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국가상징
  2. 어린이·청소년
  3. RSS
  4. ENGLISH

외교부

1,2차관

제2차관, '2015 기후변화협정' 국제 심포지움 축사

부서명
작성자
작성일
2015-11-23
조회수
3696

Congratulatory Remarks
by H.E. Cho Tae-yul,
Vice Minister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
at the International Symposium:
Issues on 2015 Climate Change Agreement

November 23, 2015
Press Center, Seoul

Dr. Yoo Young-suk, Co-President of the Climate Change Center,
Ambassador Shin Kak-soo, Director of the Center for International Law,
Professor Thomas Heller, Executive Director of the Climate Policy Initiative,
Distinguished Guests,
Ladies and Gentlemen,

I am pleased to be here with you today and say a few words of welcome to the distinguished participants at this international symposium on climate change agreement.

This event is taking place just a week before the Paris Climate Conference. As many people emphasized, the conference will be the last opportunity to establish a new climate regime. The failure in Copenhagen must not be repeated in Paris.

At this critical juncture, today’s symposium, co-hosted by the Center for International Law of the Korea National Diplomatic Academy and the Center for Climat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Law and Policy (Seoul International Law Academy) is very timely and relevant. After all, the outcome of the ongoing negotiations will eventually turn into an international legal instrument, which, in turn, will require in-depth research and study by the legal community on various legal questions that may arise during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process of implementation.

Distinguished Guests,

Back in 2011 in Durba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launched a negotiation process to establish a legally binding climate regime applicable to all parties under the UNFCCC by 2015.

After four years of tough negotiations, we now find the basic framework for a new climate regime almost complete.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engaging in the negotiations with the basic position that the new climate agreement, as an international legal instrument, should meet the following requirements.

First, in accordance with the basic principle of the 1992 UNFCCC, the new climate agreement should be drafted in such a way as to reflect the changing situation in which greater green house gases are emitted from developing countries. This means that not only developed, but developing countries as well should be subject to mitigation obligations. At the same time, developing countries should be able to receive support for finance, technology and capacity-building to live up to their mitigation and adaptation commitments.

Second, the agreement should address mitigation, adaptation and support measures in a balanced manner. Currently, developed countries are calling for strengthened mitigation actions, while developing countries are stressing the need for more adequate adaptation efforts and increased support measures. Although it may be difficult to achieve perfect parity due to the different traits of each element, political parity should be attributed so that none of the elements is neglected during the implementation process.

Third, the new agreement should be a legal instrument that focuses on the rules and procedure rather than impose on all parties mitigation obligations across the board. The Kyoto Protocol allocated mitigation targets and enforced implementation only to developed countries. It ultimately failed because many countries refused to join due to such strict obligations. In order not to repeat this failure, the new regime should introduce a rules-based process where parties submit and implement INDCs to be later subject to review, and, at the next stage, to be updated.

Fourth, given that the new climate regime will be a flexible regime in which parties submit and implement their nationally determined goals, a transparency mechanism with strengthened measurement, reporting and verification(MRV) process should be established to supplement the flexibility of the regime.

The draft agreement produced last October during the ADP (Ad Hoc Working Group on the Durban Platform for Enhanced Action) session in Bonn is largely in line with the aforementioned positions we have maintained so far. Unlike the Kyoto Protocol, the current draft text of over 30 pages obligates all parties to engage in mitigation and adaptation actions and provides for the process of submitting, implementing and verifying INDCs. In addition, the text stipulates specific provisions on mitigation, adaptation and support.

Nonetheless, there is still a wide divergence of positions on the specific details. The new agreement does not explicitly classify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but the question on determining the level of differentiated obligations for each of the elements according to the countries’ development level remains a difficult task for negotiations. How to design the INDCs process in order to induce the parties to set their mitigation targets higher also has yet to be decided. And the complaints of the developing countries over the insufficient support measures, including finance, are yet to be addressed.

Ultimately, it appears that a compromise will be reached along the lines of developed countries increasing their support measures, including finance, and developing countries accepting new mitigation obligations.

