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국가상징
  2. 어린이·청소년
  3. RSS
  4. ENGLISH

외교부

1,2차관

제2차관, ‘유엔의 날(10.24)’ 기념오찬회 기조연설

부서명
작성자
작성일
2014-10-24
조회수
2462


Remarks
by H.E. Cho Tae-yul
Vice Foreign Minister of the Republic of Korea
at a Luncheon
on the occasion of the 69th United Nations Day


October 24, 2014


Ambassador Lee Ho-jin, Vice President of UNA Korea, Ambassador Park Soo-gil, President of WFUNA, Prime Minister Lee Hong-koo, Minister Yoo Chong-ha, Dr. Kim Hak-su, Dr. Shamshad Akhtar, Executive Secretary of ESCAP, Excellencies, Distinguished Guests, Ladies and Gentlemen,

Let me first congratulate you on the 69th United Nations Day. I would like to thank Ambassador Lee Ho-jin and his staff at the UN Association Korea for their hard work to organize this special event. I would also like to express my gratitude to Executive Secretary Ahktar for taking the time out of her busy schedule to join us today.

As you all know, next year marks the 70th anniversary of the foundation of the United Nations. Seventy years of age is often referred to as jongshim in Korea, which means that one is mature enough to follow the heart’s desire without transgressing the norm.

Regrettably, however, the face of today’s world that the 70-year old UN has been looking after is a far cry from what jongshim is supposed to mean and what was envisioned by the founders of the United Nations.

In particular, the horrors we are witnessing as conflicts rage on in Syria and Iraq, as well as the unprecedented spread of the Ebola virus are emerging as challenges posing a grave threat not only to the security and survival of a single nation, but to humanity as a whole. In order to address these new threats, I believe that the UN should retrace its steps back to the spirit of humanism.

As Pope Francis emphasized during his visit to Korea last August, “Our understanding of the common good, of progress and development must ultimately be in human terms and not merely economic terms.” This is also in line with what President Park Geun-hye mentioned in her keynote address at the 69th Session of the UN General Assembly in New York last September, “The need to push back against these harmful challenges to peace and development beckons us to return to the UN’s founding spirit of putting people first and promoting cooperation among the family of nations.”

The September UN General Assembly meeting was the first for President Park ever to attend since her inauguration and her address at the UN carries the following two key messages.

The first message is that the core values upheld by the UN--peace, human rights and development-- are exactly what Korea espouses as its own vision.

The history of the Republic of Korea is the very history of the UN. Had there been no help from the UN from the time of its foundation, to the Korean War, and in the post-War reconstruction process, the Republic of Korea as it stands today would not be existent. The Republic of Korea, the only country to have achieved both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simultaneously, is a child that the UN has nurtured. Given that it has grown under the guidance and aspirations of the UN, the Republic of Korea should and will play a greater role in shaping the world into the one that the UN founders dreamed of.

The second message is that a unified Korea is what should be realized by working closely together with the UN.

The UN is a living witness of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It has always been at the heart of international efforts to resolve the conflicts transpiring on the Korean Peninsula, starting from the Korean War to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today. The Korean Peninsula issue is also intertwined with the key objectives of the UN -- peace, human rights and development. It was against this backdrop that in her address at the UN, President Park expressed anticipation that the UN will play a greater role in resolving the problems on the Korean Peninsula. After all, a peaceful unification of Korea will help to attain the goals and values of the UN.

Distinguished Guests,

Today’s event reminds me of the three scenes at the UN General Assembly meeting of last September that carried special meaning to all Koreans.

The first scene was captured in a snapshot of President Park Geun-hye, UN Secretary-General Ban Ki-moon and World Bank President Jim Yong Kim taken together.

In the thematic session on climate financing at the UN Climate Summit which was convened to address the common challenge of humanity, the three leaders of Korean origin sat together on the podium. President Park was there to co-chair the session, while the other two leaders to deliver their speeches as the heads of the UN and the World Bank, respectively.

The second scene was the UN Security Council summit meeting in which President Park participated and spoke for the first time as a Korean president.

At the Security Council meeting chaired by President Obama, President Park discussed international security issues side-by-side with the leaders of other major countries. When the Security Council meeting was convened on June 25, 1950 to decide on the fate of Korea, there was no nameplate for us in the room. Sixty four years later, a Korean President was speaking in the very meeting of the Security Council as its elected member.

