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국가상징
  2. 어린이·청소년
  3. RSS
  4. ENGLISH

외교부

1,2차관

제2차관, OECD 가입 20주년 기념 세미나 개회사

부서명
작성자
작성일
2016-06-08
조회수
3873

Opening Remarks
by H.E. Cho Tae-yul,
Vice Minister of Foreign Affairs,
at the Seminar to Commemorate the 20th Anniversary
of the Republic of Korea’s Accession to the OECD

June 8, 2016
Secretary-General Angel Gurria,
Ambassador Yoon Jong-won,
Distinguished Guests,
Ladies and Gentlemen,

I would like to welcome all of you to this special event to celebrate the 20th anniversary of Korea’s accession to the OECD. Let me first thank Secretary-General Gurria for taking the time out of his busy schedule to be here with us today. My special thanks also go to the OECD Secretariat and the Permanent Delegation of Korea to the OECD for the excellent preparations for this memorable event.


As I understand it, Secretary-General Gurria started his third term on June 1st, and I would like to take this opportunity to offer my heartfelt congratulations to him. Mr. Secretary-General, I am confident that, with your outstanding leadership, you will be able to transform the OECD into a more efficient and dynamic organization in the next five years.

Distinguished Guests,

Twenty years ago when Korea joined the OECD, the Cold War had just ended heralding a new international order and the wave of globalization was sweeping over the world in the aftermath of the creation of the WTO.

Riding this wave of global change, Korea belatedly became a member of the United Nations in 1991, and the OECD five years later.

Korea’s accession to the United Nations implied that the war-stricken divided nation victimized by the Cold War became a full-fledged member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hile its accession to the OECD -- the rich men’s club -- signified that it emerged as a major player cum stakeholder of the global community.

Having experienced thirty years of high growth, Korea in the 1990s was in pursuit of a development strategy seeking a stable and sustainable growth. Therefore, transition into an advanced knowledge-based economy was not an option, but a must for Korea at that time, and joining the OECD was an important component of this development strategy.

On the other hand, the OECD in the 1990s was seeking to realize the spirit of the 1960 Paris Convention and opened its door to countries that were not yet fully qualified to be members of the “rich men’s club.” Several eastern European countries, Mexico and Korea became members of the OECD during this period.

Not surprisingly, skepticism was raised on whether these freshmen would be able to comply with the OECD standards and commitments. Korea, in particular, had to suffer from scathing comments that “Korea had popped the champagne too early” as it was hit by the Asian financial crisis that took place immediately after its joining the OECD.

However, the path that Korea’s economy has treaded on since then eloquently testifies that it was a right decision for Korea to join the OECD.

Since its accession to the OECD, Korea has not only accepted the OECD policy recommendations in a range of areas, including foreign investment attraction, deregulation and anti-corruption, but also has been continuously pursuing domestic reform by rapidly learning the policy experiences of other OECD member countries through such means as the peer review.
As a result, foreign direct investment inflow into Korea has significantly increased, while its GDP and per capita GDP grew two-fold during the past two decades. And progress was made not only in terms of quantity but also quality, as illustrated by the reduction of working hours and improved labor productivity.

In its “Better Policies Series: Korea” published last October, the OECD gave high marks on Korea’s accomplishments on the ground that Korea achieved convergence in living standards towards the Organization’s top performers.



Advances have been made not only in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but also in governance. Korea has been actively participating in global anti-corruption efforts by, among others, enacting the Act on Preventing Bribery of Foreign Public Officials in International Business Transactions in accordance with the OECD Anti-Bribery Convention. As a result, on the corruption perception index of Transparency International, Korea ranked 37th among 168 countries in 2015, an improvement from 48th among 90 countries in 2000.Such an improvement is far from impressive, but it is obvious that Korea’s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system is becoming increasingly transparent.


Korea has achieved remarkable progress in development cooperation, too. Compared with 20 years ago, Korea’s ODA increased ten times. In 2010, as the host of the G20 summit, Korea also took the lead in adopting the G20 Development Agenda and a year later, contributed to shifting the focus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from aid effectiveness to development effectiveness, by hosting the 4th High Level Forum on Aid Effectiveness in Busan. And last year, Korea was assessed to be a “solid development provider” in the DAC mid-term review.

