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국가상징
  2. 어린이·청소년
  3. RSS
  4. ENGLISH

외교부

1,2차관

제2차관, 한-UN ESCAP 아태지역 개발재원 고위급 정책대화 환영사

부서명
작성자
작성일
2016-03-30
조회수
3149

Welcoming Remarks
by H.E. Cho Tae-yul
Vice Minister of Foreign Affairs
at the First High-Level Follow-up Dialogue
on Financing for Development
in Asia and the Pacific

March 30, 2016

Dr. Yoo Il-ho, Deputy Prime Minister and Minister of Strategy and Finance,
Dr. Shamshad Akhtar, Executive Secretary of UN ESCAP,
Distinguished Guests,
Ladies and Gentlemen,

Last year in Addis Ababa, New York and Paris,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dopted a series of historic documents to protect our planet and human dignity. They are the Addis Ababa Action Agenda,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Paris Agreement, respectively.

Now is the time for us to translate these historic agreements into our collective actions for a sustainable future. At this critical juncture, I find it very timely and meaningful for Korea to co-host with UN ESCAP this “High-Level Follow-up Dialogue on Financing for Development in Asia and the Pacific.”

I would like, first of all, to extend my warm welcome to all of you and express my gratitude to Executive Secretary Akhtar for taking the initiative for jointly organizing this special event with Korea.

This conference is aimed at consolidating the collective will and reinforcing the solidarity of the Asia-Pacific region in implementing the Addis Ababa Action Agenda that was adopted last July, which in turn will provide a new momentum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Asia-Pacific is the growth engine of the global economy where financing and investment have been constantly on the rise and the capital market has been rapidly growing. However, the region is also witnessing a development gap between the middle-income and least developed countries. It is also a region with great potential to expand development finance as well as high demand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nclusive growth.

Today, I would like to share with you some of my thoughts on several issues that I believe are important for financing for development in the Asia-Pacific region.

First, I cannot overemphasize the importance of tax revenues.

Among the development finance tools, taxation is a fiscal means that generates revenues in a most direct and reliable manner, and can secure the long-term and stable supply of revenues. But many countries in the Asia-Pacific have not been able to fully realize their potential due to their weak institutional foundation, inefficient tax administration, limited human capacity, and low tax compliance.
Moreover, with the increase of cross-border capital movement, the challenges of tax evasion and illicit financial flows are growing and deepening in the region. In 2013, illicit financial flows from developing countries in Asia amounted to 482 billion US dollars, accounting for 40% of the global illicit financial flows and representing a faster growth than in any other region. As a result, the ratio of tax revenue per GDP in the Asia-Pacific region stands at only 13%, a ratio even lower than 16% in Africa, not to mention 20% in Western Europe.

Winston Churchill once said, “For a nation to try to tax itself into prosperity is like a man standing in a bucket and trying to lift himself up by the handle.” His remarks illustrate how difficult a task it is to increase tax revenues.

Korea also has the experience of encountering difficulties in tax revenue expansion due to our weak tax administration at the early stages of economic development, and overcoming these challenges later. Prior to establishing the National Tax Service in 1965, Korea’s tax revenues stood at a mere 155 million US dollars. But in a period of only one year, the tax revenue increased by 66% to 258 million US dollars. This is a case in point showing the importance of an effective tax administration system to secure revenues.

Based on such experiences in tax administration development, Korea has been providing assistance to developing countries in modernizing their tax administration system and building capacity. We will continue to take part in the Addis Tax Initiative and faithfully implement our pledge to double our technical assistance to developing countries on domestic tax revenue mobilization by 2020. We will also play our due part in supporting their efforts to build a financial information system which aims to detect illicit financial flows and broaden the base of tax revenues.

Second,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and public-private partnership have an important role to play in developing capital markets and expanding institutional investment in the area of infrastructure.

ODA can play a catalytic role in attracting private financing for investment and building infrastructure by means of improving the investment environment and reducing risk in developing countries.

