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국가상징
  2. 어린이·청소년
  3. RSS
  4. ENGLISH

외교부

1,2차관

제2차관, 제24회 Harvard 세계유엔모의대회 축사 (2015. 3. 16.)

부서명
작성자
작성일
2015-03-16
조회수
3248

 제2차관, 제24회 Harvard 세계유엔모의대회 축사 (2015. 3. 16.)

Congratulatory Remarks
by H.E. Cho Tae-yul
Vice Foreign Minister of the Republic of Korea
At the 24th Session of the Harvard World Model United Nations
March 16, 2015

Dr. Kim In-chul, President of Hang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Dr. Park Jin, President of Harvard Club of Korea,
Ambassador Choi Jong-hyun,
Distinguished young Participants,
Ladies and Gentlemen,

I am delighted to be here today with so many outstanding young people from around the world -- leaders of our future. Let me begin by welcoming all of you who have traveled a long way to Seoul to participate in this special event with the passion for contributing to international peace and prosperity. I thank the organizers of the 24th Session of the Harvard WorldMUN for inviting me to this wonderful event.

(Foundation of the United Nations)

As you all know, this year is a historical year marking the 70th anniversary of the foundation of the United Nations. Seven decades ag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came together to establish the United Nations, driven by the commitment to save succeeding generations -- like you and me -- from the scourge of wars and to leave behind a future of hope.

Although falling short of expectations, significant progress has been made in translating this vision of the UN founders into reality. Despite the countless crises during the last seven decades, World War III has yet to break out. Rather than resorting to armed provocations in the face of serious challenges to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in most cases, major global powers have chosen the path towards securing peace through dialogue, including at the UN Security Council.

Ever since the adoption of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in 1948, international norms have been created across the whole spectrum of human rights. Most recently,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ICC) was set up to put an end to the practice of impunity, while ensuring accountability, towards human rights violations. Reflecting the strong commitment and aspiration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eradicate poverty once and for all,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MDGs) were established fifteen years ago. And this yea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set to agree on another set of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to guide the development community for the next fifteen years.

(Today’s Global Challenges)

Today, howeve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aces new and multifaceted challenges. While civil wars and conflicts continue to rage in many parts of the world, notably in Syria, Libya and South Sudan, more than 50 million people are forcibly displaced -- the largest-ever number since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In Iraq and neighboring countries, terrorism is rampant with its roots in violent extremism. Cyber threats, climate change and the Ebola virus, all of which are immune to borders, are threatening the very foundation of human life.

It is against this backdrop that in his acceptance speech of the Harvard Foundation’s Humanitarian of the Year award, UN Secretary General Ban Ki-moon said, “The world today faces threats to peaceful coexistence and to our physical existence on our own and only planet.” And this year, to sound the alarm on climate change and nuclear proliferation, a group of scientists moved the Doomsday Clock -- the symbolic clock representing countdown to possible global catastrophe – from 11:55 pm to 11:57 pm, two minutes closer to doomsday.

This is the reason why there now emerges a renewed commitment by both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to come together, with the 70-year old United Nations at the center, to resolve the complex, borderless challenges that pose grave threat to humanity.

(Story of Korea and Future Task)

For Koreans, it carries special meaning to see their country host the prestigious Harvard World Model United Nations today. It is because the history of the Republic of Korea is the very history of the United Nations. Had there been no help from the UN from the time of its foundation, to the Korean War, and in the post-war reconstruction process, the Republic of Korea as it stands today would not be existent. The Republic of Korea, an economically vibrant and prosperous as well as politically free and democratic country, is a child that the UN has nurtured.

It would be an understatement, however, to say that this journey has been an easy one. We had to undergo painful processes of reform and adjustment, while overcoming countless challenges and hurdles. Today, we still face a range of challenges that can only be resolved when we address them hand in hand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More than anything else, the shadow of a divided Korean Peninsula is lurking behind Korea’s success story.

In fact, just an hour away from here, you will find North Korea, which continues to threate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ith its nuclear weapons program. North Korea has continued its military provocations culminating in its third nuclear test in early 2013. Last year alone, North Korea fired over 280 rockets and missiles. The Commission of Inquiry (COI), established by the UN Human Rights Council in 2013, concluded that the human rights violations in North Korea constituted ‘crimes against humanity’. And in December last year, the UN Security Council adopted the situation in North Korea into its formal agenda and decided to remain seized of the issue.

