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국가상징
  2. 어린이·청소년
  3. RSS
  4. ENGLISH

외교부

1,2차관

제2차관, 2015 세계기자대회 강연문

부서명
작성자
작성일
2015-04-13
조회수
3185

Speech
By H.E. Cho Tae-yul
Vice Foreign Minister of the Republic of Korea
At the World Journalist Conference 2015

April 13, 2015
International Convention Hall, Press Center

President Park Chong-ryul,
President Jim Boumelha,
Distinguished Participants,
Ladies and Gentlemen,

In terms of historical milestones, the year 2015 is a very significant year for Korea as it marks the 70th anniversary of both national liberation and division. At this historical juncture, an event such as this one in which global opinion leaders have gathered at the heart of a divided land to engage in discussions on the prospect of its reunification holds special meaning. I would like to thank the Journalists Association of Korea for inviting me to this important event and giving me the opportunity to share my views on the Changing Geopolitical Dynamics in Northeast Asia and the Future of the Korean Peninsula.

Ladies and Gentlemen,

Germany, a divided nation until 25 years ago, has not only achieved reunification, but is also now taking the lead in the European integration process. Unfortunately, however, despite 70 years of the painful history of national division, distrust, conflict and tension still run high between the two Koreas. Moreover, the political and security environment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has never been so challenging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Today, not a single security or foreign policy issue in Korea can be addressed through a simple equation. As such, the foreign policy of the Republic of Korea faces multi-layered and multi-dimensional challenges.

The reason why Korea’s diplomacy is encountering such challenges today is because major countries in Northeast Asia are acting in mutual distrust and playing the games with new strategies and calculations aligning to their respective national power and stature amidst the changing dynamics in the region.

Northeast Asia is currently witnessing tectonic shifts in its geopolitics. More than anything else, the rapidly rising China lies at the core of such change. Backed by growing self-confidence as the second largest economy in the world, China is gradually shifting away from its discreet attitude of waiting for the right time while building strength to one that is more proactive and assertive.

The Chinese Dream that President Xi Jinping declared in his inaugural speech in 2013 is now being implemented one by one with concrete policies and actions. During his first summit meeting with President Obama in June 2013 in Sunnylands, President Xi presented the so-called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hip as the vision of the U.S.-China relationship. At the CICA summit meeting last May, he came up with a concept of a New Asian Security and at the Boao Forum this past month, he announced a detailed implementation plan for the One Belt One Road initiative and proposed to build an East Asian Economic Community by 2020 with ASEAN, China, Japan and Korea as its members. And, with many countries expressing their willingness to join the AIIB, a financial platform for the One Belt One Road initiative, the China-led regional multilateral development bank is soon expected to come into existence.

The rise of China provides new challenges to Korea’s foreign policy, the backbone of which is the Korea-U.S. alliance. The Air Defense Identification Zone (ADIZ) incident in the East China Sea in November 2013 and the recent controversy over the issue of joining the AIIB are only a few of the cases that symbolically illustrate the magnitude of such challenges. Going forward, Korea will continue to run into new challenges of a level and extent previously unknown.

However, such challenges could turn into opportunities as the Korea-U.S. alliance and the Korea-China relations are not in a zero-sum relationship. They are not only compatible, but also carry the potential to even develop into mutually complementary and reinforcing relationships depending on Korea’s role therein. President Obama made a public statement along these lines during his visit to Korea in April last year. And I believe that President Xi’s visit to Korea last July also provided an excellent opportunity for Koreans and people around the world to better understand and recognize the compatibility of the Korea-U.S. alliance and the Korea-China strategic partnership.

Second, Japan’s attempt to unshackle itself from the post-war regional order and become a normal state under the name of Proactive Contribution to Peace is exacerbating the already complicated political landscape of Northeast Asia. It is all the more so because the attempt represents historical revisionism emerging within the country today.

The results of the Japanese government’s screening of their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and the description of the Korea-Japan relations in Japan’s Diplomatic Bluebook for this year, which were both released last week, vindicate that such a move in Japan is growing even stronger with the passage of time. Adhering to a distorted historical view that can be likened to ‘calling a deer a horse’ and continuously instilling this into its future generations represents more than historical amnesia; it is an alarming sign that Japan is headed toward repeating its past mistakes.

