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국가상징
  2. 어린이·청소년
  3. RSS
  4. ENGLISH

외교부

1,2차관

제2차관, 인권이사회 고위급 회기 연설

부서명
작성자
작성일
2015-03-04
조회수
3135

Statement by H.E. Mr. CHO Tae-yul
Vice Minister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
at the High-level Segment of the 28th Session of the
UN Human Rights Council

Mr. President,

Seventy years ago, the United Nations was born to save humanity from the calamities of war and to protect human dignity and values.

Regrettably, however, the face of today’s world that the 70 year-old UN has been painstakingly looking after is a far cry from what its founders had envisioned.

Barbaric human rights violations such as torture, forced disappearance, racial discrimination and sexual violence remain rampant in all corners of the world. The horrors we are witnessing in Syria and Iraq are a challenge that poses a grave threat to humanity as a whole.

In order for the UN to overcome these challenges and leave a better world to our next generation in which the vision of the UN founders can be realized, it should retrace its steps back to the spirit of humanism.

(Strengthening Human Rights Mechanism)

In order to shape people-centered world, the UN system as a whole, not to mention the Human Rights Council which is the bastion for promoting and protecting human rights, should seek new changes.

First, all UN member states should double their efforts to eradicate the practice of impunity towards human rights violations and secure accountability. We should also take a human rights-centered perspective in addressing crises requiring the collective response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uch as armed conflicts, Ebola epidemics and natural disasters.

Second, further efforts should be made to mainstream human rights across the whole spectrum of UN activities. In particular, it is critical to actively implement the Rights Up Front initiative of Secretary General Ban Ki-moon in preventing human rights violations.

Third, more work needs to be done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the management of the Human Rights Council. In this context, the initiative by the new President, Ambassador Joachim Ruecker, is timely. And we look forward to active and substantive discussions on the initiative.

In order to bring about such changes to the UN system, the central role of OHCHR is critical. I am confident that OHCHR will turn into a more robust and efficient institution, under the distinguished leadership of High Commissioner Prince Zeid.

(Human Rights Situation in the DPRK)

Mr. President,

Last yea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ok a meaningful step towards resolving a serious human rights problem whose resolution is long-overdue.

The Commission of Inquiry (COI) on human rights situation in the DPRK, established by the Human Rights Council, conducted an objective and independent study and concluded that there were grave, systematic and widespread human rights violations in the DPRK, and that many of them constituted ‘crimes against humanity’. The commission strongly urged the DPRK to take concrete and substantial measures to improve the human rights situation, including, among others, dismantling political prison camps.

Moreover, following the adoption of the resolutions reflecting the COI recommendations both at the Human Rights Council and the General Assembly, the UN Security Council adopted the situation in the DPRK as its formal agenda and decided to remain seized of the issue.

Taking this opportunity, I would like to pay my highest tribute to the dedicated efforts of the COI members, who contributed to disclosing the whole truth behind the human rights situation in the DPRK, and to the courage of the North Korean refugees who broke the imposed silence to give testimony about their painful past.

Mr. President,

While listening to the statement of the Foreign Minister of the DPRK earlier this afternoon, as a fellow diplomat and descendent of the same blood, I couldn’t contain an overwhelming sense of sorrowful pity.

The Minister knows better than anyone else about the horrific human rights situation in the DPRK and the grave concern verging on despair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over the situation. Yet, he exploited a refugee’s confession about changes in his account in an attempt to conceal the whole truth, a pitiful effort born out of desperation indeed.

One cannot veil the sky with the palm of a hand. Darkness can never defeat light. How much longer does the DPRK wish to continue its inhumane acts of trampling on the human dignity of its people?

We hope that the DPRK will no longer ignore the plight of its own people. We call on the DPRK to immediately take concrete and sincere steps so that its people can carry on a normal, dignified life. And, we sincerely hope that the DPRK will soon put into action the pledge it made last year to cooperate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OHCHR.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ill closely cooperate with the Human Rights Council and other UN human rights mechanisms to improve the human rights situation in the DPRK. In particular, we will spare no efforts to support the Special Rapporteur on the Situation of Human Rights in the DPRK and the OHCHR’s field-based structure that will be set up in Seoul later this year.