As political leaders and negotiators share the sense of urgency that this is the last opportunity, I am cautiously optimistic about the prospects of reaching an agreement in Paris.

Distinguished Guests,

During the last four years of negotiations, Korea, as a responsible middle-power, has been contributing to establishing a new climate regime by playing a bridging role betwee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In particular, as a member of the Environmental Integrity Group (EIG), Korea has been proposing middle ground positions on major outstanding issues in close consultations with EIG members that has taken place before every negotiating session. We have also contributed to moving the negotiation process forward by adopting a joint statement of MIKTA, a group of middle powers including Korea, on major issues related to the new climate regime--namely, the two Celsius degree goal, climate finance mobilization, and the importance of adaptation. Such our efforts helped to shape a new climate regime in which all countries, developed or developing, take part in mitigation.

In the meantime, Korea submitted its INDCs in a timely manner to contribute to the success of the Paris Conference, despite domestic difficulties. Korea’s 2030 mitigation target of reducing greenhouse gases by 37% from the BAU level is a very ambitious goal, given that our leeway for further mitigation is limited due to our globally competitive energy efficiency and high concentration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e 2030 target is an outcome of our utmost efforts to comply with the principle of ‘no-backsliding,’ one of the agreed principles for the submission of INDCs.

Moreover, outside the negotiating process, Korea has been actively contributing to creating an enabling environment that will have a direct impact on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a new climate regime.

On many occasions in the recent past, President Park Geun-hye emphasized that climate change is not a challenge but an opportunity, and urged all countries to take active climate actions. By stressing that combating climate change can be a new driver for economic growth rather than a burden, President Park has been leading the transition to a low-carbon climate-resilient economy.

In the area of climate finance, Korea has also been making substantive contributions. After hosting the GCF Secretariat in Songdo, Korea has been providing full support for the GCF so that it can emerge as the main operating mechanism for climate finance. Korea voluntarily pledged to contribute up to 100 million U.S. dollars, while playing a role to secure a global pledge of 10.2 billion U.S. dollars towards GCF. Recently, Korea has developed four project models for financial support to help developing countries apply for GCF project funding. A case in point is the Peruvian Project to supply electricity in the Amazon region by combining renewable energy generation and the energy storage system (ESS), which was approved as one of the eight projects by the Governing Board of the GCF.

The Global Green Growth Institute (GGGI), established under Korea’s leadership, is now evolving into a meaningful international organization that disseminates the vision and action pla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green economy all over the world. Once the new climate regime is established, there will be a high demand for technical assistance by developing countries to implement the new agreement and take climate actions. GGGI will then receive the limelight as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that provides technical assistance for developing countries.

Distinguished Guests,

The Paris Conference is not the final destination. It is a new starting point. The new climate regime is a process-oriented system that does not stop at the submission of one-time targets. It is a system in which the targets are implemented and continuously updated.

And after the Paris Conference, follow-up discussions on specific issues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Paris Agreement will be necessary, while various legal and technical issues are likely to be raised. Domestically, along with the ratification process, efforts will be underway to set up the policies and institutions for implementing the INDCs.

During this process, the continuous research and study by the legal community will be extremely meaningful. Climate change is an issue of today as well as tomorrow. It is an issue facing the humanity as a whole. I hope that today’s symposium will be the starting point for the legal community at home and abroad to actively contribute to addressing climate change from legal perspectives.

Thank you. /END/

------------------------(국문본)------------------------

‘2015 기후변화협정’ 국제 심포지움 축사

신각수 국제법센터 소장님,
유영숙 기후변화센터 공동대표님,
토마스 헬러 CPI 대표님,
그리고 내외 귀빈 여러분,

오늘 기후변화협정 국제 심포지움에 참석하여 환영의 말씀을 드리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합니다.

이 심포지움은 파리 기후변화총회를 일주일 남짓 앞두고 개최되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야기하듯이 이번 총회는 새로운 기후변화 대응 체제를 마련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입니다. 코펜하겐의 실패가 파리에서 되풀이 되는 일이 있어서는 결코 안 될 것입니다.