The third scene was the MIKTA Foreign Ministers’ Meeting that was chaired by Foreign Minister Yun Byung-se.

MIKTA is a group of like-minded middle or pivotal powers that was established under Korea’s initiative in September last year on the sidelines of the UN General Assembly together with Mexico, Indonesia, Turkey and Australia. And a year later, Korea’s Foreign Minister in his capacity as MIKTA’s coordinator was presiding over the discussions on major global issues such as the conflicts unfolding in Iraq and Syria and the Ebola outbreak.

These three scenes provide an eloquent testimony to the transformation of Korea’s global standing. Moreover, only two decades after being formally admitted to the UN, Korea has now become an active member of the UN’s three major councils -- Security Council, Human Rights Council and Economic and Social Council. On top of this, at present, the Secretary-General of the UN is Korean. It would, therefore, be no exaggeration to say that Korea’s multilateral diplomacy is now enjoying its golden era.

I am wondering, however, whether we have the full capacity to pursue multilateral diplomacy that befits a country of our stature. Are we not neglecting the role tha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expects from us while we are too engrossed in bilateral issues with big powers? Are we not idling away the valuable assets we possess and can effectively use for our multilateral diplomacy?

In my view, we need to create more added value in our multilateral diplomacy by drawing upon our unique experiences in political and economic development and fully taking advantage of our status as a trusted middle power. And to this end, the focus should be placed on the following three roles.

First, the role of facilitator.

Korea is the only country which has transformed itself from an aid recipient into a full-fledged donor country in a span of only half a century. For this reaso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high regard and expectations towards us, which we should fully utilize as valuable asset. In international discourse on all the global issues, therefore, we need to play a more active role as a bridge in facilitat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and seeking a reasonable compromise that strikes a balance between the conflicting interests of both sides.

Second, the role of supporter.

More than anyone else, we understand and sympathize with the pains and difficulties that developing countries need to undergo on the path towards economic development and political democratization. We learned, from our own experiences, what are the major constraints and bottlenecks, and what it takes to overcome the challenges lying in the quest for a developing country to join the ranks of developed countries. Such knowledge is an asset unique to Korea that cannot be easily emulated by any other country. Therefore, we need to look at the global issues through the lens of our development experiences, seek out a value-adding role that only Korea can play, and make proactive contributions to promoting the common good of the global community. In particular, when reaching out to developing countries, we should remain humble and show respect and empathy, while helping them resolve their problems and stand on their own. This in turn will help to win their hearts and minds.

Third, the role of initiator.

Korea is now on the verge of becoming a developed country having overcome the constraints of a developing country. Therefore, Korea is better poised to have a balanced perspective on global problems and ways to resolve them. This is probably the reason why we often feel that other countries are more attentive to our words and actions compared to the past. Based on this trust, we should seek a more proactive role in mapping out new agenda to promote global public goods and in creating international norms.

The 2012 Seoul Nuclear Security Summit and the 2013 Seoul Cyberspace Conference are cases of Korea, as a middle power, making visible contributions to global issues that are in a nascent stage of norm-setting or awareness-raising. The Global Health Security Agenda (GHSA) and the World Education Forum (WEF) that we will host in 2015 are further opportunities for Korea to make meaningful steps forward to play a greater role as an agenda-setter.

Earlier this year,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shared this vision of multilateral diplomacy with our overseas missions. And today each mission is implementing its concrete action plan to engage in more active multilateral diplomacy. Instructions were given not only to our missions engaging in multilateral diplomacy, but also to the embassies dealing with bilateral issues to be more creative and proactive in multilateral diplomacy. In particular, our embassies abroad were instructed to seek a contributing role on the multilateral issues that the host government attaches an importance to and actively engage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or their regional offices hosted by the countries they are accredited to.

We will periodically review the progress made by each mission so that our multilateral diplomacy, armed with a new vision and action plan, can become more visible and relevant in the global scene. I am confident that these small yet meaningful changes will accumulate and bring about a greater change in our multilateral diplomacy in the not- too-distant future.

Distinguished Guests,

As Secretary-General Ban Ki-moon frequently points out, the global community is confronted with “an oversupply of problems and a deficit of solutions.” To resolve this problem, a robust multilateral cooperation and partnership is needed more than ever before.