In a seminar recently held in Tokyo, David Sanger, chief of The New York Times Washington bureau, said that in order to pursue its strategic interests, Japan must overcome the issue of enforced sexual slavery during the Second World War and that as long as the issue remains on the table, it will not be able to look towards the future. During her trip to Japan last March, German Chancellor Angela Merkel als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quarely facing up to history, pointing out that Germany was able to reconcile with its neighboring countries by clearing up its wrongdoings in the past. Many leading media and intellectuals across the U.S. and Europe have also been voicing their similar concerns in chorus. This demonstrates that Japan’s historical revisionism is raising concerns not only in Northeast Asia, but also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s a whole.

We hope that the Japanese Government will take heed of these voices from across the world. The past mirrors the present and the future. Without healing the wounds of the past, we cannot anticipate a healthy future. In an interview with the Washington Post last March, Prime Minister Abe described the “comfort women” as victims of “human trafficking”. We sincerely hope that his failing to mention who committed such crimes was not an attempt to blame the private brokers and deny the Japanese government’s involvement and responsibility.

Notwithstanding the conflict over historical issues between the two countries, significant progress has been made in the trilateral cooperation among Korea, Japan and China. The Trilateral Foreign Ministers’ meeting held in Seoul last March after three years of hibernation has restored the trilateral cooperation mechanism. At this meeting, the three foreign ministers agreed to work towards a trilateral summit at the earliest possible date. This achievement was made possible thanks to Korea’s leadership, initiative and tireless effort as chair, for which both Japan and China have expressed their appreciation.

We hope that the Korea-Japan relations will move gradually towards improvement within the trilateral, if not bilateral, cooperation framework. We also hope that Prime Minister Abe’s forthcoming speech to the U.S. Congress and his statement expected to be made in August will confirm Japan’s willingness to face up to its past with a forward-looking attitude towards genuine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It is our earnest desire that these events will transpire to be an occasion to move one step forward rather than backward so that our two peoples can joyfully celebrate together the 50th anniversary of the normalization of diplomatic ties between the two countries this year.

Third, the conflict between Russia and the West in the aftermath of the Ukrainian crisis is posing another great challenge for Korea’s diplomacy.

Some even refer to the developments following Russia’s annexation of Crimea as the “return of history” or “return to the Cold War”. The confrontation between Russia and the West has been intensifying to the point that Russia declared early on that it will not be attending the Nuclear Security Summit to be held in the U.S. in 2016. The current situation demands of Korea prudent and skillful diplomacy. After all, Russia is Korea’s important partner not only in resolving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but also in our pursuit of Trustpolitik and realizing the vision of a reunified Korea. Moreover, this year is the 25th anniversary of our diplomatic relations. Therefore, it is all the more important that Korea and Russia, with a shared vision for and commitment to the future, make joint efforts to keep our bilateral relations on track towards stable, long-term development.

This coming July, the Eurasia Silk Road Friendship Express will depart from Seoul and run through major cities in Russia, China and Europe. Projects for trilateral cooperation among the two Koreas and Russia, such as the Najin-Hasan Project, will also continue to be pursued. These projects are significant as they can promote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continents and contribute to building the foundation for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refore, we will continue to work closely with Russia for their successful implementation.

Finally, a bigger challenge to our diplomacy than the three challenges I have mentioned is North Korea, which has yet to give up its nuclear ambitions and has been continuing to heighten tension on the Korean Peninsula, refusing to engage in dialogue.

Notwithstanding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united stance and sanctions against its nuclear weapons program, since Kim Jong-un assumed power, North Korea has been simultaneously pursuing economic development and nuclear armament, threatening not only the South, but the rest of the world as well.

