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국가상징
  2. 어린이·청소년
  3. RSS
  4. ENGLISH

외교부

1,2차관

제2차관, 국제전략연구소(IISS) 주최 「카르타헤나 대화: 환태평양 정상회의」 기조연설

부서명
작성자
작성일
2015-03-09
조회수
2646

Statement by H.E. Mr. CHO Tae-yul
Vice Minister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
at the IISS Cartagena Dialogue: The Trans-Pacific Summit
on “Korean Perspective on the Pacific Alliance”

Dr. John Chipman, 
Distinguished Guests,
Ladies and Gentlemen,

First of all, I would like to express my appreciation to the Government of Colombia and IISS for inviting me to this inaugural meeting of the Cartagena Dialogue: The Trans-Pacific Summit. It is absolutely clear why IISS selected Pacific Alliance as the main theme as it launches the Cartagena Dialogue. It is because the Pacific Alliance is not only the new model for regional integration in Latin America, but also it has been expanding its geo-economic and political influenc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by making impressive progress in a short span of time.

Korea has also been paying attention to the great potential for cooperation with the member countries of the Pacific Alliance since even before its inception. By selecting Chile as our first-ever partner for free trade agreement (FTA) back in 2003 and then later concluding FTAs with Peru and Colombia, we have laid a solid foundation for cooperation framework with the Pacific Alliance on a bilateral basis. The only missing link in this FTA network with this Alliance is between Korea and Mexico, but dialogue has been underway between the two governments to restart the negotiations for a bilateral FTA which was suspended in 2008. And in 2013, a framework for multilateral cooperation with the Pacific Alliance was established by Korea’s acceptance into the Alliance as an observer country.

Today, as a representative of an observer country of the Pacific Alliance and a major trading nation in Asia, I am pleased to share with you Korea’s perspective on the Pacific Alliance and its vision for future cooperation with the Alliance.

(Assessment of the Pacific Alliance)

More than anything else, trust lies at the foundation of Korea’s perspective towards the Pacific Alliance: trust accumulated through our traditional ties of friendship and cooperation, shaped by Colombia’s participation in the Korean War in the early 1950s and many exchanges of visits between our leaders and those of the Alliance over the past decades. We feel boundless trust towards the consistency of the Alliance with which they have been resolutely upholding the values and principles of democracy and market economy.

The Pacific Alliance, launched three years ago, has been growing steadily year after year, with the free movement of people and commodities as well as the integration of the stock market. This was possible because the Alliance was able to move single-mindedly towards integration and openness, based on democratic legitimacy and popular support. It is only natural that Korea has faith in the Pacific Alliance that is bound together by these shared values and interests.

Second, Korea feels a sense of camaraderie with the countries of the Pacific Alliance. As is well known, during the last century, Latin America was a scene of intense competition for theories of economic growth. Different views towards open markets and the global economic system still remain. However, due to the dazzling growth of the Pacific Alliance, the debate over the theories of economic growth in Latin America is now somewhat losing steam.

If the dependency theory, which advocated a road of independent growth by cutting itself off from the international economic system, was the winner in the 1980s, then the true winner in the era of connectivity of the 21st century is the Pacific Alliance. This is illustrated by the amount of foreign investment the Alliance has attracted, the willingness of countries like Panama and Costa Rica to join it as full-fledged members, and the number of observer countries which has now reached thirty two, encompassing virtually all continents of the globe.

We feel a sense of comradeship with the Alliance because we also have been enhancing our competitiveness by relentlessly pursuing an open economy. We chose competition over isolation, and focused on satisfying the needs of new customers while exploring new markets. Korea, as it stands today, would not exist if it were not for the ‘learning by exporting’ and the ambitious integration into the international economic system.

The reason why Korea welcomes the Alliance’s policy of ‘Pivot to Asia’, a policy to promote cooperation with Asia, is because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the Pacific Alliance, both models of successful policies of open economy, can send a clear message to today’s global economy full of uncertainty.