It was for this reason that recently Korea Stock Exchange helped to open a securities market in Cambodia through a joint investment with the Cambodian Government. And KOICA, the development cooperation arm of the Korean Government, is working on a grant aid program to work out a plan to further develop the Cambodian securities market.

As for large-scale investment in infrastructure, I believe that with the launch of the Asia Infrastructure Investment Bank (AIIB) last January, a number of new opportunities will be created to build multi-dimensional partnerships that will promote greater institutional investment in infrastructure in Asia.

However, in order for such public-private partnerships to contribute to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developing countries, it is necessary to find public-private cooperation models equipped with an effective risk management system that can maximize development impact, while at the same time providing business incentives that can generate profits.
To this end, the Korean Government is attempting, through KOICA projects, to pursue impact investment that takes into consideration both returns and social impact. We are also actively conducting outreach activities to build innovative partnerships with businesses, academia and civil society.

Third, easier access to financial services is critica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core principle of the 2030 Agenda is inclusiveness that leaves no one behind, and increasing access to financial services holds important implications for inclusive growth.

With growing interest in enhancing the financial access of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SMEs) in developing countries, Korea has been assisting SMEs in Uganda through an impact investment project, a project contributing to the special fund designed to improve their financial access.

Going forward, we plan to contribute to realizing financial inclusiveness by implementing projects to build payment and settlement systems that could help populations in developing countries have greater access to basic financial services, such as opening accounts and automatic transfers.

We will also play a more visible role in improving the financial access of vulnerable groups in developing countries. To this end, we plan to promote financial literacy of girls, one of the most vulnerable groups in developing countries, by teaching them accounting.

This plan is an important part of the ‘Better Life for Girls’ initiative that was announced by President Park Geun-hye at the UN Development Summit in New York last September.

Fourth, such efforts to promote inclusiveness need to be expanded into the area of the environment.

In particular, natural disasters caused by climate change, such as floods and droughts, can make huge populations fall into vulnerable groups, which, in turn, could undermine the very foundation of inclusive growth.

It is in this regard that development finance should contribute to reducing environmental vulnerability, while climate finance should create synergy with development finance to contribute to achieving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The Paris Agreement adopted last December carries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created the platform for increasing climate finance. It reaffirmed the commitments by developed countries to provide climate financing, while recognizing the possibility of financial contributions by other countries.

To contribute to mobilizing climate finance, the Korean Government signed an agreement pledging up to 100 million US dollars to the Global Climate Fund (GCF) -- the largest multilateral fund specialized in climate change response by developing countries. And we will continue to work closely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o that GCF can establish itself as the core operational mechanism of climate finance.

Fifth, south-south and triangular cooperation should be further strengthened.

Today, south-south cooperation is making greater contributions to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Addis Ababa Action Agenda also encourages promoting development effectiveness through south-south cooperation.

As I mentioned earlier, the Asia-Pacific is a region with a wide development gap as it consists of a broad spectrum of countries ranging from the least developed, middle-income, emerging economies, to developed countries. Paradoxically, this implies that the Asia-Pacific is a region with great potential for south-south and triangular cooperation.

Taking this into consideration, the Korean Government incorporated south-south and trilateral cooperation into our development cooperation initiatives as their core elements for attaining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We also took initiatives to support developing countries’ efforts to achieve the SDGs especially in the areas of girls’ health and education, rural development, response to infectious diseases, and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In implementing such initiatives, we will focus on capacity building of focal countries at the initial stage and expand our cooperation to neighboring countries through south-south cooperation.

Finally, development effectiveness should be our priority goal in the global partnership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nhancing the impact of development cooperation is as much important as increasing development finance and implementing the 2030 Agenda. All development actors should make concerted efforts to maximize development impact by respecting the principles of development effectiveness, -- ownership of aid recipient countries, results orientation, inclusive partnership, transparency and mutual accountability.

While the 2030 Agenda presents us with the way forward for what needs to be done in which areas, the principles of development effectiveness provide us with guidance on how to achieve the SDGs, which in turn will contribute to ensuring that the Addis Ababa Action Agenda is implemented effectively.

