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국가상징
  2. 어린이·청소년
  3. RSS
  4. ENGLISH

외교부

1,2차관

제2차관, 2015 DCF 고위급심포지엄 만찬사

부서명
작성자
작성일
2015-04-10
조회수
2743

Dinner Remarks
by H.E. Cho Tae-yul
Vice Foreign Minister of the Republic of Korea
at the 2015 Development Cooperation Forum HLS
April 8, 2015

Ambassdaor Martin Sajdik, President of ECOSOC,
Ambassador George Talbot,
Under-Secretary-General Wu Hongbo,
Distinguished Guests, Ladies and Gentlemen,

First of all, I would like to thank all of you for your lively and interactive discussions today on the new paradigm of development cooperation in the post-2015 era.

I myself had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the Luxembourg High-Level Symposium in 2011 in my capacity as a member of the UN DCF Advisory Group. For this reason, today’s symposium carries special meaning for me personally.

In the course of the last four years, the landscape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has undergone remarkable changes.

Back in 2011, the global ODA had declined for the first time in 13 years in the aftermath of the international economic crisis, and, with only four years remaining until the deadline, the prospects for achieving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MDGs) were bleak and uncertain.

Earthquakes and tsunamis that ravaged northeastern Japan, the worst famine in Somalia that threatened the lives of over 12 million and the Eurozone crisis were a few of the headline news at that time, all of which cast a dark shadow over the joint efforts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promote happiness of the global village.

Nevertheless, the international community did not yield to such global challenges.

Instead, as members of the global family, we extended our helping hands to those struck by disaster.

We searched for solutions to the impending climate change, and established a set of principles to maximize the development effectiveness of aid.

Working together, we overcame the world economic crisis enabling the global ODA to rebound within two years, and fully embarked on the post-2015 process.

The agenda of this year’s DCF High Level Symposium, which is more concrete and refined than four years ago, signifies that the more crises we face, the stronger our aspiration for a better future becomes and the more know-how and wisdom accumulate in the process.

Distinguished Guests,

Over the last four years, the Republic of Korea has also witnessed significant change.

In 2011, as an emerging donor that had just joined the OECD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DAC), Korea began to align its development cooperation governance with global standards, and received its first peer review from the OECD DAC.

Korea also hosted the Fourth High Level Forum on Aid Effectiveness in Busan in the same year and contributed to the launch of the Busan Global Partnership for Effective Development Cooperation (GPEDC).

But the more surprising change was the private sector’s rapidly growing enthusiasm for participating in development cooperation.

Following Korea’s accession to the OECD DAC, the number of civil society organizations (CSO) dedicated to eradicating global poverty increased exponentially, while private companies started to devise concrete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CSV(Creating Shared Value) projects.

Many young Koreans have volunteered to work in the development cooperation field, and Korea has emerged as the second largest country, following the United States, in terms of the number of volunteers going overseas.

Moreover, when the Korean Government sought to recruit 30 health workers to help fight the devastating Ebola outbreak in Western Africa last year, 188 people applied to be part of the emergency team, vindicating the Korean people’s compassion for lending a helping hand.

Where does all this passion and energy stem from? This is a puzzle that I myself belonging to Korea’s post-war generation and having experienced poverty firsthand cannot easily figure out.

One thing I know for sure is the sense of empathy coming from Korea’s past experience of poverty and the self-confidence gained from overcoming it.

The commitment and compassion of the Korean people is undoubtedly the most invaluable asset of Korea’s development cooperation and to make full use of it, the Korean Government has strived to foster partnership with the private sector.

And today we are still working hard to provide an exemplary model for public-private partnership (PPP) in which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hold mutual trust and count on each other as reliable development cooperation partners.

Efficient and innovative PPP also lies at the heart of aligning various commitments and means of implementation, which is one of the key messages of today’s High-Level Symposium.

Distinguished Guests,

The ever-changing development cooperation environment has significantly affected the way we view poverty and the methodology employed to eradicate poverty.

Our past experiences illustrate that development cooperation has been influenced by the context of the era and the varying political and economic interests.

However, the post-2015 agenda is based upon the premise of consistency, which is starkly different from the past trajectory of development cooperation.

Universality, the basic philosophy of the post-2015 agenda, calls for the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of all stakeholders with a view to upholding human values that transcend time and space.

I believe that this is a far more profound and outstretching progress than in any other discourse or campaign in the history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 hope that all of you, representing various development cooperation stakeholders, will play a pioneering role in spreading out this spirit of universality and inclusiveness within your respective organizations and beyond. I am confident that this is the very road to enhancing the value of the DCF.