North Korea has also become a subject of serious concern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or its human rights situation. Last year was a special year in terms of bringing this issue forward under international scrutiny. Based on the recommendations of the Commission of Inquiry (COI) on the human rights situation in North Korea, which was set up by the UN Human Rights Council, the UN General Assembly adopted a resolution on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situation. Even the UN Security Council adopted the situation in North Korea as its formal agenda. Despite these warnings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concerning the grave human rights violations perpetrated by its authorities, North Korea has reacted belligerently by threatening to wage a nuclear war, posing a new menace to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While responding firmly to such provocations by the North, we have been making continuous efforts to give dialogue a chance to improve inter-Korean relations. In particular, in the hopes of using the 70th anniversary of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s an opportunity to substantially improve the relations between the two Koreas, we have proposed to hold an inter-Korean dialogue without any preconditions and discuss issues of mutual interest in a comprehensive manner.

North Korea, however, has been refusing to accept our proposal by insisting on preconditions, such as the suspension of the annual joint Korea-U.S. military exercises and anti-North Korean NGO’s sending of propaganda leaflets into the North. We cannot help but feel a deep sense of despair when looking at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engrossed in developing nuclear weapons, while turning a blind eye to the plight of its own people whose human rights are being seriously violated and the tragic reality of thousands of separated families passing away every year.

As such, Korea’s diplomacy is now faced with multi-faceted, but closely intertwined challenges. From a broader perspective, however, such challenges imply that Korea’s strategic value has increased as much. Therefore, as Korea’s national power and global stature rises, diplomatic challenges will pour in with greater force and speed. However, as Winston Churchill once said, “Kites rise highest against the wind, not with it”. I believe that such challenges will provide invaluable opportunities for Korea to expand the scope of its diplomacy.

Ladies and Gentlemen,

Referring to the collapsing international order, the Munich Security Report released early this year warned that an era of unprecedented level of crises is on the rise. The report went so far as to compare the Asia-Pacific region to a powder keg. At its very heart lies the Korean Peninsula. Yet, the future of the Korean Peninsula is not as bleak as it appears as opportunities always accompany danger.

In hindsight, almost every two decades, the Korean Peninsula has encountered historical opportunities to seek fundamental change in inter-Korean relations.

In the 1970s, amid the détente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inter-Korean relations experienced a brief thawing period producing the July 4th Joint Communique, the first-ever document jointly signed and announced by the two Koreas. And in the 1990s in the wake of the end of the Cold War, further progress was made in improving the relations, including the adoption of the Basic Agreement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These two periods were both marked by major change to the international order, but fell short of bringing about fundamental changes to the relations between the two Koreas. Now, twenty some years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I believe that another historical turning point is approaching the Korean Peninsula. In Northeast Asia today, just as in the 1970s and 1990s, another geopolitical tectonic shift is taking place, as the rise of China indicates.

It was in this context that at the New Year press conference and later at the Davos Forum early last year, President Park Geun-hye compared reunification to winning the jackpot. And in her Dresden speech during her visit to Germany in April, she presented the Initiative for Peaceful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known as the Dresden Initiative. A series of follow-up measures, including the launch of the Presidential Committee for Unification Preparation have since been implemented. All of these stem from her sense of historical mission as a leader standing at a critical time in history calling on us to make necessary preparations for the future of the Korean peninsula.

With this historical perspective, the Park Geun-hye government is committed to overcoming the security challenges in Northeast Asia that I mentioned earlier with the vision and strategy envisioned in our Trustpolitik, and to proactively creating an environment conducive to reunification. Such efforts will be guided by the following three principles.

First, a balance between peace-keeping and peace-making. As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continues for a protracted period, previous administrations took different approaches to North Korea. Some focused on peaceful management of a divided nation rather than reunification per se, whereas some others made focused efforts to break the status quo. The Park Geun-hye government’s policy towards North Korea is a balanced approach that encompasses both approaches without tilting to one side. Based on strong deterrence, we will respond firmly to North Korea’s provocations, while proactively cre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North Korea has no other choice but to change, and faithfully execute small but meaningful trust-building measures.