Earlier this month, at the Conference on Disarmament and the UN Human Rights Council in Geneva, I urged North Korea to make a strategic decision to give up its nuclear ambition and immediately take steps to improve the human rights situation in the country so that its people can carry on a normal, dignified life.

This is a stark reality still prevailing on the Korean Peninsula. The Republic of Korea, however, has been able to transform itself from an aid recipient to a full-fledged donor country in a span of only half a century. The memories of poverty are still vivid in my mind. Born in 1955 shortly after the Korean War, I have witnessed my country rise above the ashes of the war and agony of absolute poverty and achieve both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With this unique development experience, Korea now aspires to contribute to global happiness playing a more visible and value-adding role as a bridge between developed and developing world. We are committed to increasing our overseas development assistance (ODA) and sharing our development experiences with fellow developing countries especially in the areas of our comparative strength and advantage such as education and the Saemaul movement, the locomotive for modernizing our rural community at the initial stage of our economic development. We also hope to share not only our success stories, but also failure stories including the side effects stemming from rapid economic development so that developing countries will not follow Korea in its footsteps even in the areas of its strategic or policy mistakes and errors.

To this end, taking advantage of its status as a trusted middle power, Korea is committed to playing three key roles: first, the role of facilitator in narrowing the gap betwee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second, the role of supporter in helping developing countries overcome constraints and bottlenecks lying in their quest for economic prosperity; and third, the role of initiator in shaping new agenda for promoting global public goods and creating international norms.

Korea is now on the verge of joining the ranks of developed countries having overcome the constraints of a developing country. Therefore, Korea is better poised to have a balanced perspective on global issues and the ways to resolve them. This is probably the reason why we often feel tha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more attentive to our words and actions compared to the past, which I believe is evidence of their trust towards Korea. Based on this trust, Korea will continue to play a more proactive role in international efforts to make the better world in the years ahead.

(Conclusion)

My young friends,

You are a reservoir of talent and enthusiastic agents of change. History illustrates that, no matter how daunting the challenges may seem, the idealism, the drive and the passion of the young people give us hope.

Time and again, we have seen dynamic young people challenging the status quo. Malala Yousafzai, the Nobel Peace Prize Laureate from Pakistan, who was shot by the Taliban for advocating girls’ right to education, once said, “I don’t want to be remembered as the girl who was shot. I want to be remembered as the girl who stood up.” “Nothing changed in my life except this: weakness, fear and hopelessness died. Strength, power and courage was born.”

Likewise, your strength, power and courage will light the way forward. In the coming days, I hope that every one of you will passionately engage in the debates and seek creative solutions to today’s diverse global challenges by tapping into your incredible talent and creativity.

I am confident that your collective wisdom and creativity will pave the way towards a more peaceful and thriving global village. Thank you. /END/

------------------------------------비공식 번역본----------------------------------------------

김인철 한국외국어대 총장님,
박진 한국 하버드동문회장님,
최종현 경기도국제협력대사님,
세계모의유엔대회(WorldMUN)에 참석하신 청년 여러분,
그리고 신사숙녀 여러분,

(인사말씀)

오늘 세계 각국에서 오신 수많은 우수한 청년들, 미래의 주역들과 자리를 함께 하게 되어 기쁘게 생각합니다. 먼저 국제평화와 번영에 기여하고자 하는 열정 하나로 이 특별한 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먼 길을 달려오신 여러분들 모두에게 환영의 인사를 드립니다. 아울러, 이 뜻 깊은 자리에 저를 초청해 주신 제24회 하바드 세계모의유엔대회 주최측에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유엔 창설)

여러분도 아시다시피, 올해는 유엔이 창설된 지 70주년이 되는 역사적인 해입니다. 지금으로부터 70년 전, 국제사회는 전쟁의 참화에서 인류를 구하고, 저와 여러분을 포함한 후세대에게 보다 희망찬 미래를 물려주겠다는 일념으로 힘을 모아 유엔을 창설하였습니다.