In this regard, I look forward to the success of the Second Ministerial Meeting of the Global Partnership for Effective Development Cooperation (GPEDC) to be held in Kenya this December. Korea, as the host of the 4th High Level Forum on Aid Effectiveness in 2011, is committed to make its contribution to advancing the discussions on development effectiveness by continuing to host the annual Busan Global Partnership Forum.

Distinguished Guests,

The strength of the 2030 Agenda and the Addis Ababa Action Agenda lies in their robust follow-up mechanisms.

Today’s meeting provides an evidence that such a follow-up mechanism is functioning effectively, and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demonstrate that the Asia-Pacific region is lead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development finance agenda. This meeting will also contribute to the ECOSOC Financing for Development Forum to be held in New York in April, on the occasion of which the Korean Government and UN ESCAP will co-host a high-level side event to present the outcome of this meeting. All the countries represented here today are invited to participate in this side event. Korea, as the chair of ECOSOC this year, will share its due responsibility for the success of the Forum.

In closing, Ladies and Gentlemen, I am confident that this conference will add another important milestone in the annals of regional as well as global partnerships for development cooperatio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ill greatly benefit from your collective insights and wisdom in our common endeavor to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nclusive growth that leaves no one behind. I wish you a great success in your intellectual exercise.

Thank you. /END/

-------------------------(국문본)-------------------------

유일호 경제부총리님,
샴사드 악타 UN ESCAP 사무총장님,
내외 귀빈 여러분,

지난해 우리는 아디스아바바, 뉴욕, 파리에서 인간의 존엄과 지구를 보호하기 위한 일련의 역사적인 문서를 채택하였습니다. 아디스아바바 행동의제, 2030 지속가능개발의제, 그리고 파리기후변화협정이 바로 그 문서들입니다.

이제 우리는 이 역사적 합의들을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인류 공동의 행동으로 전환시켜야 할 시점에 서 있습니다. 이런 중요한 시기에 외교부와 UN ESCAP이「아태지역 개발재원 고위급 정책대화」를 공동 개최하게 된 것을 시의적절하고 의미 있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먼저 오늘 이 자리에 참석해 주신 여러분들을 진심으로 환영하며, 한국 정부와 공동으로 이번 정책대화를 개최하기 위해 애써 주신 샴사드 악타 사무총장께 감사드립니다.

이번 정책대화는 지난 7월 채택된「아디스아바바 행동의제」 이행을 위한 아태지역의 의지를 결집하고 연대를 강화함으로써 2030 개발의제 이행에 새로운 추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아태지역은 글로벌 경제 성장의 견인차로서 재정과 투자가 확대되고 자본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반면, 중소득국과 최빈국간 개발격차를 보이고 있는 지역입니다. 또한 아태지역은 개발재원을 확대할 수 있는 잠재력이 크고, 동시에 지속가능개발과 포용적 성장을 위한 수요가 높은 지역이기도 합니다.

저는 오늘 아태지역에서의 개발재원 조성을 위해 제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몇 가지 문제에 대해 여러분들과 의견을 나누고자 합니다.

먼저, 세수의 중요성을 강조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조세는 개발재원 중 그 효과가 가장 직접적이고, 신뢰할 수 있으며, 장기적이고 안정적으로 세수를 확보할 수 있는 재정수단입니다. 그러나 아태지역의 많은 국가들에서는 취약한 제도적 기반, 비효율적인 조세 행정, 열악한 인적 역량, 낮은 납세 순응도로 인해 세수 잠재력이 충분히 발현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초국경적 자본이동이 증가함에 따라 역내 조세회피 및 불법자금유출 문제도 심화되고 있습니다. 아시아지역 개도국에서 유출되는 불법자금은 2013년에 4820억불에 이르렀고, 이는 세계 불법자금의 40%를 차지할 뿐만 아니라 다른 어느 지역보다도 빠른 증가세를 보여 주는 것입니다.

그 결과, 아태지역의 GDP 대비 조세수입은 13%에 불과하며, 이는 서유럽의 20%는 물론 아프리카의 16%보다도 낮은 수준입니다.