Second, a unification policy focusing on improving quality of people’s life. President Park’s Dresden Initiative contains actionable proposals to address the humanitarian issues of the people of the two Koreas, to build infrastructure to improve the livelihood of the North Korean people, and to restore a sense of unity and deepen integration between the peoples of the two Koreas. If North Korea shows any interest at all, these proposals can be executed at this very moment. President Park’s proposal in her Liberation Day speech last year to set up a channel for inter-Korean cooperation on environment, livelihood and culture, and the proposal in her Independence Movement Day speech this year to hold periodic reunions of separated families, promote exchange in sports, culture and arts and strengthen cooperation in improving livelihoods, were all made with the goal to realize “small unification”.

Third, reunification that is in harmony with the interests of neighboring countries, is bless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contributes to humanity as a whole. As Foreign Minister Yun Byung-se emphasized in his speech at the Davos Forum on the vision of reunification earlier this year, reunification of Korea will be a geopolitical blessing. A unified Korea will be a herald of peace and a bastion of freedom, democracy and human rights. When the abundant natural resources and diligent human resources of North Korea are combined with our state-of-the-art technology and creative entrepreneurship, it will not only serve as a catalyst for growth of the Korean economy, but will also generate new economic opportunities for neighboring countries. Northeast Asia will then enjoy peace and prosperity, and the whole world will be able to share the resulting peace dividends.

The Korean government will actively communicate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vision and benefits of a unified Korea, expand networks that can be of substantial assistance to Korea’s unification and thereby further strengthen the base for international support towards Korean reunification. Building on the outcome of the two meetings of the Korean-German Advisory Group on the Foreign Policy towards Reunification, we will continue to reinforce strategic cooperation with the countries relevant to the future of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such channels as the Korean Peninsula Club and Peace Club, channels for dialogue with countries maintaining diplomatic relations with both Koreas.

The Dresden Initiative I mentioned earlier, and the Northeast Asia Peace and Cooperation Initiative (NAPCI) which constitutes one of the two key pillars of the Park Geun-hye government’s Trustpolitik aim to build an infrastructure of trust by accumulating small but meaningful practices of cooperation and dialogue that will help dismantle the current structure of distrust and confront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

Some question whether such attempts are realistic at all given the grim political situation in the region. Some others also question whether or not the approaches are too idealistic. However, we are all aware of many cases where age-old conflicts have been resolved or a different path of history has been paved by building trust.

We may not immediately see tangible results, and the progress may be rather slow. But, looking far into the future, we will continue to pursue this peace-building initiative across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 with patience and unwavering determinatio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 rebuilt on an infrastructure of trust, will be able to break out of the Asia Paradox to fully fulfill its potential, and thereby mak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global peace and prosperity.

Ladies and Gentlemen,

The theme of today’s discussion, Korea’s reunification, is not a mere dream, but a future that the Korean people are committed to realizing. Pope John Paul II famously remarked that “the future starts today, not tomorrow”. The future belongs to those preparing for it at this very moment. If we fail to properly prepare for the future today, then we will painfully regret having lost the golden opportunity for Korean reunification.

I hope that today’s event will be an opportunity to gather our wisdom to prevent such regret. Thank you. /END/

--------------------------------------(번역본)--------------------------------------

박종률 한국기자협회 회장님,
짐 보멜라(Jim Boumelha) 국제기자연맹 회장님,
세계 각국에서 참석해주신 기자 여러분,
그리고 내외 귀빈 여러분,

금년은 한반도에 있어 광복 70주년이자 분단 70년을 맞는 매우 의미 있는 해입니다. 역사적인 해에 전 세계의 오피니언 리더이신 여러분들이 분단의 현장에 모여 한반도의 통일을 주제로 토론을 갖는 것은 특별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뜻 깊은 자리에 저를 초청하여 주시고 <변화하는 동북아 질서 속에서의 한반도 미래>에 대한 소견을 말씀드릴 기회를 주신 한국기자협회 측에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같은 분단국이었던 독일이 25년전 통일을 이루고 이제는 유럽통합을 선도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분단 70년을 맞은 한반도에는 아직도 불신과 갈등, 긴장이 해소되지 않고 있습니다. 더욱이 한반도를 둘러싼 외교안보환경은 냉전 종식 이후 그 어느 때보다도 엄중한 상황입니다. 외교안보현안들 중 그 어느 하나도 이제 단순방정식으로는 풀 수 없을 만큼, 오늘날 대한민국 외교는 중층적이고 다차원적인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 동북아 외교안보 환경과 도전

