. Since June this year, there have been 15 visits to African countries by our deputy ministers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 including my trips to Senegal, Nigeria, and Morocco – and Korea has received six high-level delegations from Africa. 


Let us maintain this momentum. We hope to hold the 5th Korea-Africa Forum, which unfortunately had to be delayed, at the earliest possible juncture next year.


Young people should not be excluded from people to people exchanges. They should be the drivers of the exchanges. Africa is the continent of young people – with 70% of Sub-Saharan Africa under the age of 30, they are the key for the continent’s growth. 


We will expand the government scholarship and vocational training for African students. As of last year, about 2,600 students from African countries have come to Korea to conduct various studies. Over the next five years, I hope to see the number increase at least twofold. As a professor myself, I hope to see more African students in my classes in the future.


Distinguished Guests, 


As we share our thoughts today, I hope that from this dialogue we will gain a renewed sense of connectedness between Africa and Korea. I trust that this will serve as a source of inspiration in our future journey together. Thank you so much for your kind attention.  /The END/


--------------------------------------------[비공식 국문 번역본]--------------------------------------------


 제4차 서울아프리카대화 환영사 

2021. 12. 9.(목) 아중동국 아프리카2과



반기문 제8대 유엔 사무총장님,

신현영 국회 아프리카새시대포럼 사무총장님,

카를로스 붕구 주한아프리카외교단장님,

여운기 아프리카재단 이사장님,

그리고 내외 귀빈 여러분,


참석하신 모든 분들께 따뜻한 환영의 인사를 드립니다.

온·오프라인으로 제4차 서울아프리카대화에 

많은 분들이 참석해주셔서 매우 기쁩니다.

또한 이러한 뜻깊은 행사를 훌륭하게 준비해주신

여운기 이사장님과 재단 관계자여러분들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더불어 반기문 전 사무총장님께서 참석해주신데 대해

이 자리를 빌어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반 총장님은 한-아프리카 파트너십을 지원해주시고자

참석해주셨습니다. 

금일 반 총장님과 함께 이 자리에 서게 되어 매우 기쁩니다.


금일 행사의 주제는 

‘상호 연결의 시대, 한-아프리카 파트너십을 위한 연대의 재조명’입니다.

코로나19 및 기후위기는 우리가 얼마나 깊게 상호 연결되어 있는지 

또 연대와 협력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닫게 된 계기가 되었습니다.


코로나19 발발이후, 아프리카는 Africa CDC 주도하에 

팬데믹 사태를 공동으로 대응해왔습니다. 

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가 발견되자마자 

남아공은 선진화된 전장유전체분석(genome sequencing)을 통해 

재빠르게 대처하였습니다. 

남아공의 조기 보고 덕분에 

전세계는 새로운 변이바이러스 대응에 필요한 

엄청난 시간을 벌 수 있었습니다. 

저는 남아공과 그 국민들에게 우리 모두의 존경을 표합니다.


아프리카 국가들은 코로나19 뿐만아니라 

기후변화에도 연대하여 대응하고 있습니다.


아프리카 국가들의 정상들은 

6년전 아프리카 적응 이니셔티브(Africa Adaptation Initiative)를 발표하고, 

기후변화 대응을 아프리카 대륙차원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아프리카연합(AU) 또한 녹색장성사업(Great Green Wall project)을 통해 

아프리카 전역에 7,800km 길이의 천연숲(natural forest) 조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아프리카는 또한 민주주의 보호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점을 

높이 평가하고 싶습니다. 

서아프리카경제공동체(ECOWAS)는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민주정권을 전복하려는 군부세력에 대해 

비난과 제재를 가하면서 시의적절한 대응을 하였으며, 

동아프리카정부간개발기구(IGAD)는 에티오피아와 남수단 사태에 

중재역할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요컨대 아프리카는 글로벌 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있습니다. 

이는 아프리카 스스로가 주요 행위자임을 증명하고 있는 셈입니다. 

또한 아프리카와 연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한국은 한 세대만에 경제적·민주적 전환을 이룩한 경험을 가진 나라로서, 

아프리카와의 파트너십 강화를 매우 중시하고 있습니다. 

한-아프리카간 파트너십은 평등에 기반하며, 

지속가능한 연대를 추구합니다.