In particular, given that the WTO Doha round negotiations are failing to make progress, the Pacific Alliance’s pursuit of open regionalism will add new momentum to reaching an agreement on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TPP). Korea, which has enjoyed economic growth by reaping the benefits of the multilateral trading system, has been pushing for greater trade liberalization through aggressively expanding its FTA network since the early 2000s and now ranks number three in terms of total GDP of the countries with which it has concluded FTAs. If Korea joins the TPP sooner rather than later, the Pacific Alliance advocating a ‘bridge to Asia’ and Korea emerging as an FTA hub in East Asia will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global free trade system as the two cornerstones of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the Pacific Alliance)

As such, Korea and the Pacific Alliance have been building a strong found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based on trust and a sense of camaraderie. During the past 10 years, Korea’s trade with the Pacific Alliance increased by 263 percent and last year reached 26 billion dollars, which amounts to almost half of Korea’s trade with Latin America as a whole.

What is more encouraging is that our bilateral trade volume, which had declined in 2009 due to the global economic crisis, recovered immediately and today our two-way trade is becoming even more vibrant than before. This illustrates that the trad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the Alliance enjoys a significant degree of resilience thanks to the existing web of bilateral FTAs.

Trade between Korea and Peru increased 67 percent when the bilateral FTA came into effect in 2011. This case attests to the trade promotion effect of FTAs. Korea’s FTA with Colombia which was signed in 2013 is expected to come into effect very soon. The Korea-Mexico FTA, if the negotiations are resumed and concluded, will dramatically increase trade between Korea and the Pacific Alliance.

Recently, investment has also been showing an impressive growth. Korea’s investment in the Pacific Alliance has been on the rise since the global economic crisis in 2009. In 2012 alone, it registered 540 million dollars. Areas of Korea’s investment in the Alliance have also moved beyond mining and have expanded to manufacturing and services industries. It appears that the strategic values of the Pacific Alliance and the recent increase in their middle classes have brought on greater confidence among Korean investors.

As the economies of the Pacific Alliance continue to grow, the infrastructure gap within the Alliance will widen. And I anticipate that Korean companies can fill the growing gap and thus contribute to laying the foundation for sustainable growth of the Alliance. Korean companies are recognized for their world class technology, cost competitiveness and project execution ability. I am quite confident that they will be able to create high quality jobs while carrying out high value added projects in the areas of energy, transport and environment in the Pacific Alliance countries.

Citi Group forecasted that the total infrastructure gap of Latin America will reach 170 billion US dollars in 2020. And last year, Korean companies won 6.7 billion dollars worth of contracts in construction in Latin America. This indicates that competitive Korean companies are already making inroads and contributing to filling the infrastructure gap in Latin America.

Ladies and Gentlemen,

The Pacific Alliance which has accelerated its integration in a short period of time has left a deep impression on many countries outside the region, including Korea. The ‘Pacific Pumas’ are receiving acclaim for presenting a new model of regional integration by introducing a variety of bold and innovative measures and an early harvest policy which focuses on streamlining formalities and procedures and prioritizing attainable results.
 
To make substantive contributions to such efforts for deeper and faster integration of the Pacific Alliance, Korea had proposed the Single Window Project. This project of building a state-of-the-art regional customs system will contribute to increasing intra-trade within the Alliance, which currently stands at a mere 4 percent, in stark contrast to its high level of trade liberalization of 92 percent. By linking together all the necessary information for exports and imports, it will prevent the duplication of unnecessary documents. This, in turn, will accelerate the export and import process of member states, ultimately paving the way for trade expansion and economic integration of the member states of the Pacific Alliance.

In addition, we support the efforts of the Pacific Alliance to raise its visibility and recognition such as the initiatives for operating a joint trade office and holding joint trade expositions. We have been taking measures to better inform our public and companies about the Pacific Alliance -- the world’s 8th largest economy, boasting the best business environment in Latin America, and a value-driven alliance adhering to the principles of democracy and market economy.