오늘날 우리 외교가 이처럼 도전을 받고 있는 것은 동북아 지역의 주요국들이 상호 불신 속에서 각자의 국력과 위상의 변화에 맞추어 새로운 전략과 셈법에 따라 행동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동북아는 지금 지정학적 지각 변동을 목도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급속히 부상하고 있는 중국이 역내 지정학적 변화의 핵심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중국은 세계 2위로 부상한 경제력을 바탕으로 때를 기다리며 힘을 기르던 종전의 신중한 자세에서 보다 상황 주도적이고 적극적인 대외정책으로의 변화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시진핑 주석이 2013년 취임사에서 천명한 <중국의 꿈>은 구체적인 정책을 통해 하나씩 실천에 옮겨지고 있습니다. 시 주석은 2013년 6월 미국 서니랜드에서 열린 오바마 대통령과의 첫 정상회담에서 <신형대국관계>를 제안하였고 작년 5월에는 CICA 회의에서 <신아시아안보> 개념을 제시하였습니다. 금년에는 3월말 보아오 포럼에서 <일대일로(One Belt One Road)> 구상의 세부 추진계획을 발표하고 2020년까지 아세안과 한중일 3국간 <아시아경제공동체>를 설립할 것을 제안하였습니다. 또한, 일대일로 구상의 금융 플랫폼으로 제안한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에 다수국들이 가입의사를 표명하면서 중국 주도의 역내다자개발은행이 머지 않은 장래에 탄생할 전망입니다.

한미동맹을 외교정책의 근간으로 삼고 있는 우리에게 중국의 부상은 새로운 외교적 도전들을 안겨 주고 있습니다. 2013년 11월에 있었던 동중국해 방공식별구역(ADIZ) 문제와 최근의 아시아인프라 투자은행(AIIB) 참여 문제 등은 이러한 도전들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몇가지 사례에 불과합니다. 우리는 앞으로도 끊임없이 과거에 경험하지 못했던 수준과 폭의 새로운 도전에 봉착하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도전들은 동시에 기회이기도 합니다. 한미동맹과 한중관계는 제로섬 관계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양자관계는 완전히 양립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한국의 역할에 따라서는 상호 보완적이고 추동하는 관계로까지 발전할 수 있는 것입니다. 오바마 대통령도 작년 4월 방한시 이러한 취지의 언급을 한 바 있고, 7월 시진핑 주석의 방한도 양자관계의 양립가능성에 대한 국민적 이해와 국제사회의 인식을 제고하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고 생각됩니다.

둘째로, 전후 체제에서 탈피하여 정상국가로 탈바꿈하고자 <적극적 평화주의>라는 이름 아래 진행되고 있는 일본의 역사수정주의 움직임은 동북아 정치 지형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지난주에 발표된 일본 중학교 교과서 검정 결과와 외교청서 의 한일관계 기술 내용은 이러한 일본의 행보가 수그러들기 보다는 오히려 강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사슴을 말이라고 하는 왜곡된 역사관을 고집하면서 일본의 자라나는 세대에게까지 이를 지속적으로 주입하려는 것은 과거의 잘못을 되풀이하겠다는 것이나 다름없는 것입니다.

얼마 전 동경에서 개최된 한 세미나에서 데이비드 생어(David Sanger) 뉴욕타임즈 워싱턴 지국장은 <일본이 전략적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를 극복해야 하며, 이러한 논의가 지속되면 미래로 눈을 돌릴 수가 없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3월초 방일한 메르켈 총리도 독일이 주변국과 화해할 수 있었던 것은 과거와 정면으로 마주했기 때문임을 지적하며 올바른 역사인식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습니다. 미국과 유럽의 유수 언론과 지식인들도 한 목소리로(in chorus) 이같은 우려를 표명하고 있습니다. 이는 일본의 역사수정주의가 동북아를 넘어 국제사회 전체의 우려를 낳고 있음을 보여 주는 것입니다.

