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국가상징
  2. 어린이·청소년
  3. RSS
  4. ENGLISH

외교부

1,2차관

제1차관, 제2차 한-EU 중동문제 국제회의 환영사

부서명
작성자
작성일
2016-02-02
조회수
2151

Welcoming Remarks by H.E. Mr. LIM Sungnam
Vice Minister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
At the Second ROK-EU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iddle Eastern and North African Affairs

Your Excellency Mr. Ali Zeidan, Former Prime Minister of Libya,
Your Excellency Mr. Abdulmalek Al-Mikhlafi, Foreign Minister of Yemen,
Mr. Hannes Swoboda, Former Member of the European Parliament,
Ambassador Gerhard Sabathil, Head of the Delegation of the European Union,
Ambassadors, Distinguished Guests, Ladies and Gentlemen,

It is a great pleasure and privilege for me to extend a warm welcome to all of you here today to attend the 2nd Korea-EU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iddle Eastern and North African Affairs.

I am particularly pleased to see here on this occasion many familiar faces and such an array of eminent leaders, scholars and practitioners.

I understand that Korea and the EU initiated this conference last year, believing that we can better assist the Middle East in identifying the best way forward through a lively exchange of constructive and forward-looking views.

On a personal note, I still remember the days when I was serving as First Secretary in Korea's Mission to the UN in charge of Middle Eastern issues both in the Security Council and the General Assembly around 20 years ago.

At that time, I benefited greatly from the wisdom and expertise of my European colleagues whenever thorny issues related to the Middle East were brought up for debate at the UN.

And of course independent and candid perspectives from colleagues of the Middle East were indispensible for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region.

Partly on the basis of my own experience, I understand that Korea and EU members have shown a similar voting pattern when it comes to Middle Eastern issues at the UN, as like-minded partners. A unified voice is a power in itself, encouraging all stake-holders to take positive action.
However, the views and voices of those on the outside are one thing. Political leadership from within to tackle a crisis is another. I believe that the key to the solution of problems rests ultimately in vision and courage on the part of the regional leadership.

Some people view the current situation in the Middle East from the perspective of the“Return of Geopolitics.”

But I see a significant difference here, in comparison with the past. While I believe that local players are increasingly taking the lead in creating the dynamics in the region, they need to assume greater responsibility for the stability and prosperity of their own region.

The International Syria Support Group comprising all the stakeholders in the region is an excellent instance of this. We fully support its continued and collective efforts to end the Syrian tragedy which has been unfolding now for years.

It is only through an inclusive political process and social cohesion that a sustainable solution can be found.

I disagree with the concept of so-called“Middle East Exceptionalism,” not because I deny the unique nature of the Middle East but because I believe in the universal value of placing the priority on people.

In this regard, it is my heartfelt hope that the Islamic values of tolerance and peaceful coexistence will be fully realized – this will be invaluable in addressing the difficulties in the region.

Distinguished Guests,

If we reflect on modern history, one might say that there are some similarities between the way the demarcation line was drawn on the Korean Peninsula about 70 years ago and the way the current borders in the Middle East were conceived by the Sykes-Picot agreement exactly 100 years ago.

The borders imposed by outsiders in the past still have an impact both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Middle East in one way or another.

To make a long story short, in the case of the Korean Peninsula, the situation is far from being stable, as evidenced by North Korea's nuclear test early this year.

While the nature of the threats is quite different, the Middle East is also not free from factors of instability such as ISIL, violent extremism, crises faced in the process of political transition and humanitarian catastrophes.

While there are undoubted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pecific historical context of the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at in the Middle East, the solutions to the problems faced in our two regions may not differ widely.

In the case of the Korean Peninsula, the key to securing peace and prosperity lies in whethe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ill be able to induce a change in the strategic calculation on the part of Pyongyang's leadership regarding its nuclear and missile programs.

Likewise, in the Middle East, I believe that the crucial element is whether the key stakeholders will be able to redefine their strategic interests from a win-win perspective.

On a different but related note, the way that the Republic of Korea proved able to achieve rapid economic progress and political development within about half a century after the end of the Korean War in the early 1950s, may serve as a valuable reference for the Middle East of today.

In short, Korea was able to emerge as the country it is today by focusing on the cultivation of human resources through education. In this context, I believe and hope that Korea and the Middle East will be able, as true partners, to forge even stronger ties through a two-way learning process.

I would like to bring my remarks to a close by emphasizing that Korea will indeed continue to strengthen its “Politically Involved, Economically Innovative, Culturally Interactive” Partnership with the Middle East. And I would like to express my wish for the great success of this conference as well as for the full realization of all the aspirations of each and every participant in this hall. Thank you very much.

/End/

---------------- (비공식 국문본) ----------------

제2차 한-EU 중동문제 국제회의
임성남 외교부 제1차관 환영사

알리 지단 전 리비아 총리님,
압둘 말렉 알미클라피 예멘 외교장관님
한네스 스보보다 전 유럽의회 의원님
게르하드 사바틸 주한 EU 대사님,

각국 대사님, 내외 귀빈 여러분,

제2차 한-EU 중동문제 국제회의에 참석해 주신 내외 귀빈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특히 동 회의에 참석하신 저명한 각계의 지도자, 학자, 전문가 분들 그리고 낯익은 얼굴들을 이 자리에서 뵐 수 있어 기쁘게 생각합니다.