이런 중요한 시점에 국립외교원의 국제법센터와 서울 국제법연구원의 기후환경법정책센터가 공동으로 개최하는 오늘 심포지움은 매우 시의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진행 중인 협상이 결국은 국제법 문서로 완결되고, 그 후에도 국내외적 이행과정에서 제기될 다양한 법적 문제에 대한 법조계의 심도 있는 연구와 논의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내외 귀빈여러분,

국제사회는 2011년 더반에서 기후변화협약 하에서 모든 국가에 적용될 법적 구속력 있는 규범을 2015년까지 마련하기 위한 협상프로세스를 출범시킨 바 있습니다.

그 후 지난 4년간 힘든 협상 과정을 통해 신기후체제의 기본적 틀이 거의 마련되어 가고 있습니다. 그간 우리 정부는 신기후체제에 관한 새로운 합의문이 국제법 문서로서 다음과 같은 요건을 충족시켜야 한다는 기본 입장으로 협상에 임해왔습니다.

첫째, 신기후체제에 관한 합의문은 1992년 유엔기후변화협약의 원칙 하에서 개도국에서 온실가스가 더 많이 배출되는 변화된 상황을 반영할 수 있도록 성안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선진국뿐 아니라 개도국도 감축 행동의 의무를 부담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동시에 개도국들은 감축과 적응에 있어 재원, 기술, 역량배양에 관한 지원을 받을 수 있어야 합니다.

둘째, 합의문은 감축과 적응 그리고 지원조치들을 균형 있게 규정해야 합니다. 현재 선진국은 보다 강화된 감축 행동을, 개도국은 보다 충분한 적응 노력과 지원조치 확대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비록 각 요소의 상이한 특성으로 인해 완전한 동등성을 갖추지 못하더라도 이행과정에서 어느 요소도 등한시되지 않도록 정치적 동등성이 부여되어야 합니다.

셋째, 파리 합의문은 당사국들에게 일괄적으로 감축 의무를 부여하기보다 규칙과 절차 중심의 법률문서가 되어야 합니다. 기존의 교토의정서는 선진국에만 감축목표를 할당하고 이행을 강제하였으나, 엄격한 의무 부과로 여러 국가가 참여를 거부하여 결국 실패하였습니다. 이러한 실패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새로운 규범은 각국이 INDC를 제출하고 이행한 후 이를 검토하고, 다음 단계에서 보다 상향된 INDC를 제출하는 규칙 기반의 프로세스를 도입하여야 합니다.

넷째, 신기후체제는 각국이 스스로 결정한 목표를 제시하고 이행해 나가는 유연한 체제가 될 것이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측정, 보고, 검증(MRV)이 강화된 투명성 메커니즘이 수립되어야 합니다.

지난 10월 본(Bonn)에서 개최된 협상회의를 통해 마련된 합의문 초안은 대체로 우리가 그동안 주장해온 내용들을 담고 있습니다. 30 페이지가 넘는 현 초안은 과거의 교토의정서와는 달리 모든 국가에 감축과 적응 행동의 의무를 부과하고 있으며, INDC를 제출하고 이행하며 검증하는 프로세스를 담고 있습니다. 또한, 감축, 적응 및 지원에 대한 구체적 내용들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세부사항에 대해서는 많은 이견이 남아 있습니다. 선진국과 개도국을 명시적으로 재분류하지는 않고 있지만, 각 요소별로 국가별 발전 수준에 따라 어느 정도 차별화된 의무를 부과할 것인지에 관한 문제가 여전히 어려운 협상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INDC 프로세스에서 개별 국가의 감축목표 상향을 어떻게 유도해나갈 것인지도 아직 미지수입니다. 아울러, 재원을 포함한 지원 분야의 미진함에 대한 개도국들의 불만도 가시지 않고 있습니다.

결국 협상은 선진국이 재원을 포함한 지원조치를 확대하면서 개도국도 새로운 감축 의무를 부담하는 선에서 타협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파리 총회를 앞두고 정치지도자와 협상가들 사이에 이번이 마지막 기회라는 긴박감이 공유되어 있기 때문에 저는 파리에서의 협상타결 가능성에 대해 조심스럽게 낙관적 전망을 해봅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우리나라는 지난 4년여 간의 협상과정에서 책임 있는 중견국으로서 선진국과 개도국간 교량역할을 성실히 수행함으로써 신기후체제 도출에 기여해 왔습니다.