우리는 일본 정부가 이러한 국제사회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기 바랍니다. 과거는 현재와 미래의 거울이며 과거의 상처를 치유하지 않고 건강한 미래를 기대할 수는 없습니다. 우리는 지난 3월 말 아베 총리가 워싱턴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행위의 주체를 언급하지 않은 채 군대 위안부를 <인신매매(human trafficking) 희생자>라고 부른 것이 이 문제의 책임을 민간업자들에게 돌리고, 일본 정부의 관여와 책임을 부인하려는 의도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역사문제를 둘러싼 양국간 갈등 속에서도 한가지 다행스러운 것은 한일중 3국간 협력에 있어서는 의미있는 진전이 있었다는 것입니다. 지난 3월말 3년이라는 긴 침묵을 깨고 한일중 외교장관회의가 서울에서 개최되어 한일중 3국 협력이 복원되었습니다. 이 회의에서 3국 외교장관들은 가능한 한 빠른 시일 내에 3국 정상회의 추진을 위해 노력하기로 합의하였습니다. 이러한 성과는 의장국인 한국의 주도로 이루어졌고, 일·중 양국은 이를 가능케 한 우리의 리더십을 평가해 주었습니다.

우리는 한일관계가 한일중 3국관계의 틀 속에서라도 조금씩 개선의 방향으로 나아가길 기대합니다. 아울러 곧 있을 아베 총리의 미 의회 합동연설과 8월로 예상되는 담화가 역사를 직시하면서 진정한 화해와 협력을 위해 나아가는 일본의 미래지향적 자세를 확인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합니다. 부디 한 발 후퇴가 아닌 한 발 전진하는 계기가 되어, 양국 국민들이 국교정상화 50주년인 올 한 해를 함께 기쁜 마음으로 축하할 수 있게 되기를 충심으로 기원합니다.

셋째,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러시아와 서방의 갈등도 우리 외교에 큰 도전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러시아의 크림반도 병합 이후의 사태 진전 상황을 두고 일각에서는 <역사의 귀환>, <냉전으로의 회귀>라는 말까지 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러시아가 2016년 미국에서 개최되는 핵안보 정상회의에 불참할 것을 일찌감치 선언하는 등 러시아와 서방 간 대립이 더욱 격화되고 있어, 우리에게는 매우 신중하고 능숙한 외교가 요구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러시아는 북핵문제의 해결뿐만 아니라 우리의 신뢰외교 추진과 한반도 통일의 꿈을 달성하는데 소중한 파트너이기 때문입니다. 더욱이 올해는 수교 25주년이기도 한 만큼, 한러 양국이 미래에 대한 확신을 갖고 양국 관계의 안정적 발전을 위해 함께 노력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금년 7월에는 <유라시아 친선특급>이 서울을 출발해 러시아와 중국 및 유럽의 주요 도시를 경유할 예정이며, 나진-하산 물류협력사업 등 남북러 3각 협력도 지속적으로 추진될 것입니다. 이러한 사업들은 대륙간 연계성을 증진하고 한반도 통일 기반 조성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므로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러시아측과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앞서 언급한 세 가지 요인 보다 우리의 외교에 더 큰 도전 요인은 핵 야망을 포기하지 않고 한반도 긴장 상황을 지속적으로 고조시키며 대화를 거부하고 있는 북한입니다.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은 북핵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와 제재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핵·경제 병진노선을 추구하며 한반도뿐만 아니라 전세계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북한은 인권문제에 있어서도 국제사회에서 심각한 우려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지난해는 북한 인권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논의에 있어 특별한 의미를 갖는 해였습니다. 유엔인권이사회에 의해 구성된 북한인권조사위(COI)의 권고를 토대로 북한 인권문제에 관한 유엔총회 결의안이 채택되었고, 북한 상황이 유엔 안보리 의제로 채택되기까지 하였습니다. 국제사회가 북한 정권 차원의 심각한 인권침해를 지적하고 북한에 경고의 메시지를 보냈음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핵전쟁을 위협하는 등 격렬한 반응을 보이면서 국제 평화와 안전에 새로운 위협을 가하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는 북한의 이러한 위협에 단호히 대처해 나가면서 한편으로는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대화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여 왔습니다. 특히 분단 70년을 맞은 금년을 남북관계를 실질적으로 개선하는 전기로 삼고자 북한에 대해 전제조건 없이 남북대화를 개최하여 상호 관심사를 포괄적으로 논의할 것을 제의한 바 있습니다.