A strategist of our generation Dr. Brzezinski once said, “The first and most important is to emphasize the enduring nature of the alliance relationship in particular with Europe which does share our values and interests even if it disagrees with us on specific policies.” Like his saying, sharing values is sharing the future. And the relations between countries that share the future will remain strong.

I am confident that the Pacific Alliance’s commitment towards democracy and market economy will remain steadfast. And I hope that the Alliance will disseminate these common values throughout Latin America by strengthening the identity and pride of the Alliance, and by continuing to mark exemplary growth through proper economic policies.

As a reliable partner for the open regionalism pursued by the Pacific Alliance and as its observer country, Korea will continue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the Alliance and strengthen our partnership with it. Discussions at this Cartagena Dialogue on a wide range of issues related to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will provide important food for thought for Korea in designing its policy towards the Pacific Alliance in particular and Latin America in general. If you take the initials out of the words “the Pacific Alliance and the Republic of Korea”, it will make “PARK”, the last name of our president. Strengthening partnership with the Pacific Alliance is very much high on the agenda of President Park and that is the message I want to deliver to you today.

I very much appreciate this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this special event and to share some of my thoughts with you. Thank you very much. /END/

---------------------------------------<국문번역>----------------------------------------------

John Chipman 국제전략연구소장,
내외 귀빈, 신사숙녀 여러분,

먼저 카르타헤나 대화 환태평양 서밋 출범 회의에 저를 초청해 주신데 대해 콜롬비아 정부와 국제전략문제연구소측에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국제전략문제연구소가 카르타헤나 대화를 출범시키면서 그 첫 번째 주제로 태평양동맹을 선택한 이유는 자명합니다. 바로 태평양동맹이 중남미의 새로운 지역통합 모델일 뿐만 아니라, 단기간 내에 인상적인 성과를 거둠으로써 국제사회에서 지경학적·지정학적 영향력을 확대해나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한국은 태평양동맹 출범 이전부터 태평양동맹 국가들과의 협력 잠재력에 주목해왔습니다. 2003년에는 사상 첫 번째 FTA 파트너로서 칠레를 선정하였으며, 이후 페루, 콜롬비아와도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하는 등 태평양동맹과 양자 차원의 협력의 틀을 다져왔습니다. 태평양동맹과의 자유무역협정 네트워크에서 한국과 멕시코만이 유일하게 연결되지 않은 고리였으나, 2008년 중단된 양자 자유무역협정 협상을 재개하기 위한 양국정부간 대화가 진행되어 오고 있습니다. 그리고 2013년, 한국이 태평양동맹에 옵서버 국가로 가입됨으로써 다자협력의 틀이 구축되었습니다.

오늘, 태평양동맹의 옵서버 국가이자 아시아지역의 핵심교역국으로서 태평양동맹에 대한 한국의 시각과 미래에 대한 비전을 말씀드릴 수 있게 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태평양동맹에 대한 평가)

한국이 태평양동맹을 바라보는 시각의 바탕에는 무엇보다도 신뢰가 자리잡고 있습니다. 콜롬비아의 한국전쟁 참전으로 형성된 전통적인 우호협력관계 및 지난 수십년간 동맹회원국과의 정상 교환방문 등을 통해 축적된 신뢰뿐만 아니라 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가치와 원칙을 확고히 지켜낸 태평양동맹의 일관성에 우리는 무한한 신뢰를 느낍니다.

3년전 태동한 태평양동맹이 해를 거듭하며 사람과 상품의 자유로운 이동뿐만 아니라 자본시장의 통합에 이르기 까지 흔들림 없이 성장할 수 있었던 것도 민주적 정통성과 국민의 지지를 기반으로 통합과 개방에 매진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바로 이러한 가치와 이해로 결속된 태평양동맹에 대해 한국은 신뢰를 느끼지 않을 수 없습니다.