Korea will actively participate in international efforts to resolve global issues and make its own contribution by playing the three roles I have just elaborated on -- the roles of facilitator, supporter and initiator -- in a creative and strategic manner.

At the end of this year, Korea’s non-permanent membership of the Security Council comes to an end. But we will continue to play our due role in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of mankind with a sense of responsibility, as President of ECOSOC, Executive Board of UNHCR, UNCITRAL, and State Parties of the Convention of the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CRPD) as well as member of Human Rights Council and the Peace Building Commission (PBC), etc.

By building a multi-layered web and broad partnership with like-minded countries, Korea is also committed to walking on a difficult yet meaningful path together with the UN as its indispensable partner to build a happy global village. As we walk this road, I am confident that you will remain a strong supporter and reliable partner as ever. Thank you. /END/

--------------------------------------------------------


제69회 유엔의 날 오찬 연설


이호진 유엔한국협회 부회장님, 박수길 유엔협회세계연맹 회장님, 이홍구 총리님, 유종하 장관님, 김학수 사무총장님, Shamshad Akhtar UNESCAP 사무총장님, 주한 외교사절 및 내외귀빈 여러분,

먼저 제69회 유엔의 날을 축하드립니다. 그리고 오늘 이 특별한 자리를 마련해 주신 이호진 유엔한국협회 부회장님과 행사 준비를 위해 애써주신 협회 직원 여러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아울러 분주한 일정 가운데서도 오늘 행사에 참석하여 주신 Akhtar UNESCAP 사무총장께도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여러분들도 아시다시피, 내년은 유엔 창설 7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사람의 나이로 치면 종심(從心)에 해당하는데, 뜻대로 행해도 어긋나지 않을 정도로 완숙해지는 나이라는 뜻입니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유엔이 지난 70년간 정성스럽게 보살펴 온 지금의 지구촌 모습은 종심이 의미하는 바와 유엔의 창설자들이 꿈꾸었던 세상과는 거리가 멉니다.

특히, 시리아 내전과 이라크 사태에서 우리가 목격하고 있는 참상과 에볼라 바이러스와 같은 전대미문의 전염병 확산은 한 나라의 안보와 생존의 문제에 그치지 않고 인류 전체의 삶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도전이 되고 있습니다. 저는 유엔이 이러한 새로운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인본주의’의 정신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믿습니다.

지난 8월 방한 시 프란치스코 교황께서 강조하신 바와 같이, “공동선과 진보, 발전에 대한 이해는 단순히 경제적 개념이 아닌 사람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는 한 달 전 박근혜 대통령께서 제69차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인류의 평화와 발전을 해치는 도전에 맞서기 위해서는 유엔 창설의 기본정신인 ‘인간우선’과 ‘국제협력’의 정신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강조하신 것과 일맥상통합니다.

지난 9월 유엔 총회는 박 대통령께서 취임 이후 처음으로 참석하신 것으로서, 박 대통령의 유엔 총회 기조연설은 아래와 같은 두 가지 핵심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첫째, 유엔의 핵심가치인 평화, 인권 및 개발이 곧 대한민국의 비전이라는 메시지입니다.

대한민국의 역사는 바로 유엔의 역사입니다. 정부수립에서부터 한국전쟁과 이후 국가재건 과정에 이르기까지 유엔의 도움이 없었더라면 지금의 대한민국은 없었을 것입니다. 인류역사상 유일하게 산업화와 민주화를 동시에 달성한 나라, 대한민국은 유엔이 기른 자식입니다. 유엔의 보살핌과 꿈을 먹고 자란 나라이기에 대한민국은 유엔 창설자들이 꿈꾸었던 세상을 만들기 위해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해야만 하고 꼭 그렇게 할 것입니다.

둘째, 통일된 한반도는 유엔과 함께 이루어나가야 한다는 메시지입니다.

유엔은 한반도 분단의 역사의 산 증인이며, 한국전쟁을 비롯하여 오늘날 북한 핵 문제에 이르기까지 한반도에서 발생하는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국제적 노력의 한 가운데 있어 왔습니다. 또한 한반도 문제는 평화, 인권, 개발이라는 유엔의 주요 목표와 밀접히 연관되어 있습니다. 박 대통령께서 금번 유엔 연설을 통해 한반도 문제에 대한 유엔의 더 큰 역할에 기대를 표명하신 것은 이러한 배경에서 입니다. 한반도의 평화통일은 그 자체로 유엔의 설립목표와 가치를 구현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입니다.