그러나 북한은 한미연합훈련 중단, 대북 전단살포 중지 등 전제조건을 내세우면서 우리의 대화제의를 거부해 오고 있습니다. 인권을 유린당하고 있는 북한 주민의 고통과 매년 수천 명에 달하는 이산가족들이 세상을 떠나고 있는 비극적 현실을 외면한 채 핵 개발에 여념이 없는 북한 당국을 보며 우리는 깊은 절망감을 느끼지 않을 수 없습니다.

이처럼 우리 외교는 다면적이지만 상호 연계되어 있는 도전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큰 틀에서 보면, 이러한 도전들은 우리의 전략적 가치가 그만큼 커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우리의 힘이 커지고 위상이 높아질수록 외교적 도전은 더욱 더 강도 높게, 빠른 속도로 우리에게 다가 올 것입니다. 하지만 <연은 순풍이 아니라 역풍에 가장 높이 난다>고 했던 처칠 수상의 말처럼 이러한 도전들은 우리 외교의 공간을 더욱 넓혀 갈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이라고 믿습니다.

□ 한반도의 미래와 통일 시대를 여는 글로벌 신뢰외교

내외 귀빈 여러분,

금년 초 뮌헨안보보고서는 무너지는 국제질서를 언급하며 전례 없는 위기의 시대를 경고하였고, 아태지역을 화약고(powder keg)에 비유하기까지 하였습니다. 바로 그 한 가운데에 한반도가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반도의 미래가 암울하지 않은 이유는 이러한 역경은 항상 기회를 동반하기 때문입니다.

돌이켜보면 한반도는 그동안 대략 20년을 주기로 남북관계의 근본적 변환을 모색할 수 있는 역사적 기회를 경험하였습니다.

70년대 동서데탕트 분위기 하에서 7.4 남북 공동성명이 발표되는 등 일시적 해빙기를 겪었고, 90년대에도 냉전 종식을 계기로 남북관계 기본합의서가 채택되는 등 일부 관계 진전을 이루었습니다. 두 번 모두 국제질서에 중대한 변화가 있었던 시기였으나 남북관계에 근본적인 변화를 이끌어내지는 못하였습니다. 저는 냉전 종식 후 20여년이 지난 지금 한반도가 또 다른 역사적 변환기를 맞이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70년대와 90년대가 그러했듯이 오늘날 동북아 지역에서는 중국의 부상으로 상징되는 또다른 지정학적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있기 때문입니다.

작년 초 박근혜 대통령께서 신년기자회견과 다보스 포럼에서 제시하신 <통일대박론>과 독일 방문시 드레스덴 연설을 통해 제시하신 <한반도 평화통일 구상>, 그리고 <통일준비위원회> 출범을 포함한 일련의 후속조치들은 현 시점이 한반도의 미래를 준비해야 할 중차대한 시기라는 역사적 소명의식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이러한 인식하에, 박근혜 정부는 앞서 언급한 동북아의 안보 환경적 도전들을 신뢰외교로 지혜롭게 극복하고, 한반도 통일을 위한 주변 환경을 적극 만들어 나가고자 합니다. 그러한 노력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기조 위에서 추진될 것입니다.

첫째, 평화 지키기(peace keeping)와 평화 만들기(peace making)의 균형입니다. 그동안 한반도 분단이 장기화되면서 통일보다는 분단의 평화적 관리에 초점을 두는 정부도 있었고, 반대로 분단의 현상을 타파하는데 집중적인 노력을 기울인 정부도 있었습니다. 박근혜 정부의 대북 정책은 이중 어느 한쪽에도 치우치지 않고 양자를 모두 아우르는 균형된 정책입니다. 강력한 억지력을 토대로 북한의 도발에는 단호히 대응하되, 북한이 변화할 수밖에 없는 환경을 적극적으로 조성해 나가면서 작지만 의미 있는 신뢰구축 조치들을 착실히 추진해 나갈 것입니다.