우리는 환경건전성그룹(EIG)의 일원으로 협상회의 때마다 긴밀히 사전 회의를 갖고 협상 전반에 걸쳐 주요 쟁점이슈에 대해 EIG 공동으로 중간자적 입장을 제시해 왔습니다. 아울러 중견국 그룹인 MIKTA와의 공조 하에 2도제한 목표, 기후재원 조성, 적응이슈의 중요성 등 신기후체제의 주요 이슈에 대한 공동성명을 채택하여 협상과정의 진전에 기여했습니다.

이러한 우리의 노력은 신기후체제가 선진국과 개도국 모두가 감축에 참여하는 방향으로 진전해 나가는데 기여하였습니다.

한편, 금번 협상의 주요 과정의 하나인 INDC 제출과 관련하여, 우리는 국내적으로 결코 쉽지 않은 작업이었으나 파리 총회의 성공을 위해 적기에 야심찬 INDC를 제출하였습니다. 우리의 2030년 감축목표 BAU 대비 37%는 우리나라가 세계적 수준의 에너지 효율과 높은 제조업 비중으로 인해 감축여력이 크지 않은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마련된 매우 야심찬 목표입니다. 2030년 목표는 INDC 제출 원칙으로 합의된‘진전원칙(no backsliding)’에 부합하도록 최대한 노력한 결과이기도 합니다.

나아가 우리는 협상장 밖에서도 신기후체제 수립과 이행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여건조성에 적극 기여하고 있습니다.

박 대통령께서는 최근 여러 계기에 기후변화는 위기가 아닌 기회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각국의 적극적인 기후행동을 촉구해오셨습니다. 그리고, 기후변화 대응이 부담이 아닌 경제성장의 새로운 동력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하며, 저탄소 기후탄력적 경제로의 전환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기후재원에 있어서도 우리는 매우 실질적인 기여를 해오고 있습니다. 송도에 GCF를 유치하여 기후재원의 핵심운영 메커니즘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고 있고, 최대 1억불의 재원을 자발적으로 공약하여 전세계적으로 GCF에 대한 102억불의 공여를 이끌어내기도 하였습니다. 최근 우리나라는 4개 사업 모델을 개발하여 개도국들의 GCF 사업신청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지난 11월 이사회가 8개 지원사업 중 하나로 승인한 페루의 ‘신재생에너지와 에너지저장장치를 결합한 아마존 지역 전력공급 사업’이 그 좋은 예입니다.

우리가 주도하여 발족시킨 GGGI는 이제 녹색경제 발전의 비전과 실천계획을 전 세계로 전파하는 의미 있는 국제기구로 성장해 가고 있습니다. 신기후체제가 수립되면 개도국들의 협약 이행과 기후 행동에 대한 많은 기술적 지원에 대한 수요가 발생하게 될 것입니다. 앞으로 GGGI는 개도국들에게 기술지원을 제공하는 국제기구로서 각광받게 될 것입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파리 총회는 종착역이 아닌 새로운 출발점입니다. 새로운 기후체제는 일회성 목표를 제시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를 이행하고 지속 강화함으로써 완성되는 프로세스 중심의 체제일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파리 총회 이후에는 파리 합의문을 이행하기 위한 구체 사항들에 대해 후속 논의와 협상이 필요하고, 다양한 법적, 기술적 이슈가 제기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내적으로도 비준절차와 함께 제출한 INDC를 이행하기 위한 정책과 제도 정비 노력이 본격화될 것입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법조계의 지속적인 연구와 논의가 큰 기여를 하게 될 것입니다. 기후변화는 오늘과 내일의 문제이고 인류 전체의 문제입니다. 오늘 심포지움이 국내외 법조계가 법적 관점에서 기후변화 대응에 적극 기여하는 출발점이 되기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