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국가상징
  2. 어린이·청소년
  3. RSS
  4. ENGLISH

외교부

1,2차관

제2차관, 서울인권회의 오찬사

부서명
작성자
작성일
2015-11-11
조회수
3433

Luncheon Remarks
by H.E. Cho Tae-yul
Vice Minister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
at the Seoul Dialogue for Human Rights

November 11, 2015
Chosun Hotel, Seoul

H.E. Jose Ramos-Horta, former President of East Timor,
Professor Lee Jung-Hoon, Director of Yonsei Center for Human Liberty,
Honorable Michael Kirby, former Chair of the Commission of Inquiry (COI) on Human Rights in the DPRK and other former members of the Commission,
Ambassador Robert King, U.S. Special Envoy for North Korean Human Rights issues,
Distinguished Guests,
Ladies and Gentlemen,

It is indeed my great pleasure to address the Seoul Dialogue for Human Rights and say a few words of welcome to all the distinguished participants. I would like to express my deep appreciation to the Yonsei Center for Human Liberty,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Christian Solidarity Worldwide (CSW), and the International Coalition to Stop Crimes against Humanity in North Korea (ICNK) for jointly organizing this meaningful event.

This year marks the 70th anniversary of Korea’s independence. Regrettably, however, the current reality of the Korean Peninsula is a far cry from the homeland that our parents and grandparents envisioned with tears of overwhelming joy seventy years ago. Amid the ravages of a war after the division of the country, the families that separated across the North and the South have been living a long life of agony, not even knowing whether their loved ones are alive or dead.

The story of an old lady who has been waiting sixty-five years for her husband, who went out to the battlefield only seven months after their wedding, with her son who has never seen his father; the story of a ninety-eight-year-old man who brought flower shoes to his daughters, who are now in their eighties, to keep his promise when they separated. These are not scenes from a movie or a novel. They are real stories that happened during the 20th reunion of separated families of North and South Korea that took place this past October. What is even more heartbreaking is that more than 3,000 Koreans having applied for a meeting with their separated families have been passing away every year, with no chance to confirm whether their beloved ones are dead or not.

The tragedy of the Korean Peninsula is not confined to the separated families. People living in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re leading difficult lives, being deprived of even their most fundamental human rights such as the freedom of expression. According to the testimonies of North Korean refugees and many other sources of information including human rights watchers, countless tortures, executions and arbitrary detentions are committed, and people disappear overnight to political prison camps without due judicial process. Moreover, innocent citizens are subject to all kinds of discrimination for the mere reasons of their ‘songbun’, an inhumane social classification system.

And even as I speak, a number of North Koreans are risking their lives to cross the border in search of freedom and happiness. A girl, who escaped North Korea when she was thirteen years old, testified, “I made another dangerous escape across the Gobi Desert into Mongolia. It was a freezing cold black night, and we couldn’t use our compass. So we followed the stars north, walking and crawling to freedom.” Another woman, who defected from North Korea when she was twenty one years old to get out of famine, recounted that she fell into human trafficking twice and suffered from forced labor for nine years, and after wandering around in a frozen mountain under minus ten degrees Celsius was able to finally put her foot on the land of freedom.

It is against such heart-wrenching stories that the spirit of the Magna Carta -- the theme of today’s meeting -- holds greater meaning for us today. “No freeman shall be taken, imprisoned, or in any other way destroyed, except by the lawful judgment of his peers.” This passage from the Magna Carta refers to the importance of placing limits on the power of rulers and of the rule of law, but it is also a solemn declaration for human rights and human dignity.

At all critical times in world history, the Magna Carta has been a beacon of hope, enlightening about the rule of law, human rights and the values of democracy. The Magna Carta not only contributed to the declaration of England’s Petition of Rights of 1628 and Bill of Rights of 1689, which became the cornerstone for the development of representative and constitutional democracy, but the spirit also lives on in the U.S. 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1774, as well as Korea’s 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1919 and its constitution.

As such, over the last eight centuries, the Magna Carta has been serving as a compass for democracy in all corners of the globe. Regrettably, however, North Korea lost its way in this long march towards democracy. The North Star that lightened the way forward for the girl who escaped from North Korea I mentioned earlier is no other than the Magna Carta that is engraved in the hearts of all our North Korean compatriots -- the light of hope for freedom and human rights.

Thanks to the bravery of the North Korean refugees such as this young girl who courageously broke the imposed silence to give testimony about their painful pas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ok a meaningful step forward last year in resolving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problems. The case in point is the report of the UN Commission of Inquiry (COI) on Human Rights in the DPRK which was released in February 2014.