Canadian novelist Lucy Montgomery once said, “The body grows slowly and steadily but the soul grows by leaps and bounds.” By joining the OECD, Korea’s aspiration for reform, openness and transparency grew by leaps and bounds, which in turn provided a solid foundation on which Korea’s economy has been able to achieve a stable and sustainable growth. Throughout this process, the OECD Secretariat and member countries have always been trustworthy and reliable supporters for Korea and I would like to express my deep appreciation for their full support.

Distinguished Guests,

Korea was not merely a beneficiary from its membership in the OECD. Its accession to the OECD contributed not only to expanding the Organization’s reach, but also to enhancing its role and contribution, especially by showcasing a new development model that the OECD member countries had not been able to provide previously.

More than anything else, a seed of hope was planted in developing countries that even the poorest of them that survive on foreign aid can become advanced donor countries if they work hard enough. This is a contribution that only Korea can make and no other country can emulate. Erik Solheim, the outgoing Chair of the OECD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DAC), used to say, “Remember the miracle number 369,” emphasizing that Korea’s per capita GDP increased 369 times since the early 1950s when the Korean War was over.

Indeed, Korea has been making sincere efforts to meet the level of trust and expectation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Not stopping at merely accepting the advanced norms of the OECD, Korea has been playing a greater role in setting the OECD policy direction and agenda building upon its unique development experience and international standing. Development cooperation, environment and science and technology are cases in point.

On development cooperation, as the host of the 4th High Level Forum on Aid Effectiveness in 2011 that I mentioned earlier, Korea played a leading role in opening a new chapter in the history of development cooperation by engaging all the development stakeholders on equal footing. Korea has also been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follow-up platform -- the Global Partnership for Effective Development Cooperation.

In addition, through joint research with the OECD Development Centre on Saemaul Undong that contributed to poverty reduction and development of the Korean rural areas in the 1970s, Korea devised a policy tool that could be shared with our development cooperation partners. This is only one example of many cooperation projects that make good use of Korea’s unique experience of transforming itself from an aid recipient into a full-fledged donor country.
In the field of environment, under Korea’s leadership, the Declaration on Green Growth was adopted at the 2009 OECD Ministerial Council Meeting. Since then, discussions on climate change and green growth have been activated in all OECD committees.

In the area of science and technology, by hosting the OECD Ministerial Meeting for Science and Technology in Daejeon last year, Korea contributed to the in-depth discussions on how to employ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as a leading IT country, Korea has also been proactively participating in a wide range of discussions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nd the digital economy.
With all these achievements during the past two decades, however, many tasks still remain unfinished. As the OECD Going for Growth report pointed out, the low productivity in the services sector, aging population and low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are the main challenges that Korea needs to tackle and overcome.

In particular, the aging population issue that advanced countries commonly face is progressing most rapidly in Korea, and therefore we are in the situation of having to urgently come up with appropriate measures. We also need to contemplate on solutions for the rising income inequality, youth unemployment, and climate change.

In order to efficiently respond to these challenges and thereby achieve inclusive and sustainable growth, it is apparent that we need a new development strategy. The OECD echoed this by pointing out that being faced with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challenges, Korea should re-engineer its development strategy.

Well aware of this need, the Park Geun-hye government has been striving to restructure Korea’s economy and seek new drivers of growth over the past three years. The three-year plan for economic innovation that centers around the creative economy, which aims to create new jobs and markets by linking individuals’ creative ideas with science and technology and promoting the fusion of different industries and culture, as well as the four major reform initiatives in public, labor, education and financial sectors are part of such efforts.

As I understand it, the OECD is also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policies that can enhance the potential productivity. The 2016 Ministerial Council Meeting, successfully concluded last week, focused on the very topic of enhancing productivity for inclusive growth in response to the twin challenges of slowing productivity growth and widening inequality of the global economy.

To adapt to the era of what we call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which productivity is expected to grow rapidly due to the introduction of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net of Things and 3D printer, we plan to take measures to maximize productivity gains of the digital economy, while ensuring that they are widely shared for the society as a whole.

To this end, we are going to actively promote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expand the pool of experts, data infrastructure, industrial ecosystems and fusion industries by investing one trillion won for the next five years.

I have no doubt that the OECD will continue to be on our side as a trustworthy guide and reliable partner in all our moves towards economic and social reforms and bold ventures into new areas.

Distinguished Guests,

Over the next 20 years, the world will change faster and more extensively than the past 20 years. Korea is committed to working closely with the OECD so that it can function more effectively as an organization that adequately analyzes the trends in each area and presents policy alternatives.