윈스턴 처칠은‘세금을 통해 경제성장을 꾀하는 것은 양동이 안에 서서 손잡이로 자신을 들어 올리려고 하는 것과 같다’고 한바 있습니다. 조세확대는 그만큼 어려운 과제입니다.

한국 또한 경제 발전 초기에 열악한 조세행정으로 세수를 확대하는 데 있어 어려움을 겪었지만 이를 극복한 경험이 있습니다. 1965년 국세청이 설립되기 전 세수는 1억5천5백만불에 불과하였으나, 이후 불과 1년 만에 66% 증가한 2억5천8백만불까지 확대되었습니다. 이는 효과적인 조세행정제도 구축이 세수 확보에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입니다.

한국은 이러한 조세행정 발전 경험을 토대로 개도국의 조세 행정제도 현대화, 조세 역량강화를 꾸준히 지원하여 왔습니다. 앞으로도 한국은 Addis Tax Initiative에 동참하여, 국내조세동원을 위한 對개도국 기술협력을 2020년까지 2배 확대하기로 한 공약을 충실히 이행해 나갈 것입니다.

이와 더불어, 한국은 금융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여 불법자금을 파악하고 세수 기반을 확대하기 위한 개도국 정부의 노력을 지원하는 데에도 필요한 역할을 해 나갈 것입니다.

둘째, 자본시장 발전과 인프라 분야 기관투자 확대를 위해서는 ODA와 민관파트너십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ODA는 개도국 투자환경을 개선하고 위험을 감소시킴으로써 투자활동과 인프라 건설을 위한 민간재원이 유입되도록 촉진하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최근 한국 증권거래소는 캄보디아 정부와의 합작투자를 통해 증권시장 개장을 지원하였으며, 한국의 원조기관인 KOICA는 무상원조 사업으로 캄보디아의 증권시장 발전계획 수립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대규모 인프라 투자에 있어서는 지난 1월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의 출범으로 아시아 인프라 분야에 대한 기관투자 확대를 촉진할 다각적 파트너십을 구축할 새로운 기회가 많이 창출될 것으로 믿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민관 파트너십이 개도국 지속가능개발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수익성을 창출할 수 있는 비즈니스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한편, 개발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적 위험 관리 체계를 갖춘 민관협력 사업 모델을 발굴해 나갈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위해 한국 정부는 KOICA 사업을 통해 수익성과 사회적 임팩트를 동시에 고려하는 임팩트 투자를 시도하고 있으며, 기업, 학계, 시민사회와의 혁신적 파트너십 구축을 위해 아웃리치 활동을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셋째, 지속가능개발을 위해서는 금융 서비스에 대한 보다 쉬운 접근이 중요합니다.

지속가능개발목표는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포용성을 핵심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금융 서비스 접근성 확대는 포용적 성장을 위해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한국은 현재 개도국 중소기업의 금융 접근성 확대에 관심을 갖고, 우간다 중소기업 금융 접근성 개선 사업을 통해 임팩트 투자 펀드에 기여하여 중소기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한국 정부는 지급결제 시스템 구축 사업을 시행하여 계좌 개설, 자동 이체 등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에 대한 개도국 국민의 접근성이 확대되도록 지원함으로써 금융 포용성 실현에 기여해 나갈 것입니다.

더 나아가, 개도국 취약계층의 금융 접근성 강화에도 더욱 가시적인 역할을 하고자 합니다. 한국은 이를 위해 작년 9월 유엔 개발정상회의에서 박근혜 대통령께서 발표하신「소녀들의 보다 나은 삶」구상을 통해 개도국에서 가장 취약한 계층인 소녀들에게 회계 교육 등을 제공하여 금융이해도(financial literacy)를 제고해 나갈 계획입니다.

넷째, 이러한 포용성 제고 노력은 환경 분야로 확대되어야 합니다.

특히, 홍수, 가뭄 등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는 수많은 사람들을 취약계층으로 전락시켜 포용적 성장기반 자체를 훼손할 수 있습니다. 이런 관점에서 개발재원은 환경적 취약성을 감소시키는 데 기여해야 하며, 기후재원은 개발재원과 시너지를 발휘하여 지속가능개발목표 달성에 기여해야 합니다.