The Commission of Inquiry established by the UN Human Rights Council conducted an objective and independent study and concluded that there were “systematic, widespread and gross human rights violations” in North Korea and many of them constituted “crimes against humanity”. The Commission then sent out a strong message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calling for fundamental reforms in North Korea. It was also thanks to the COI report tha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ent further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accountability, going beyond simply voicing concerns and condemnations on human rights situation in North Korea.

Following the announcement of the COI repor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moved resolutely and swiftly. The Human Rights Council and the General Assembly of the United Nations adopted resolutions reflecting the strong recommendations of the Commission, following which the UN Security Council took an exceptional measure to adopt the human rights situation in the DPRK as its formal agenda and decided to remain seized of the issue. And, last June, the office of the OHCHR was established in Seoul as its field-based structure tasked with following up on the work of the Commission.

North Korea, which previously had not taken heed to any of the condemnations and criticisms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vehemently reacted to the Commission’s report and the ensuing action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North Korea took the unprecedented steps of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Human Rights Council and other human rights mechanisms in the UN, and,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the Foreign Minister of the DPRK attended the Human Rights Council last March. Most recently, North Korea extended an invitation to Stavros Lambrinidis, the EU Special Representative for Human Rights, and Prince Zeid, the UN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 to visit North Korea.

Although we have yet to witness substantial change in human rights situation in North Korea, it is noteworthy that North Korea has started to react to the moves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order for these reactions by North Korea since the release of the COI report to lead to the substantial improvement of the human rights situation in the Nor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hould continuously be engaged with a united front.

It is for this reason that, taking this opportunity, I would like to express my deepest gratitude to the former Chair of the Commission of Inquiry Michael Kirby, UN Special Rapporteur on the Situation of Human Rights in the DPRK Marzuki Darusman and former member of the Commission Sonja Biserko, not only for their contribution to disclosing the whole truth of the human rights situation in North Korea, but also for their continued efforts to resolve this issue even after completing their mandate as members of the Commission. My special thanks also go to Ambassador King for his contribution towards the resolution of North Korean human rights issues.

Distinguished Guests,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akes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issue as one of the core agenda for our North Korean policy, together with the North’s nuclear issue. We recognize it to be an issue that should be definitely addressed in the path towards reunification. And, with this perspective, we have been exerting our efforts to improve the human rights situation in North Korea by way of providing humanitarian assistance.

It is in this context that, in her speech in Dresden last year, President Park Geun-hye proposed the Agenda for Humanity as an initiative for the peaceful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Our humanitarian assistance will be focused on North Korean children as one in three of them is chronically malnourished. They should grow up to become healthy partners in ushering in the future of a unified Korea.

The Agenda for Integration, an agenda for integrating the peoples of the two Koreas, is no less important than the Agenda for Humanity. As national division continues for a prolonged period of time, even the language, culture and lifestyle of the two Koreas have become increasingly different from each other. Under the circumstances, for genuine communication and integ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not only dialogue between the two authorities, but also people-to-people contacts as well as exchanges and cooperation in the private sector need to be further expanded.

Moreover, we must further strengthen the institutional support for and enhance the people’s interest in North Korean refugees who have risked their lives in pursuit of freedom so that they can lead a happy life as a dignified member of our society. This will provide a precious opportunity for us to experience a unified Korea in advance.

Distinguished Guests,

It is indeed quite symbolic and meaningful that this conference on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issue is taking place on the 800th anniversary of the declaration of the Magna Carta.

I sincerely hope that with the wisdom, insights and the passion of the distinguished participants present here today, the day will come soon when the pains of our compatriots in the North and the sorrow of the separated families are dissolved once and for all. That day will be the very “Magna Carta Moment” of the Korean Peninsula.