We will increase our contribution especially in the areas that the OECD is pursuing with priority, such as the digital economy and innovation. We also hope to share with other OECD member countries our experience in implementing the policy of the creative economy that seeks sustainable growth through innovation.

Last year, global leaders adopted two historic documents, namely, the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Paris Agreement on climate change. Korea will actively take part in the OECD’s efforts to contribute to attaining the seventeen SDGs by 2030 and faithfully implementing the Paris Agreement with a focus on such areas as education, health, science and technology and rural development where Korea has better knowledge and experience of overcoming the constraints of developing countries in their quest for prosperity.

Distinguished Guests,

Working together to create global public goods during the past two decades, Korea has built a relationship of deep trust with the OECD. Today’s seminar is an excellent opportunity to not only reaffirm such trust, but to renew our commitment to a new start for the next twenty years and pull our wisdom on what Korea and the OECD should and could do to seek “Better Policies for Better Lives”. I wish you all the best in your intellectual exercise to this end today.

Thank you. /END/

-------------------------<국문번역>-------------------------

OECD 가입 20주년 기념 세미나 개회사

2016. 6. 8.

앙헬 구리아 사무총장님,
윤종원 대사님,
내외 귀빈 여러분,

한국의 OECD 가입 2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한 행사에 참석해 주신 여러분 모두를 환영합니다. 특히, 바쁜 일정에도 불구하고 시간을 내어 이 자리에 참석해 주신 구리아 사무총장님과 오늘 이 의미 있는 행사를 훌륭하게 준비해 주신 OECD 사무국과 주OECD한국대표부에 특별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구리아 사무총장께서는 지난 6.1 세번째 임기를 시작하신 것으로 압니다. 이 기회를 빌어 각별한 축하의 말씀을 드립니다. 구리아 사무총장께서 탁월한 리더십으로 향후 5년간 OECD를 더욱 효율적이고 역동적인 기구로 바꾸어 놓으실 것을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한국이 OECD에 가입한 20년 전은 냉전의 종식으로 새로운 국제질서가 태동되고 세계무역기구(WTO)의 출범과 함께 세계화의 물결이 전 세계를 휩쓸던 시기였습니다.

한국은 이러한 세계적 변화의 파도를 타고 1991년에 늦깎이 회원국으로 UN에 가입하였고, 5년 후에는 OECD에도 가입하였습니다.

한국의 UN 가입은 냉전에 희생되어 전쟁의 상흔을 입은 분단국으로 남아 있던 나라가 국제사회의 성숙한 일원이 되었음을 의미하며, ‘부자들의 클럽’인 OECD에 가입한 것은 한국이 국제사회에서 주요 행위자이자 이해관계자로 부상하였음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한국은 30여년간의 고도성장기를 거쳐 1990년대에는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지향하는 개발전략을 추구하고 있었습니다. 따라서, 한국에게 선진형 지식기반 경제로의 전환은 선택이 아닌 필수였고, OECD 가입은 그 개발전략의 중요한 일환이었습니다.

한편, OECD는 1990년대에 1960년 파리협정의 정신을 구현하고자 했고, 아직 ‘부자 클럽’ 회원국이 될 자격이 충분하다고 볼 수 없는 나라들에게도 문호를 개방하였습니다. 몇몇 동구권 국가, 멕시코, 그리고 한국이 이 시기에 OECD 회원국이 되었습니다.

이들 신입생들이 OECD의 기준과 공약을 제대로 준수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이 있었던 것은 당연한 일이었습니다. 특히 한국은 OECD에 가입하자마자 발생한 아시아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한국이 샴페인을 너무 일찍 터뜨렸다’는 따가운 질책도 감수해야 했습니다.
그러나 이후 한국 경제가 걸어온 궤적은 당시 한국의 OECD 가입이 올바른 결정이었음을 웅변적으로 말해 주고 있습니다.

OECD 가입 이후 한국은 외국인투자 유치, 규제완화, 부패방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OECD의 정책권고를 수용하고, 동료 평가(peer review) 등을 통해 다른 OECD 회원국들의 정책 경험을 빠르게 습득하면서 국내 개혁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습니다.