Even at this time, North Korean asylum-seekers are wandering around searching for freedom. These people, who face the risk of repatriation, require the special care and protection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ll member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hould adhere to the principle of non-refoulement, and spare no efforts to provide protection and assistance so that they can settle down safely in a place of their choice.

This year also marks the 70th year of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lmost half of the separated families have died without even knowing whether their loved ones are alive. This is an urgent and pressing problem that needs to be resolved without further delay. We urge the DPRK to heed our request for confirmation of whether or not they are alive and for regular family reunions. We also call upon the DPRK to make efforts to resolve humanitarian issues such as those concerning abductees and prisoners of war. In this context, we hope that the initiative of Special Rapporteur Darusman to set up a comprehensive strategy on the abduction issue will soon bear fruit.

(Sexual Slavery during WWII)

Mr. President,

This year, we celebrate the 20th anniversary of the Beijing Platform for Action. As a result of the international efforts to promote gender equality and women’s empowerment over the last two decades, meaningful progress has been made in the twelve critical areas. However, many works remain as unfinished business.

In particular, sexual violence in conflict that is still being perpetrated in many parts of the world is a serious human rights issue that needs to be urgently addressed. This is a historical issue as well. The scars of the Second World War are gradually healing with the passage of 70 years, but the sexual violence perpetrated during the War still remains as a deep trauma to the victims.

Every Wednesday for the past twenty years, the Korean women who were forced into sexual slavery during the Second World War, known as “comfort women”, have been staging demonstrations in Seoul, demanding a genuine apology and accountability from the Japanese government. Most of them are of old age and two have already passed away this year alone. And for the fifty-three victims who are still with us, time is running out.

We cannot further delay investing all that we can to help the surviving victims restore their dignity and self-esteem. Like you and me, they have the right to leave this world with a restored sense of worth and thus, faith in humanity.

Last month, just before the Lunar New Year holidays, I paid a visit to the House of Sharing, a welfare facility for “comfort women”. I found myself at a loss for words before these elderly women who recounted their painful memories to me in tears. All I could say was that together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 would try my best to help them recover their honor in their life-time so that their courageous confessions will not go in vain. And all that I could do as I left them was to ask for their promise in return to stay strong and in good health to see that day come.

Last year, the human rights treaty bodies, including the Human Rights Committee and Committee on the Elimination of Racial Discrimination recommended once again an investigation into the human rights violations of the victims of sexual slavery by the Japanese Imperial Army, punishment of the perpetrators, and compensation and apologies to the victims. Mme. Navi Pillay, the former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 also called for a comprehensive, impartial and lasting solution to the wartime sexual slavery issue. The leader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cluding the U.S. have also voiced their concerns in chorus.

We hope that the Japanese government will heed these international calls and, as the government concerned, act in response with accountability. The past mirrors the present and the future. Without healing the wounds of the past, we cannot anticipate a healthy future. Ever since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German leaders have made consistent and sincere efforts to heal the wounds of the past by expressing genuine remorse and repentance over the past history. In her recent speech commemorating the 70th anniversary of the liberation of Auschwitz camp, Chancellor Merkel went so far as to say, “The crimes against humanity are not time-limited. We have the everlasting responsibility to pass along, and always remember, the knowledge about the atrocities.” This epitomizes how leaders ought to behave in the face of the truth of history.

Genuine efforts by the Japanese government to resolve this thorny issue will pave the way for Korea and Japan to build a new future of co-prosperity. We urge the Japanese government to assume a more sincere and courageous stance at the ongoing bilateral consultations to come up with a solution that is acceptable to the victims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like. And this solution should be worked out without further delay so that as many surviving victims as possible can restore their honor and resolve their deep sorrows before they take their last breath.