미래 지향적이고 생생한 의견 교환을 통해 중동이 최선의 방안을 찾아나가는 것을 보다 더 잘 지원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한국과 EU는 작년에 동 회의를 공동으로 개최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약 20년전 제가 주유엔 한국대표부에서 1등 서기관으로 근무하며 총회와 안보리에서 중동 문제를 다루던 때를 아직 기억합니다. 당시 까다로운 중동 문제가 UN 토의에 상정될 때 마다 유럽에서 온 많은 외교관들에게 지혜와 전문지식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물론, 자유롭고 솔직한 중동 외교관들의 관점은 제가 중동 이슈를 더 깊이 이해하는 데 있어 필수적이었습니다.

개인적인 경험을 토대로 반추해 보면, 한국과 EU는 마음이 통하는 친구처럼 유엔에서 중동문제가 다루어질 때 유사한 투표 패턴을 보여온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단합된 목소리는 그 자체로서 힘을 지니며, 모든 관련국들이 긍정적인 행동을 취하게 하는 원동력이 됩니다. 하지만, 외부의 시각과 의견은 문제를 해결하려는 내부로부터의 정치적 리더십과는 별개의 문제입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열쇠는 궁극적으로 지역내 리더십의 비전과 용기에 달려있다고 생각합니다.

몇몇 사람들은 작금의 중동이 처한 상황을 “지정학의 회귀”라는 입장에서 바라봅니다만, 저는 과거와 비교해 보았을 때 상당한 차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지역내 행위자들이 역내 역학 관계를 창출해 내는데 있어 점점 더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지역의 안정과 번영을 위해 더 큰 책임을 질 필요가 있습니다.

역내 모든 행위자를 포괄하는 국제시리아지원그룹은 이러한 움직임의 가장 좋은 예입니다. 우리는 지난 몇 년동안 전개된 비극적인 시리아 사태를 종결시키기 위한 국제시리아지원그룹의 지속적인 공동의 노력을 전적으로 지지합니다.

지속적인 분쟁 해법은 포용적인 정치 과정과 사회적 융합을 통해서만 얻어질 수 있습니다.

저는 소위 “중동 예외주의”라고 불리는 개념에 동의하지 않습니다. 제가 중동만의 고유 특성을 부인하기 때문이 아니라 인본주의의 보편적 가치를 믿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저는 관용과 평화적 공존이라는 이슬람의 가치가 충만히 실현되기를 진심으로 희망합니다. 이 가치들은 역내 어려운 문제들을 다루는데 매우 중요합니다.

귀빈 여러분,

근대사를 돌이켜보면, 혹자는 70년 전 한반도에 분단선이 그어진 방식과, 정확히 100년 전 사익스-피코 협정에 의해 현재의 중동 지역 국경선이 잉태된 것 사이에 유사성이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과거 외부인에 의해 강제된 국경선은 아직도 한반도와 중동 모두에 어떤 식으로든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요컨대, 한반도의 상황은 금년초 북한 핵실험이 보여주듯이 안보와는 거리가 멉니다. 위협의 본질이 상당히 다르다 해도 중동 또한 ISIL, 폭력적 극단주의, 정치전환과정에서 나타나는 위기상황들 그리고 인도주의적 파국과 같은 불안정 요인으로부터 자유롭지 않습니다. 의심할 여지없이 한반도의 특수한 역사적 맥락과 중동의 상황이 상당히 다르지만, 양 지역이 직면한 문제에 대한 해법은 크게 다르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한반도의 경우, 평화와 번영을 확보하기 위한 열쇠는 핵과 미사일 프로그램에 대한 평양 지도부의 전략적 계산의 변화를 국제사회가 유도해 낼 수 있는지 여부에 달려있다 하겠습니다. 한편, 중동의 경우를 본다면 주요 이해 관계자들이 상생의 관점에서 전략적 이해를 재정의할 수 있는지가 관건이라고 생각됩니다.

일면 다른 얘기일 수 있으나 연관성 있는 한 가지 얘기를 한다면, 한국이 1950년대 초 한국전쟁이 끝난 지 불과 반세기 만에 빠른 경제 성장과 정치적 발전을 이룩할 수 있었던 방식이 오늘날 중동에게 귀중한 참고가 될 수 있을 듯 합니다.

결론을 얘기한다면, 한국은 교육을 통한 인적 자원 계발에 집중함으로써 오늘날의 모습을 일구어 낼 수 있었습니다. 그러한 맥락에서 한국과 중동은 참된 파트너로서 서로 배워가는 과정을 통해 훨씬 더 굳건한 관계를 만들어 나갈 수 있을 것이라 믿으며 또한 희망합니다.

끝으로 한국은 중동과 “정치적으로 관여하고, 경제적으로 혁신적이고, 문화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동반자 관계를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오늘 말씀을 마칠까 합니다. 오늘 회의의 성공과 참석해 주신 모든 분들의 열망이 실현되기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