그 결과 한국의 외국인직접투자 유입액이 크게 증가하였고, 지난 20년간 GDP 및 1인당 GDP는 두 배 이상 증가하였습니다. 또한, 양적인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근무시간 축소 및 노동효율성 향상 등에서 보듯이 질적인 측면에서도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OECD는 지난해 10월 발간한 ‘더 좋은 정책 시리즈(Better Policies Series)’ 한국편에서 한국의 생활수준이 OECD 최상위권 국가들에 상당히 근접하는 정도로 발전해 왔다면서 한국의 성취를 높이 평가한바 있습니다.

경제·사회 분야뿐만 아니라, 거버넌스에서도 진전이 있었습니다. 한국은 OECD 뇌물방지협약에 따라 ‘국제상거래에 있어서 외국공무원에 대한 뇌물방지법’을 제정하는 등 국제적 반부패 노력에 적극 동참해 왔습니다. 그 결과 국제투명성기구의 부패인식지수에서 2000년에는 90개국 중 48위를 차지하였으나, 2015년에는 168개국 중 37위를 차지하였습니다. 이러한 개선이 아직 충분하지는 않지만, 한국의 정치·경제·사회 시스템이 점점 더 투명해지고 있다는 것은 분명합니다.

개발협력 분야에서도 한국은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한국의 ODA는 20년 전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하였습니다. 2010년에는 G20 정상회의 주최국으로서 G20 개발어젠다 채택을 주도하였고, 한 해 뒤에는 제4차 세계개발원조총회를 주최하여 국제개발협력 논의의 초점을 원조효과성에서 개발효과성으로 전환하는 데 기여하기도 하였습니다. 그리고 지난해 DAC 동료평가 중간검토에서 한국은 ‘견실한 공여국’이라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캐나다의 소설가 루시 몽고메리는 “인간의 육체는 서서히 성장하지만 영혼은 갑작스럽게 비약한다.”고 말했습니다. OECD 가입을 통해 개혁, 개방 및 투명성에 대한 한국의 열망은 비약적으로 증대되었고, 이는 한국 경제가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달성할 수 있는 견실한 기반을 제공해 주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OECD 사무국과 회원국들은 한국에게 언제나 든든하고 믿음직한 후원자가 되어 주었습니다. OECD 사무국과 회원국들의 전폭적인 지원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한국은 OECD 회원국으로서 수혜자로만 머물지는 않았습니다. 한국의 가입은 OECD의 외연을 넓히는 데에 기여하였을 뿐만 아니라, 특히 이전에 OECD 회원국들이 제공할 수 없었던 새로운 발전 모델을 보여줌으로써 OECD의 역할과 기여를 확대하는 데에도 기여하였습니다.

무엇보다도, 원조에 의지하여 살아야 하는 가난한 나라도 열심히 노력하면 선진 공여국이 될 수 있다는 희망을 개도국에 심어 주었습니다. 이는 다른 어떤 나라도 흉내낼 수 없는, 한국만이 할 수 있는 기여입니다. 퇴임하는 Erik Solheim OECD DAC 의장은 한국의 1인당 GDP가 한국전쟁 직후인 1950년대 초반 이후 369배 증가했다는 점을 강조하며 “기적의 숫자 369를 기억하라.”고 이야기하곤 합니다.

실로 한국은 이러한 국제사회의 신뢰와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적극 노력해 왔습니다. OECD의 선진 규범을 수용하는 데 그치지 않고, 한국만의 독특한 개발 경험과 국제적 위상을 바탕으로 OECD의 정책방향과 의제를 설정하는 데 있어서도 역할을 확대해 오고 있습니다. 개발협력, 환경 및 과학기술 분야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개발협력 분야의 경우, 앞서 언급한 2011년 제4차 세계개발원조총회 주최국으로서 한국은 모든 개발 분야 이해관계자들을 동등한 자격으로 관여하도록 함으로써 개발협력 역사의 새로운 장을 여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습니다. 또한, 한국은 그 후속 플랫폼으로 출범한 ‘부산 글로벌 파트너쉽’ 활동에도 적극 참여해 왔습니다.

아울러, 1970년대 한국 농촌지역의 빈곤 감소와 발전에 기여한 새마을운동에 대한 OECD 개발센터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한국은 개발협력 파트너들과 공유할 수 있는 정책적 도구를 만들어 내기도 하였습니다. 이는 수원국에서 본격적인 공여국으로 탈바꿈한 한국의 독특한 경험을 잘 활용한 많은 협력사업의 한 가지 예일 뿐입니다.