기대에 미치지는 못했지만, 그동안 국제사회는 유엔 창설자들의 비전을 실현하는데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습니다. 지난 70년간 수많은 위기상황에도 불구하고, 제3차 세계대전은 발발하지 않았습니다. 국제 평화 및 안보에 대한 심각한 도전 앞에서 강대국들은 대부분의 경우 직접적인 무력 대결로 치닫기 보다는 유엔 안보리 등에서의 대화를 통해 국제평화를 추구하는 길을 선택하였습니다.

1948년 세계인권선언 채택 이후 전 분야에 걸쳐 인권에 관한 국제규범이 만들어졌습니다. 가장 최근에는 인권 침해에 대한 불처벌 관행 종식과 책임 규명을 위한 국제형사재판소(ICC)도 설립되었습니다. 빈곤을 퇴치하겠다는 국제사회의 강한 의지와 염원이 담긴 새천년개발목표(MDGs)가 15년 전에 수립되었습니다. 그리고 올해는 향후 15년간 국제개발사회를 이끌어나갈 지속가능개발 목표에 합의할 예정입니다.

(오늘의 지구적 도전과제)

그러나 오늘날 국제사회는 새롭고 복잡다단한 도전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시리아, 리비아, 남수단 등 세계 각지에서 내전과 분쟁이 끊이지 않고 있고, 전 세계 강제이주민 수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처음으로 5,00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이라크와 주변지역에서는 폭력적 극단주의에 기초한 테러리즘이 만연하고 있고, 국경을 넘나드는 사이버위협, 기후변화 및 에볼라 바이러스는 인류의 삶의 터전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하버드 재단 인도주의상 수상 연설에서 “오늘날의 세계는 평화로운 공존, 그리고 하나뿐인 지구상에서의 우리의 물리적 존재에 대한 위협에 직면해 있다”고 언급한 것은 바로 이러한 연유에서입니다. 그리고 올해 일부 과학자들은 기후변화와 핵확산 위협에 대한 경종을 울리기 위해, 전 세계적인 재앙을 향한 카운트다운을 상징하는 지구종말시계(Doomsday Clock)를 11시55분에서 11시57분으로 2분 앞당기기까지 하였습니다.

오늘날 선진국과 개도국을 막론하고 모든 나라들이 인류에 중대한 위협을 가하고 있는 복합적이고 초국경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설 70주년을 맞는 유엔을 중심으로 힘을 모아야 한다는 각오를 새로이 하고 있는 것은 이러한 배경에서입니다.

(우리나라의 경험과 과제)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국제적으로 권위 있는 세계모의유엔대회가 이곳 서울에서 열리게 되는 것을 바라보는 것은 특별한 의미를 갖는 것입니다. 대한민국의 역사는 바로 유엔의 역사이기 때문입니다. 정부수립에서부터 한국전쟁, 전후 재건 과정에 이르기까지 유엔의 도움이 없었더라면 오늘날의 대한민국은 존재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오늘처럼 경제적으로 활기차고 풍요로울 뿐만 아니라 정치적으로 자유롭고 민주적인 나라, 대한민국은 유엔이 키운 자식입니다.

그러나 그 과정은 결코 쉬운 것이 아니었습니다. 우리는 수많은 도전과 장애를 극복하며 개혁과 조정의 고통스런 과정을 겪어야만 하였습니다. 오늘날 우리는 국제사회와 함께하지 않고는 풀어나갈 수 없는 도전과제들을 여전히 안고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대한민국의 성공담 이면에는 한반도의 분단이라는 그늘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불과 1시간 남짓 떨어진 곳에 핵으로 국제사회를 지속적으로 위협하고 있는 북한이 있습니다. 북한은 2013년 초반에 있었던 3차 핵실험을 정점으로 그동안 지속적으로 군사적인 도발을 해 왔습니다. 지난 한해만 북한은 280발 이상의 로켓과 미사일을 발사하였습니다. 2013년에 유엔 인권이사회에 의해 설치된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는 북한에서의 인권 침해 사례들이 ‘인도에 반하는 범죄’라는 결론을 내렸고, 작년 12월에는 유엔 안보리가 북한 상황을 공식 의제로 채택하고 이 문제를 계속 다루기로 결정한 바 있습니다.