둘째, 한국은 태평양동맹국가에 대해 동료의식을 느끼고 있습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지난 세기 중남미는 경제성장이론의 각축장이었으며, 대외개방과 세계경제 체제에 대한 견해 차이는 아직도 지속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태평양동맹의 눈부신 성과로 인해 중남미 경제성장론에 대한 논쟁은 그 의미를 잃어가고 있습니다.

세계경제체제와의 단절을 통해 독자적 성장의 길을 주장했던 종속이론이 1980년대의 승자였다면, 21세기 연계성의 시대에 진정한 승자는 바로 태평양동맹인 것입니다. 태평양동맹이 유치한 외국인 투자규모 뿐만 아니라 파나마, 코스타리카의 가입 의사표명, 32개국에 달하는 옵서버 국가의 수가 이를 입증하고 있습니다.

한국이 동료의식을 느끼는 것은 한국 역시 대외개방을 거듭하며 경쟁력을 강화시켜왔기 때문입니다. 한국은 고립되기 보다는 경쟁을 선택했고, 시장을 끊임없이 개척하면서 새로운 소비자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소위 ‘수출을 통한 학습’(learning by exporting)과 세계경제시스템으로의 과감한 편입이 아니었다면 오늘날 한국은 존재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한국이 태평양동맹의 아시아 협력 증진정책, 즉 ‘Pivot to Asia‘ 정책을 반기는 것도 아시아와 중남미에서 성공적 개방정책의 모범인 한국과 태평양동맹의 협력이 불확실성으로 가득한 오늘날 세계경제에 선명한 메시지를 던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도하라운드 협상이 진전을 이루지 못하고 있는 상황 하에서 태평양동맹이 추구하는 개방적 지역주의는 명실상부한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타결에 동력을 부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자간 자유무역체제의 혜택을 입으며 성장해온 한국으로서는 2000년대 이후 보다 높은 교역자유화를 추구하며 오늘날 세계 제3위의 FTA 네트워크를 보유하게 되었습니다. 한국이 가까운 장래에 TPP에 가입하게 되면 ‘아시아로의 가교’(bridge to Asia)를 표방하는 태평양동맹과 동아시아 FTA 허브로 성장한 한국은 환태평양파트너십의 두개 주춧돌로서 세계 자유무역체제의 발전에 기여할 것입니다.

(한국과 태평양동맹의 협력 방안)

이처럼 한국과 태평양동맹은 신뢰와 동료의식을 바탕으로 그간 건실한 경제협력의 기반을 쌓아왔습니다. 지난 10년간 태평양동맹과의 교역은 263% 증가하여 지난해에는 한국의 대중남미 교역의 절반 수준인 260억불에 달하였습니다.

더욱 고무적인 것은 국제경제위기의 여파로 2009년 한때 교역량이 감소되었으나, 곧바로 반등하였고 최근에는 교역이 더욱 활발해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한국과 태평양동맹의 교역관계가 FTA를 기반으로 상당 수준의 복원력을 지니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페루와의 FTA가 발효된 2011년 양국 교역량이 전년대비 67%나 증가했음은 FTA의 교역촉진 효과를 입증하는 사례입니다. 2013년 서명한 콜롬비아와의 FTA도 가까운 장래에 발효될 것으로 보이며, 한-멕시코 FTA 협상의 재개 및 타결이 이뤄진다면 한-태평양동맹 간의 교역은 획기적으로 증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투자 역시 최근 들어 괄목할만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한국의 대태평양동맹 투자는 2009년 세계경제위기 이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특히 2012년 한 해에만 5억 4천만불이 투자되었습니다. 투자분야도 기존의 광업 일변도를 벗어나 제조업과 서비스업으로 확대되었는데, 이는 태평양동맹 국가의 전략적인 입지와 최근 중산층의 확대가 한국의 투자심리를 유발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태평양동맹의 경제성장에 따라 인프라 갭은 확대될 것이며, 한국 기업은 그 갭을 메움으로써 태평양동맹의 지속적 성장기반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한국 기업들은 세계적 수준의 기술력과 가격 경쟁력, 프로젝트 수행능력을 인정받고 있기 때문에 태평양동맹 국가의 에너지, 운송, 환경 분야에서 고부가가치 사업을 수행하며 양질의 고용을 창출해낼 것으로 확신합니다.