환경 분야에서는 한국의 리더쉽 하에 2009년 OECD 각료이사회에서 ‘녹색성장 선언문’이 채택되었습니다. 그 후 모든 OECD 위원회에서 기후변화와 녹색성장에 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과학기술 분야에서도 한국은 지난해 대전에서 OECD 과학기술장관회의를 개최하여 지속가능개발을 위한 과학기술혁신 활용방안에 관한 심도 있는 논의에 기여하였고, IT 선도국가로서 정보통신 및 디지털경제 관련 논의에도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지난 20년간 많은 것을 이룩해 왔으나, 아직 가야할 길이 먼 것도 사실입니다. OECD 구조개혁 보고서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서비스 부문의 낮은 생산성, 인구고령화, 미흡한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은 한국이 극복해야 할 주요 과제들입니다.

특히, 선진국들이 공동으로 직면하고 있는 인구고령화는 한국에서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적절한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또한 소득불평등 확대, 청년실업 및 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해법도 고민해야 합니다.


이러한 도전과제에 효율적으로 대응하여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발전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은 명백합니다. OECD도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인 도전에 직면한 한국이 발전전략을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면서 이러한 견해를 뒷받침하였습니다.

박근혜 정부는 이러한 필요성을 잘 인식하고, 지난 3년간 한국경제의 체질을 개선하고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 왔습니다. 개개인의 창의적 아이디어를 과학기술에 접목하고, 산업과 산업, 산업과 문화의 융합을 촉진하여 새로운 일자리와 시장을 만드는 창조경제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경제혁신 3개년 계획과 공공・노동・교육・금융의 4대 부문 구조개혁은 그러한 노력의 일환입니다.

OECD에서도 잠재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압니다. 지난주 성공적으로 마무리된 2016년도 각료이사회는 생산성 증대의 둔화와 세계경제 불평등의 확대라는 이중의 도전에 대응한 포용적인 성장을 위한 생산성 향상이라는 주제를 중점적으로 다루었습니다.

한국은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3D 프린터 등 기술의 등장으로 생산성이 비약적으로 증대되는 이른바 제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적응하기 위하여, 디지털경제의 생산성 증대를 극대화하여 사회 전체적으로 폭넓게 공유되도록 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 나가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향후 5년간 1조원을 투자하여 연구개발을 적극 진흥하고, 전문인력풀, 데이터 인프라, 산업 생태계 및 융합산업을 확충해 나갈 것입니다.

한국이 경제사회 개혁을 추진하고 새로운 분야에 과감하게 도전하는 모든 과정에서 OECD가 든든한 길잡이이자 믿음직한 파트너로 계속 한국과 함께 할 것을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향후 20년간 세계는 이전 20년보다 더욱 빠르고 더욱 폭넓게 변화해 갈 것입니다. 한국은 OECD가 각 분야에서의 변화를 적절히 분석하고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 기구로서 더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OECD와 긴밀하게 협력해 나갈 것입니다.

특히 한국은 OECD가 우선순위를 부여하며 추진하고 있는 디지털경제 및 혁신 등의 분야에서 기여를 강화해 나갈 것입니다. 아울러, 혁신을 통해 지속가능한 성장을 추구하는 창조경제 정책 이행 경험을 다른 OECD 회원국들과 공유하고자 합니다.

작년에 세계의 지도자들은 2030 지속가능개발 의제와 파리기후협약이라는 두 가지 역사적인 문서를 채택하였습니다. 한국은 2030년까지 17개의 지속가능개발목표(SDGs)를 달성하고 파리기후협약을 충실히 이행하는 데 기여하기 위한 OECD의 노력에 적극 동참할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개도국들이 번영을 추구하는 데 있어 맞닥뜨리는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누구보다 나은 지식과 경험을 가지고 있는 교육, 보건, 과학기술 및 농촌개발 등의 분야에 중점을 두고 지원할 것입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한국은 지난 20년간 글로벌 공공재를 창출하기 위해 OECD와 함께 노력하는 과정에서 깊은 신뢰 관계를 맺어 왔습니다. 오늘 세미나는 이러한 신뢰를 재확인함은 물론, 향후 20년간 한국과 OECD간 협력의 새 출발을 다짐하고, ‘더 나은 삶을 위한 더 나은 정책’을 모색하기 위해 한국과 OECD가 무엇을 해야 하고 또 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지혜를 모으는 훌륭한 기회입니다. 오늘 좋은 토론이 되기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