저는 이달 초 제네바에서 개최된 군축회의(CD)와 유엔인권이사회에 참석하여, 북한이 핵개발을 포기하는 전략적 결단을 내리고, 북한 주민들이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인권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조치를 지체없이 취할 것을 촉구한 바 있습니다.

이것이 아직 한반도를 지배하고 있는 냉혹한 현실입니다. 그러나 대한민국은 불과 반세기만에 원조 받는 나라에서 원조 주는 나라로 탈바꿈할 수 있었습니다. 빈곤의 기억은 저에게 아직도 생생합니다. 한국전쟁 직후인 1955년에 태어난 저는 대한민국이 전쟁의 잿더미와 절대적인 빈곤의 고통을 딛고 일어나 산업화와 민주화를 모두 달성하는 모습을 지켜보았습니다.

대한민국은 이러한 독특한 개발경험을 토대로 선진국과 개도국간 가교로서 보다 가시적이며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역할을 하면서 지구촌 행복에 기여하겠다는 포부를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는 공적개발원조(ODA)를 늘려나가고, 특히 교육이나 경제개발 초기 단계에서 농촌사회의 근대화를 이끈 새마을운동과 같이 우리가 비교우위를 지닌 분야에서 여타 개도국들과 경험을 나눌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또한, 개도국들이 우리가 전략적 또는 정책적 실책과 오류를 범한 분야에서까지 우리의 전철을 답습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우리의 성공담뿐만 아니라, 급속한 경제 발전에서 비롯된 부작용 등 실패담도 공유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은 신뢰받는 중견국으로서의 지위를 활용하면서, 세가지 핵심 역할을 수행하고자 합니다. 첫째, 선진국과 개도국간 간극을 줄여가는 촉진자(facilitator) 역할입니다. 둘째, 개도국들이 경제 번영을 향해 가는 길에 가로놓인 제약과 장애를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후원자(supporter) 역할입니다. 셋째, 지구촌의 공공선 증진을 위해 새로운 의제를 설정하고 국제 규범을 창출하는 선도자(initiator) 역할입니다.

대한민국은 이제 개도국으로서의 제약을 극복하고 선진국 대열 합류를 목전에 두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대한민국은 글로벌 이슈와 그 해결 방안에 대해 누구보다 균형된 시각을 가질 수 있는 위치에 있습니다. 과거에 비해 국제사회가 우리의 말과 행동에 보다 주의를 기울인다는 느낌을 종종 받는 것은 아마도 그러한 이유에서일 것이며, 저는 이것이 대한만국에 대한 국제사회의 신뢰의 증거라고 믿습니다. 이러한 신뢰에 기초하여, 대한민국은 앞으로 보다 나은 세계를 만들기 위한 국제적인 노력에 있어 더욱더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해 나갈 것입니다.

(맺음말씀)

젊은 친구 여러분,

여러분은 재능의 저수지이자 열정적인 변화의 주동자입니다. 역사는 도전이 아무리 벅차 보여도 청년들의 이상과 투지, 열정이 우리에게 희망을 주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우리는 그동안 현상에 도전하는 역동적인 청년들을 끊임없이 보아 왔습니다. 소녀들의 교육받을 권리를 주장하다가 탈레반에게 피격된 파키스탄 출신의 노벨평화상 수상자 말랄라 유사프자이는 이렇게 말한 바 있습니다. “저는 총에 맞았던 소녀로 기억되고 싶지 않습니다. 불의에 맞서 당당히 일어선 소녀로 기억되고 싶습니다.” “내 인생에서 달라진 건 이것뿐입니다. 연약함과 공포, 절망은 죽고, 강인함과 힘, 용기가 태어난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여러분의 강인함과 힘, 용기가 앞으로 나아갈 길을 밝힐 것입니다. 앞으로 며칠간, 여러분 모두가 각자 뛰어난 재능과 창의성을 활용하여 토론에 열정적으로 참여하고 오늘날의 다양한 세계적 도전에 대한 창의적 해법을 모색해 보기를 기대합니다.

여러분의 집단 지혜와 창의성이 보다 평화롭고 번영된 지구촌을 향한 튼튼한 길을 닦게 되리라 확신합니다. 감사합니다.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