Thank you. /End/

--------------------------------------------------번역본-------------------------------------------

Martin Sajdik UN 경제사회이사회 의장님,
George Talbot 대사님,
Wu Hongbo UN 사무차장님,
내외귀빈, 신사숙녀 여러분,

[국제개발협력 환경의 변화 : Post-2015에 대한 국제적 열망]

먼저 Post-2015 시대의 새로운 개발협력에 대해 오늘 열띤 토론을 해주신 참석자 여러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저 역시 UN DCF 자문위원 자격으로 2011년 룩셈부르크 고위급 심포지엄에 참석한 경험이 있어 오늘 이 자리가 개인적으로도 각별하게 느껴집니다.

지난 4년간 국제개발협력 환경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당시에는 국제금융위기의 여파로 세계 ODA 규모가 13년만에 처음으로 감소하였고, 목표 시한을 불과 4년 앞둔 새천년 개발목표(MDGs)에 대한 전망도 불투명하였습니다.

동일본에 닥친 대재앙과 1,200만 명의 목숨을 위협했던 소말리아 기근, 유로화 위기 등 당시 신문지상을 장식했던 기사제목들은 지구촌 행복을 위한 국제사회의 공동 노력에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웠습니다.

그러나 국제사회는 이러한 지구적 도전에 굴복하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지구촌 한 가족으로서 재앙을 겪은 이들에게 인도주의적 손길을 내밀었습니다.

닥쳐오는 기후변화에 대한 해법을 함께 모색하였으며, 원조의 개발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원칙도 마련하였습니다.

경제위기를 극복하고 감소세에 있던 전 세계 ODA 규모를 2년만에 다시 반등시켰으며, Post-2015 논의도 본격적으로 가동하였습니다.

4년 전보다 정교해지고 진일보한 금년도 DCF 고위급심포지엄의 주제는 국제사회가 글로벌 위기를 겪을수록 더 나은 미래를 향한 열망이 강해지고 더 많은 교훈과 지식이 쌓인다는 걸 의미하는 것입니다.

[한국 개발협력 환경의 변화 : 한국인의 에너지와 파트너십의 중요성]

내외 귀빈 여러분,

그 사이에 한국도 많은 변화를 겪었습니다.

당시 한국은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에 막 가입한 신흥공여국으로서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개발협력 가버넌스 정비작업을 시작했고, 또 처음으로 OECD DAC의 동료검토도 받았습니다.

아울러 부산세계개발원조총회를 유치하고 부산글로벌 파트너십(GPEDC) 출범에도 기여하였습니다.

그러나 보다 놀라운 변화는 민간의 개발협력 참여 열기였습니다.

DAC 가입 이후 빈곤퇴치에 기여하고자 하는 CSO는 폭발적으로 증가하였고, 기업들도 CSR 또는 CSV 사업을 본격적으로 구상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수많은 젊은이들이 개발협력의 현장에 뛰어들었고, 한국은 미국에 이어 세계 2위의 봉사단 파견국가가 되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지난해 서아프리카의 에볼라 바이러스 발생지역에 파견할 긴급구호대 30명을 모집하는데 188명이 지원할 정도로 개발협력에의 참여 열기는 뜨거웠습니다.

한국민들의 이러한 에너지가 어디에서 연유하는 것인지, 전후 재건세대로서 빈곤을 직접 경험한 저로서도 무척 궁금합니다.

한가지 분명한 것은 가난했던 과거 경험에서 비롯된 유대감, 그리고 이를 극복함으로써 얻게 된 자신감일 것입니다.

이러한 국민들의 심성과 의지는 더없이 소중한 개발협력 자산입니다. 한국 정부는 이를 고스란히 담아내기 위해 민관 파트너십이라는 그릇을 만드는데 그 동안 각별한 정성을 쏟아왔습니다.

정부와 민간이 개발협력 파트너로서 서로를 신뢰하고 의지하는 민관 파트너십(PPP)의 모범을 보이기 위해 지금도 진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효율적이고 창의적인 민관 파트너십은 오늘 고위급심포지엄의 키워드 가운데 하나인 다양한 공약과 이행수단의 조율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입니다.

[Closing: Post-2015의 핵심철학과 DCF의 역할]

내외 귀빈 여러분,

끊임없이 변화하는 개발협력 환경은 빈곤을 바라보는 시각과 빈곤을 퇴치하기 위한 방법론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과거 국제사회의 경험 역시 개발협력이 시대적 상황이나 정치·경제적 이해관계에 영향을 받아왔음을 말해주고 있습니다.

그러나 Post-2015 어젠다는 과거 개발협력의 변천궤적과는 확연히 구별되는 일관성을 전제로 하고 있습니다.

Post-2015 어젠다의 철학인 보편성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지켜져야 하는 인간의 가치를 위해 모든 이들의 참여와 협력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는 국제개발협력사에 있어 과거 그 어떤 담론이나 캠페인보다 깊이와 폭에 있어 큰 진전을 이룬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다양한 개발협력 행위자들의 대표인 여러분들이 이러한 보편성과 포용의 정신을 내외에 확산시키는데 선도적 역할을 해 주시기를 소망합니다. 그것이 바로 DCF의 가치를 높이는 길이라고 확신합니다. 감사합니다.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