작년 12월 채택된 파리 협정은 선진국들의 기후재원 제공 의무를 재확인하는 한편, 여타 국가들의 재원 제공 가능성을 인정함으로써, 기후재원 확대를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 것입니다.

한국 정부는 기후재원 조성에 기여하기 위해 개도국 기후변화 대응에 특화된 최대 다자기금인 GCF에 최대 1억불을 공여하는 약정을 체결하였으며, 동 기금이 기후재원의 핵심 운영 메커니즘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국제사회와 함께 계속 노력해 나가고자 합니다.

다섯째, 남남협력과 삼각협력이 증대되어야 합니다.

오늘날 남남협력은 지속가능개발에 있어 더 큰 기여를 하고 있으며,「아디스아바바 행동의제」도 남남협력을 통한 개발 효과성 제고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아태지역은 최빈국, 중소득국, 신흥경제국, 선진국 등 다양한 스펙트럼의 국가들이 존재하는, 개발격차가 큰 지역입니다. 역설적이게도, 이는 아태지역이 남남협력과 삼각협력의 잠재력이 매우 큰 지역이라는 점을 시사하는 것입니다.

이 점을 감안, 한국 정부는 지속가능개발목표(SDGs) 달성을 위한 개발협력 구상에 남남협력과 삼각협력을 핵심 요소로 포함시키고, 특히 △소녀 보건·교육, △농촌개발, △감염병 대응, △과학기술혁신 분야에서 개도국 SDGs 달성을 지원하기 위한 개발협력 구상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이러한 개발협력 구상들을 이행함에 있어, 초기에는 거점협력국의 역량강화를 지원하고, 점차 남남협력을 통해 주변국으로 성과를 확산시켜 나갈 계획입니다.

마지막으로, 개발효과성은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에 있어 우리의 우선적 목표가 되어야 합니다.

개발협력의 효과를 제고하는 것은 개발재원 확대와 2030 개발의제 이행만큼 중요합니다. 모든 개발주체는 수원국의 주인의식, 결과중심성, 포용적 파트너십, 투명성과 상호 책무성이라는 개발효과성 원칙을 존중함으로써 개발영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하여야 합니다.

2030 개발의제가 우리에게 어떤 분야에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성을 제공하고 있다면, 개발효과성 원칙은 SDGs를 어떻게 달성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지침을 제공합니다. 이는 결국「아디스아바바 행동의제」가 효과적으로 이행되도록 담보하는 데에도 기여할 것입니다.

이러한 차원에서, 올해 12월 케냐에서 개최되는 제2차 개발효과성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GPEDC) 각료급회의의 성공을 기원합니다. 한국은 2011년 제4차 부산 세계개발원조총회 개최국으로서 부산 글로벌파트너십 연례포럼을 지속 개최하여 개발효과성 논의 진전에 기여해 나갈 것입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2030 개발의제와 아디스아바바 행동의제의 장점은 견실한 후속조치 메커니즘에 있습니다.

오늘 회의는 이러한 후속조치 메커니즘이 효과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임과 동시에, 아태지역이 개발재원 의제 이행을 선도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오늘 회의는 오는 4월 뉴욕에서 개최될 ECOSOC 개발재원포럼에도 기여할 것이며, 한국 정부와 UN ESCAP은 동 포럼 계기에 고위급 부대행사를 공동개최하여 오늘 회의의 결과를 소개할 것입니다. 오늘 이 자리에 대표가 참석하신 모든 국가들을 부대행사에 초청하고자 하며, 한국은 ECOSOC 의장국으로서 동 포럼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응분의 기여를 해 나갈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저는 오늘 회의가 개발협력을 위한 글로벌 및 지역 파트너십 구축에 있어 또 하나의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여러분들의 집단 지혜와 통찰력이 지속가능개발과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포용적 성장을 달성하기 위한 우리 공동의 노력에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오늘 회의의 성공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