(Conclusion)

Mr. President,

The Republic of Korea is often cited as a success story that has simultaneously achieved both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rising above the ashes of war and agony of national division and poverty. It would be an understatement, however, to say that this journey was an easy one.

Korea had to undergo painful processes of reforms and adjustment while overcoming countless challenges and obstacles. Through this, Korea was able to achieve not only economic development, but also invaluable experiences and lessons learned in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human rights as well as democratic institutionalization.

Based on such experiences and lessons, we are committed to actively joining international efforts to create a world envisioned by the UN founders -- a world in which human dignity and democratic values are fully respected and peace and happiness flow like a river.

As a trusted partner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s well as a friend and supporter sharing the pains and difficulties of fellow developing countries, Korea is committed to making greater contributions in the years ahead. Thank you. /END/



----------------------<국문번역>-------------------------------

인권이사회 고위급 회기 연설



의장,

지금으로부터 70년 전, 국제사회는 전쟁의 참화에서 인류를 구하고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를 수호하기 위해 유엔을 창설하였습니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유엔이 지난 70년간 정성스럽게 보살펴 온 지구촌의 모습은 유엔의 창설자들이 꿈꾸었던 세상과는 거리가 멉니다.

고문, 강제실종, 인종차별, 성폭력 등 반문명적인 인권침해는 아직도 지구촌 곳곳에 만연해 있으며, 시리아 내전과 이라크 사태에서 우리가 목격하고 있는 참상은 인류 전체의 삶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도전이 되고 있습니다.

유엔이 이러한 도전을 극복하고 유엔 창설자들의 비전이 구현될 수 있는 더 나은 세상을 다음 세대에 물려주기 위해서는 이제 인본주의로 돌아가야 합니다.

반기문 유엔사무총장이 강조한 인간이 중심인 세상을 만들기 위해 지혜를 모아야 합니다.



(인권 논의 방향 및 인권 메카니즘 강화)

그러한 인간 중심의 세상을 만들기 위해 인권 보호와 증진의 보루로서 인권이사회는 물론 유엔 체제 전반에 걸쳐 새로운 변화를 모색해야 합니다.

첫째, 모든 유엔 회원국들은 인권 침해에 대한 불처벌 관행을 척결하고 책임성 확보를 위한 노력을 배가해야 합니다. 아울러, 무력분쟁, 에볼라, 자연재해 등 국제사회의 공동 대처가 요구되는 다양한 위기 사안을 해결함에 있어 인권 중심적 시각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둘째, 유엔 활동 전반에 걸쳐 인권의 가치를 우선적으로 반영하기 위한 인권 주류화 노력을 더욱 강화해야 합니다. 특히, 인권 침해 상황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유엔 사무총장의 Rights Up Front 이니셔티브의 적극적 이행이 중요합니다.

셋째, 인권이사회는 운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신임 Joachim Ruecker 의장의 이니셔티브는 시의 적절하며, 향후 동 이니셔티브에 대한 실질적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유엔 체제에 이러한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OHCHR의 중심적 역할이 무엇보다도 중요합니다. 본인은 Zeid 인권최고대표의 리더쉽 아래 OHCHR이 더욱 강력하고 효율적인 기구로 거듭나리라 확신합니다.

(북한인권 문제)

의장,

지난 해 국제사회는 오랫동안 숙제로 남아있던 중대한 인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미 있는 발걸음을 내디뎠습니다.

유엔인권이사회가 설치한 북한인권 조사위원회(COI)가 객관적이고 독립적인 조사를 통해 북한 내에서 중대하고 조직적이며 광범위한 인권 유린이 자행되고 있으며 그 중 많은 경우가 ‘인도에 반하는 범죄’라는 결론을 내리고, 북한당국이 정치범 수용소 해체 등 인권 개선을 위해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조치를 취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인권이사회와 유엔 총회에서 COI 권고사항을 반영한 결의가 채택된데 이어 유엔 안보리가 북한 인권상황을 의제로 채택하고 향후 계속 토의하기로 결정하는 상황으로까지 발전하였습니다.