Thank you. /END/

 

------------------------------------(비공식 국문 번역본)------------------------------------


서울인권회의 오찬사

라모스 오르따 前동티모르 대통령님,
이정훈 연세휴먼리버티 센터 소장님,
마이클 커비 위원장님을 비롯한 前북한인권조사위원회 위원 여러분,
로버트 킹 미국 북한인권 특사님,
그리고 이 자리에 참석하신 내외 귀빈 여러분,

서울인권회의에 참석하여 이렇게 여러분들께 환영의 말씀을 드릴 기회를 갖게 된 것을 대단히 기쁘게 생각합니다. 소중한 자리를 마련해주신 연세휴먼리버티센터, 국가인권위원회와 CSW(Christian Solidarity Worldwide), 그리고 북한반인도범죄철폐 국제연대의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올해는 광복 7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오늘 한반도의 현실은 70년전 우리 부모, 조부모님들이 감격의 눈물을 흘리며 꿈꾸었던 조국의 모습과는 거리가 멉니다. 국토 분단에 이은 전쟁의 참화 속에서 남과 북으로 흩어진 가족들이 서로의 생사조차 확인하지 못한 채 인고의 긴 세월을 살아가고 있습니다.

아버지의 얼굴도 모르는 아들을 기르며 결혼한 지 7개월 만에 전쟁터로 나간 남편을 65년간 홀로 기다린 할머니의 이야기, 80대가 되어버린 딸들에게 헤어질 당시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꽃신을 준비해온 98세 노인의 이야기는 영화나 소설속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지난 10월말 제20차 남북한 이산가족 상봉에서 있었던 현실속의 이야기입니다. 더욱 안타까운 것은 매년 3천여 명의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들이 사랑하는 가족의 생사 여부조차 확인하지 못한 채 세상을 떠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한반도의 비극은 이산가족의 아픔에서 끝나지 않습니다. 한반도 북녘 땅의 주민들은 표현의 자유와 같은 가장 기본적인 인권마저 박탈당한 채 힘든 삶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탈북민들의 증언과 인권감시단체 등을 포함한 수많은 정보출처에 의하면, 고문과 처형, 자의적 구금이 수없이 자행되고, 적절한 사법절차도 없이 하루 아침에 주민들이 정치범 수용소로 사라져 버리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무고한 시민들이 ‘성분’이라는 반인륜적인 사회계급제도 때문에 온갖 차별을 받으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 이 시각에도 자유와 행복을 찾아 목숨을 걸고 국경선을 넘는 탈북민들이 있습니다. 13살에 탈북한 한 소녀는 “중국에서 2년간 도피생활을 하다가 고비사막을 넘었고, 춥고 어두운 사막에서 나침반도 없이 북극성만을 좇으며 자유를 찾아 걷고 기어 왔다”고 증언하였습니다. 또 한 여성은 21살에 굶주림을 벗어나기 위해 탈북했다가 9년 동안 두 번이나 인신매매되고 강제노역에 시달렸으며, 영하 10도의 동토 산악지대를 헤맨 끝에 겨우 자유의 땅을 밟을 수 있었다고 증언하였습니다.

이처럼 가슴아픈 사연들 앞에서 오늘 이 회의의 주제인 마그나 카르타(Magna Carta)의 정신은 더욱 각별한 의미로 다가옵니다. “자유민은 동등한 신분을 가진 자에 의한 합법적 재판 혹은 국법에 의하지 않고서는 체포, 감금, 또는 어떠한 방식의 고통도 받지 않는다.”마그나 카르타의 이 구절은 폭정을 일삼던 군주의 권한을 제한하고 법에 의한 통치의 중요성을 말한 것이지만, 인권과 인간존엄에 대한 엄숙한 선언이기도 합니다.

마그나 카르타는 세계사의 중대한 고비마다 법치와 인권, 민주주의의 가치를 밝히는 등불의 역할을 하였습니다. 대의 민주제와 입헌민주주의의 초석이 된 영국의 1628년 권리청원과 1689년 권리장전의 선포에 기여했을 뿐만 아니라, 미국의 1774년 독립선언문과 우리나라의 1919년 3․1 독립선언서 및 헌법에도 그 정신이 살아 숨쉬고 있습니다.

이처럼 마그나 카르타는 지난 800년간 지구촌 곳곳에서 민주주의의 나침반 역할을 해왔지만, 불행하게도 북한은 민주주의를 향한 이 대장정의 대오에서 길을 잃고 말았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탈북 소녀에게 길을 밝혀 주었던 북극성은 바로 북녘 땅 우리 동포 모두의 가슴에 새겨진 마그나 카르타, 즉 자유와 인권을 상징하는 희망의 불빛에 다름 아닙니다.

이 소녀처럼 강요된 침묵을 깨고 고통스러운 과거를 당당히 증언한 탈북민들의 용기에 힘입어 지난해 국제사회는 북한 인권 문제 해결을 위한 의미있는 발걸음을 내디뎠습니다. 작년 2월에 발표된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의 보고서가 그것입니다.