둘째, 주민들의 삶에 초점을 맞춘 통일 정책입니다. 박근혜 대통령의 드레스덴 구상은 남북한 주민들의 인도적 문제를 해결하고, 북한 주민들의 민생 개선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며, 남북 주민간 동질성을 회복하기 위한 실천적 제안들을 담은 것으로서 북한이 호응한다면 당장이라도 실현 가능한 구상입니다. 박 대통령께서 작년 8.15 경축사에서 제시하신 남북 간 환경·민생·문화 통로 구축 제안과 금년 3.1절 기념사에서 제시하신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스포츠, 문화, 예술 분야 교류 및 민생차원의 협력 확대 제의는 <작은 통일>부터 이루어 나가자는 취지에서 이루어진 것입니다.

끝으로, 주변국들의 이해와 조화를 이루고, 국제사회로부터 축복을 받으며, 인류 전체에 기여하는 통일입니다. 금년 다보스 포럼에서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통일비전 연설에서 밝혔듯이 한반도 통일은 지정학적 축복이 될 것입니다. 통일한국은 평화의 전령이자 자유와 민주주의, 인권 수호의 보루가 될 것입니다. 북한의 풍부한 자원과 근면한 인력이 우리의 첨단 기술 및 창의적 기업가 정신과 결합하여 한국 경제성장의 기폭제가 될 뿐만 아니라 주변국에게도 새로운 경제적 기회를 제공하게 될 것입니다. 그리하여 동북아지역은 평화와 번영을 누리고 전세계는 평화배당금을 나누어 가지게 될 것입니다. 우리 정부는 통일 한국이 제시하는 비전과 혜택을 국제사회에 널리 알리고 한반도 통일에 실질적 도움이 되는 네트워크를 확충하여 통일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지기반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입니다. 이미 두 차례 개최된 한·독 통일외교정책 자문위원회의 성과를 토대로 한반도 클럽, 평화클럽 등 한반도 미래 관련국들과의 전략적 협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고자 합니다.

앞서 말씀드린 <드레스덴 구상>과 박근혜 정부 신뢰외교의 양대 축의 하나인 <동북아평화협력구상>은 한반도와 동북아에서 작지만 의미 있는 협력과 대화의 관행을 축적하여 신뢰의 인프라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갈등과 대립의 구도를 완화하려는 것입니다.

냉엄한 동북아 정세 속에서 이런 시도가 과연 현실성이 있는 것인지, 지나친 이상주의적 접근은 아닌지 의문을 제기하는 분들이 계십니다. 그러나 우리는 신뢰구축을 통해 오랜 갈등이 해소되거나 역사의 방향이 전환되었던 많은 사례들을 이미 알고 있습니다.

그 성과가 당장은 손에 잡히지 않고 진전이 다소 더딜지라도, 우리는 먼 장래를 내다보며 한반도와 동북아에서 이러한 <평화 만들기> 작업을 인내심을 가지고 흔들림 없이 추진해 나갈 계획입니다. 신뢰의 인프라 위에 다시 선 한반도와 동북아는 아시아 패러독스의 굴레를 벗고 그 잠재력을 온전히 발휘함으로써 세계의 평화와 번영에 진정으로 기여하게 될 것입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오늘의 주제인 통일은 단순한 꿈이 아니라 한민족이 함께 만들어가야 할 미래입니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명언처럼 <미래는 내일이 아니라 오늘부터 시작>되는 것이며, 그러한 미래는 바로 지금 이 순간 준비하는 자의 몫입니다. 오늘 우리가 제대로 미래를 준비하지 못할 경우 한반도 통일을 위한 절호의 기회를 놓치고 훗날 뼈아픈 후회를 하게 될지도 모릅니다.

오늘 이 자리가 그러한 후회를 예방할 수 있는 지혜를 모으는 자리가 되기를 소망합니다. 감사합니다.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