이 자리를 빌어 북한인권 상황의 총체적 진실을 규명하는데 기여한 COI 위원들의 헌신적 노력과 강요된 침묵을 깨고 고통스런 과거를 당당히 증언한 탈북민 여러분들의 용기에 큰 박수를 보냅니다.

의장,

본인은 오늘 오후 북한 외무상의 연설을 들으면서 같은 외교관으로서 그리고 동족의 한사람으로서 깊은 연민의 정을 느끼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북한인권의 참상과 이에 대한 국제사회의 절망에 가까운 우려를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을 그가 과거 증언 내용을 바꾼 탈북민 한 사람의 고백을 빌미로 진실을 덮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는 모습이 애처로웠기 때문입니다.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릴 수는 없는 법입니다. 어둠은 결코 빛을 이길 수 없습니다. 북한 당국은 북한 주민들의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짓밟는 반인륜적 행위를 언제까지 계속하려는 것입니까?

우리는 북한당국이 주민들의 고통을 더 이상 외면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북한 주민들이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진정성 있는 조치를 지체없이 취할 것을 촉구합니다. 그리고, 지난해 북한당국이 천명한 OHCHR 등 국제기구와의 협력 의지를 조속히 행동으로 옮기기를 바랍니다.

우리 정부는 북한 인권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인권이사회 및 여타 유엔 인권 메커니즘과 긴밀히 협력할 것입니다. 특히, 북한인권 특별보고관과 금년에 서울에 개설될 유엔 북한인권 사무소의 원활한 활동을 위해 필요한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입니다.

지금 이 시간에도 자유를 찾아 떠도는 탈북민들이 있습니다. 이들은 언제든지 북한으로 송환될 위험에 처해 있다는 점에서 국제사회의 각별한 배려와 보호가 필요한 사람들입니다. 국제사회의 모든 구성원은 강제송환금지 원칙을 준수하고, 탈북민들이 희망하는 곳에 안전하게 정착할 수 있도록 보호와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올해는 남북이 분단된 지 70년이 되는 해이기도 합니다. 남북 이산가족 중절반 가까이가 헤어진 가족의 생사조차 알지 못한 채 세상을 떠났습니다. 이 문제는 더 이상 지체할 수 없는 시급하고 절박한 문제입니다. 북한 당국이 남북 이산가족들의 생사확인과 상봉 정례화에 대한 우리의 요구에 적극 호응할 것을 촉구합니다. 아울러 납북자, 국군포로와 같은 인도적 문제 해결을 위해서도 적극 나서 줄 것을 요청합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우리는 납북자 문제에 대한 포괄적 전략 수립을 위한 다루스만 북한인권 특별보고관의 이니셔티브가 구체적 결실을 맺게 되길 기대합니다.

(전시성폭력 및 일본군 위안부 문제)

의장,

올해 우리는 북경행동강령 채택 20주년을 기념하고 있습니다. 지난 20년간 국제사회는 양성평등 증진과 여성의 권익향상을 위해 노력해 온 결과 12개 주요 관심 부문에서 의미 있는 진전을 이루었습니다. 그러나, 아직도 많은 미결과제가 남아 있습니다.

특히, 무력분쟁하 성폭력 문제는 지구촌 곳곳에서 여전히 자행되고 있는 심각한 인권 문제로 시급한 대응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이 문제는 또한 역사적 문제이기도 합니다. 제2차 세계대전이 인류에 남긴 상흔은 70년의 세월과 함께 점차 아물어가고 있으나, 그 시기에 자행된 전시 성폭력 문제는 아직도 피해자들에게 깊은 마음의 상처로 남아 있습니다.

매주 수요일 서울에서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이 일본 정부의 진정한 사과와 책임규명을 요구하며 20년째 집회를 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이 고령인 할머니들은 올해에만 두 분이 유명을 달리 하셨습니다. 생존해 계신 쉰 세분의 할머니들에게조차 남아 있는 시간은 많지 않습니다.