유엔인권이사회가 설치한 COI는 객관적이고 독립적인 조사를 통해 북한 내에서 ‘중대하고 조직적이며 광범위한 인권유린’이 자행되고 있으며 그중 많은 경우가 ‘인도에 반하는 죄’에 해당한다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그리고 북한의 근본적인 변혁을 촉구하는 강력한 메시지를 국제사회에 발신하였습니다. 국제사회가 북한인권 상황을 단순히 우려하고 규탄하는 것을 넘어 책임규명의 중요성을 강조하게 된 것도 COI 보고서의 공로입니다.

COI 보고서 발표 이후 국제사회는 단호하고 신속하게 움직였습니다. 유엔인권이사회와 총회는 COI의 강력한 권고사항을 반영한 결의를 채택하였고, 이어 유엔 안보리도 이례적으로 북한인권 문제를 의제로 채택하고 향후 계속 논의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그리고 지난 6월에는 COI의 후속조치를 담당할 현장기반 조직으로서 북한인권사무소가 이곳 서울에 설치되었습니다.

그동안 국제사회의 어떤 규탄과 비판에도 귀기울이지 않던 북한이 COI 보고서와 그에 따른 국제사회의 움직임에는 민감한 반응을 보였습니다. 유엔인권이사회와 유엔의 여타 인권 메커니즘에 적극 참여한데 이어, 지난 3월에는 인권이사회에 북한 외무상이 처음으로 참석하였고, 최근에는 EU의 Lambrinidis 인권특별대표와 OHCHR의 Zeid 인권최고대표를 방북 초청하는 등의 이례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습니다.

아직 실질적인 변화의 모습은 보이지 않고 있지만 적어도 북한이 국제사회의 움직임에 반응을 보이기 시작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한 일입니다. COI 보고서 발표 이후 북한의 이러한 움직임들이 북한 주민들의 실질적인 인권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국제사회가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힘을 모아야 할 것입니다.

바로 그러한 이유 때문에 저는 오늘 이 자리를 빌어 북한인권 상황의 총체적 진실 규명에 기여했을 뿐 아니라 조사위원으로서 임무를 완료한 후에도 여전히 북한인권 문제의 해결을 위해 진력하고 계신 Michael Kirby 前북한인권조사위원회 위원장을 비롯하여 Marzuki Darusman 특별보고관과 Sonja Biserko 前위원에게 다시 한 번 깊은 사의를 표하고자 합니다. 그리고, Robert King 특사께도 그동안 북한인권 문제 해결을 위해 기울여 오신 노고에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우리 정부는 북한 인권문제를 핵문제와 함께 대북정책의 핵심 아젠다로 삼고 있으며, 통일로 가는 과정에서 반드시 해결되어야 할 사안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식 하에, 특히 인도적 차원에서의 인권 상황 개선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박근혜 대통령께서 작년 드레스덴 연설에서 한반도 평화통일 구상의 하나로 남북한 주민들의 인도적 문제해결 방안(Agenda for Humanity)을 제안하신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입니다. 우리 정부의 인도적 지원은 세 명 중 한 명이 만성적인 영양부족 상태에 있는 북한 어린이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질 것입니다. 북한의 어린이들이 한반도의 통일 미래를 열어나갈 수 있기 위해서는 건강하게 성장해야하기 때문입니다.

북한의 인도적 문제 해결 못지않게 남북 주민간 동질성 회복도 중요한 사안입니다. 분단의 세월이 길어지면서 남북간 언어와 문화, 생활양식마저 갈수록 달라져가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남북한간 진정한 소통과 통합을 위해서는 남북 당국간 대화는 물론 인적교류와 민간 차원의 교류협력의 폭을 더욱 넓혀 나가야 합니다.

아울러, 자유를 찾아 사선을 넘어온 탈북민들이 우리 사회의 당당한 일원으로서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제도적 뒷받침과 국민적 관심을 더 늘려 나가야 합니다. 그것은 통일 한국을 앞당겨 체험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이기도 합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북한인권 문제에 관한 오늘 이 회의가 마그나 카르타 선언 800주년이 되는 해에 개최된다는 것은 매우 상징적이고 의미심장한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참석하신 여러분들의 지혜와 식견, 열정으로 북녘 땅 우리 동포의 아픔과 남북한 이산가족의 한을 녹여낼 수 있는 날이 하루빨리 오기를 진심으로 소망합니다. 그날이 바로 한반도의 ‘마그나 카르타 모멘트’가 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