이런 점에서 저는 한-아프리카간 협력과 연대를 긴밀화할 수 있는 

3가지 분야를 제안하고자 합니다.


첫째, 한국은 공공보건, 기후변화, 평화·안보 분야에서 

아프리카와의 공동 번영을 추구하고자 합니다.


G7 회의에서 한국정부는 COVAX AMC에 200만불 공여를 약속하였습니다. 

이는 백신에 대한 공평한 접근이 중요하다는 인식하에 추진하였습니다. 

한국은 또한 Africa CDC 및 유니세프를 통해 

아프리카에 추가적인 백신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한국은 글로벌 백신 허브로서 

코로나19 백신 공급 확대에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입니다. 

한국은 4가지 종류의 코로나19 백신을 제조·공급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 한국 제조의 코로나19 백신은 

내년 상반기중에 시장에 공급될 예정입니다.


한국은 아프리카와 연대하여 기후위기에 대처할 것입니다. 

저탄소경제를 위한 한-아프리카간 협력은 

녹색뉴딜 개발협력 확대를 통해 

신재생 에너지 개발로 이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한국은 지난 6월 아프리카개발은행(AfDB)와 

한-아프리카 에너지 투자 프레임워크 협정에 서명하고, 

이에 따라 향후 5년간 600만불 규모를 지원할 예정입니다.


한국은 아프리카대륙의 지속가능한 평화와 안정 정착에 

아프리카가 주도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UN 평화유지군 파견을 통해 

AU 평화·안보 활동을 위한 의료훈련센터도 지원할 예정입니다.


둘째, 한국은 아프리카와의 경제적 파트너십 구축을 통해 

상호 호혜적이고 미래지향적인 관계를 추구하고자 합니다.


최근 글로벌 공급망 붕괴는 

아프리카가 지리경제적으로 더욱 중요한 행위자가 될 것임을 

부각시켜주었습니다.


아프리카는 세계 천연자원의 약 1/3정도를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전기자동차 및 충전배터리에 핵심 희소자원이 집중되어 있습니다. 

아프리카가 보유한 천연자원은 

중장기적으로 공급망 다변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한국은 글로벌 가치사슬에서 아프리카의 중요성을 평가하며, 

아프리카와 적극 협력할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한국은 아프리카대륙자유무역지대(AfCFTA)의 성공적 출범을 

적극 지원하고자 하며, 

특히 조세 및 관세 분야에서 협력할 예정입니다.


한국은 우리의 전자통관시스템(UNIPASS)을 

더 많은 아프리카 국가들에 도입하고자 합니다. 

또한 아프리카에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는 

원산지관리시스템(FTA-Pass)를 도입하고자 합니다.


마지막으로, 한국은 사람중심의 파트너십을 추구하고자 합니다.


금년에는 코로나19 사태에도 불구하고 

아프리카와 고위급교류가 활발하였습니다. 

금년 6월을 시작으로 한국 외교부 차관 포함, 세네갈, 나이지리아, 모로코 등 15개의 아프리카 국가 방문이 있었습니다. 

또한 아프리카에서도 6명의 고위급 정부대표가 방한하였습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제5차 한-아프리카포럼을 개최하고자 하였으나, 

안타깝게도 연기되어 내년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추진하고자 합니다.


청년층 또한 인적교류에서 빼놓을 수 없을 것입니다. 

청년층 교류는 인적교류의 추동력이 되어줄 것입니다. 

아프리카는 젊은 대륙으로서, 

사하라사막 이남 아프리카 국가의 70% 인구가 30세 이하이며, 

이들은 아프리카 대륙 성장의 동력이 될 것입니다.


한국은 아프리카 학생 대상 정부초청 장학제도 및 직업교육을 

확대해 나갈 것입니다. 

지난해까지 약 2,600명의 아프리카 학생들이 한국을 방문하여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향후 5년간 이같은 방한 아프리카 학생들의 수를 

2배까지 확대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존경하는 내외 귀빈 여러분,


금일 행사를 통해 우리는 서로의 생각을 공유하면서 

한-아프리카간 연대를 재정립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번 행사가 한-아프리카의 미래 여정을 위한 

영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믿습니다. 


경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