우리는 할머니들이 살아계시는 동안 존엄과 자존심을 회복하실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모든 노력을 다해야 합니다. 저나 여러분들처럼 그들도 자신의 존재가치에 대한 자긍심과 인간에 대한 믿음을 안고 이 세상을 떠날 권리가 있기 때문입니다.

저는 지난 달 설 명절을 앞두고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복지시설인 나눔의 집을 방문하였습니다. 눈물을 흘리며 아픈 기억을 회상하시는 그분들 앞에서 저는 할 말을 잃었습니다. 할머니들의 용기 있는 고백이 헛되지 않고 생존해 계시는 동안 명예를 회복하실 수 있도록 국제사회와 함께 계속 노력하겠다는 말 이외에는 아무 말도 할 수 없었습니다. 할머니들과 헤어지면서 제가 할 수 있었던 것은 그 날이 올 때까지 건강하게 오래오래 사시라는 당부의 말씀이 전부였습니다.

지난해에 인권위원회, 인종차별철폐위원회 등 인권협약기구는 위안부 피해자들에 대한 인권침해 조사와 가해자 처벌, 피해자에 대한 사과와 배상 등을 다시 한 번 권고하였습니다. 필레이 전 인권최고대표 역시 위안부 문제에 대해 포괄적이고 공정하고 영구적인 해결을 촉구한 바 있습니다. 미국을 포함한 국제사회의 지도자들도 그 대열에 합류하였습니다.

일본 정부는 이러한 국제사회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당사국 정부로서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주길 기대합니다. 과거는 현재와 미래의 거울입니다. 과거의 상처를 치유하지 않고 건강한 미래를 기대할 수는 없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후 수십 년간 독일의 지도자들은 일관되게 과거사에 대한 진정한 반성과 참회를 통해 과거의 상처를 아물게 하는 진지한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최근에도 메르켈 총리는 아우슈비츠 수용소 해방 70주년 기념 연설에서 “인류에 대한 범죄에는 시효가 없습니다. 우리에게는 당시의 잔혹행위에 대한 지식을 전달하고 기억을 유지해야 할 영구적인 책임이 있습니다.”라고 까지 말하였습니다. 역사의 진실 앞에서 지도자들이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일본 정부가 이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진정한 노력을 기울인다면 한일 양국에게 공동 번영의 새로운 미래가 열릴 것입니다. 피해자 할머니들이 한분이라도 더 살아계시는 동안 현재 진행 중인 한?일 양자협의에서 할머니들과 국제사회가 납득할 수 있는 해결책이 조속히 마련되어 그분들의 명예가 회복되고 가슴에 응어리진 한을 풀어드릴 수 있도록 일본 정부가 보다 진지하고 용기있는 자세를 보여줄 것을 촉구합니다.

(맺음말)

의장,

대한민국은 종종 전쟁과 분단, 빈곤의 아픔을 딛고 산업화와 민주화를 동시에 달성한 성공사례로 회자되곤 합니다. 그러나 그 과정은 결코 쉬운 것이 아니었습니다.

우리는 수많은 도전과 장애를 극복하며 개혁과 조정의 고통스런 과정을 겪어야만 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경제발전뿐만 아니라 인권 보호와 증진, 민주주의의 제도화라는 측면에서도 소중한 경험과 교훈을 얻었습니다.

그 경험과 교훈을 자산으로 우리는 유엔 창설자들이 꿈꾸었던 세상, 인간의 존엄성과 민주적 가치가 한껏 고양되고 평화와 행복이 강물처럼 흐르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국제사회의 공동노력에 적극 동참하고자 합니다. 국제사회의 신뢰받는 파트너로서, 개도국의 어려움을 함께 나누는 친구요 후원자로서 더 큰 기여를 해 나가고자 합니다. 감사합니다.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