Citi Group은 2020년까지 중남미 전체의 인프라 갭을 1,700억불로 예상하였으며, 한국기업은 지난 한 해 중남미 지역 건설분야에서만 67억불을 수주하였습니다. 한국의 우수한 기업이 중남미지역에 입지를 구축하고 부족한 인프라 갭을 메우는데 이미 일조를 하고 있는 것입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단시간내에 통합을 가속화하고 있는 태평양동맹은 한국을 비롯한 역외국가들에게 깊은 인상을 심어주었습니다. 형식과 절차를 간소화하고 실현가능한 성과를 최우선시 하는 조기수확(early harvest) 정책과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이고 과감한 조치의 도입을 통해 ‘중남미의 퓨마’들은 지역통합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한국은 이러한 태평양동맹의 심도있고 신속한 통합 노력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고자 싱글윈도우 사업을 제안한 바 있습니다. 동 사업은 태평양동맹 역내 최첨단 관세시스템 구축 사업으로 92%에 달하는 교역 자유화비율에도 불구하고 4%에 불과한 태평양동맹 회원국간 역내 교역비중의 증대에 기여할 것입니다. 수출입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하나로 묶음으로써 불필요한 서류의 중복 생산 및 제출을 방지함으로써 회원국간 수출입 절차가 신속히 이뤄져 태평양동맹 회원국들의 무역확대와 경제통합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아울러 태평양동맹 공동무역사무소 운영, 공동무역박람회와 같이 태평양동맹의 가시성과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을 성원합니다. 한국정부로서도 세계 제8위 경제규모의 신흥시장이자 중남미 최고의 기업환경을 자랑하는 투자지역, 민주주의와 시장경제 원칙을 준수하는 가치동맹으로서 태평양동맹을 우리 국민과 기업에게 알리는데 소홀함이 없도록 하겠습니다.

우리 시대의 전략가였던 브레진스키 박사는 “비록 어떠한 정책에 대해 의견이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겠지만, 유럽과의 동맹관계가 지속성을 가지는 가장 중요한 원인은 바로 가치와 이해를 공유하기 때문”이라고 한 바 있습니다. 가치를 공유하는 것은 곧 미래를 공유하는 것이며 미래를 공유하는 국가들의 관계는 흔들림이 없을 것입니다.

저는 민주주의와 시장경제 가치에 대한 태평양동맹의 신념이 변함없음을 믿습니다. 아울러 공동의 가치를 기초로 정체성과 자부심이 강화됨은 물론 올바른 경제정책을 통한 모범적 성장을 지속적으로 실현함으로써 중남미에서 그러한 공동의 가치를 확산시켜나갈 것을 희망합니다.

태평양동맹이 추구하는 개방적 지역주의의 주요 협력파트너이자 동맹의 옵서버인 한국은 태평양동맹의 발전을 성원하며, 동맹과의 파트너십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것입니다. 이번 카르타헤나 대화에서 환태평양 파트너십과 관련한 다양한 이슈에 대해 토론한 결과는 한국이 태평양동맹과 중남미 정책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참고가 될 것입니다. ‘태평양동맹과 대한민국’(Pacific Alliance and the RoK)의 머릿글자를 따면 우리 대통령의 성씨인 ‘PARK'이 됩니다. 태평양동맹과의 파트너십 강화는 박근혜 정부의 매우 중요한 어젠다라는 것이 오늘 이 자리에서 여러분께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입니다. 특별한 의미가 있는 이번 행사에 참가하여 제 소견을 말씀드릴 기회를 갖게 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