내외귀빈 여러분,

오늘 행사에 참석하면서 지난 9월 유엔총회가 우리에게 더욱 특별한 행사로 다가오게 만들었던 세 개의 의미 있는 장면이 떠오릅니다.

첫째는 박근혜 대통령과 반기문 유엔사무총장, 김용 세계은행 총재가 함께 찍은 사진에 잡힌 장면입니다.

인류 공동의 과제를 다루는 유엔 기후정상회의 재정 세션에서 세 분의 한국인 지도자가 의장석이 마련된 단상에 나란히 자리를 함께 한 것입니다. 박 대통령께서 이 세션의 공동의장 자격으로 회의를 주재하셨고, 다른 두 분은 각각 유엔과 세계은행의 수장으로 연설을 하게 되어 있었기 때문입니다.

둘째는 박 대통령께서 한국 대통령으로서는 처음으로 참석하여 발언하신 유엔 안보리 정상회의 장면입니다.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주재하는 유엔 안보리 회의장에 박 대통령께서 주요국 정상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앉아 국제안보 현안을 논의한 것입니다. 1950년 6월 25일 우리의 운명을 결정하는 안보리 회의가 개최되었을 당시 회의장에는 우리의 명패조차 없었습니다. 64년이 지나 우리 대통령이 안보리 회의에서 당당히 선출된 이사국 자격으로 발언을 하신 것입니다.

세 번째는 윤병세 외교장관이 믹타 5개국 외교장관 회의를 주재하는 장면입니다.

믹타는 작년 9월 유엔 총회 계기에 우리의 주도로 멕시코, 인도네시아, 터키, 호주 등과 함께 창설된 중견국 모임입니다. 그리고 1년이 지나 우리 외교장관이 믹타 조정국 자격으로 이라크, 시리아 사태와 에볼라 확산 문제 등 주요 글로벌 현안에 대한 논의를 주도한 것입니다.

이 세 개의 장면은 국제사회에서 변화된 우리의 위상을 웅변적으로 보여 주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유엔에 가입한 지 불과 20여년 만에 우리나라는 지금 유엔의 3대 이사회인 안전보장이사회, 인권이사회, 경제사회이사회에서 이사국으로 적극 활동하고 있습니다. 한국인 유엔 사무총장까지 두었으니 우리 다자외교의 전성기를 구가하고 있다 해도 지나친 말은 아닐 것입니다.

그러나, 과연 우리가 국력에 걸맞은 다자외교를 수행할 만큼 충분한 역량을 갖추고 있는지, 강대국과의 양자 현안에 함몰되어 국제사회가 우리에게 기대하고 있는 역할을 소홀히 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그리고 다자외교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우리만의 소중한 외교자산을 그대로 묻혀 두고 있는 건 아닌지 의문이 듭니다.

저는 우리만의 독특한 정치 및 경제 발전 경험과 중견국으로서의 위상을 충분히 활용하여 다자영역에서 우리 외교의 부가가치를 더 많이 창출해 내어야 하며, 이를 위해 우리의 다자외교가 아래 세 가지 역할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첫째, 촉진자(facilitator) 역할입니다.

우리나라는 불과 반세기 만에 원조 받는 나라에서 원조 주는 나라로 탈바꿈한 유일한 나라입니다. 그런 우리를 국제사회는 신뢰와 기대의 눈으로 바라보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를 소중한 자산으로 활용하여야 합니다. 이에 따라 모든 글로벌 이슈에 관한 국제적 논의에서 선진국과 개도국 간 원활한 의사소통과 양측의 이익을 균형 있게 반영한 합리적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가교(bridge) 역할을 보다 적극적으로 수행하여야 합니다.

둘째, 후원자(supporter) 역할입니다.

우리는 경제 개발과 정치 민주화 과정에서 개도국이 겪어야 할 아픔과 어려움을 누구보다 잘 알고 동감하고 있습니다. 개도국이 선진국으로 발돋움하는데 주요 장애요인이 무엇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경험으로 터득하였습니다. 이러한 지식은 다른 어떤 나라도 쉽게 모방할 수 없는 우리만의 독특한 자산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모든 글로벌 이슈를 우리의 개발 경험 렌즈를 통해 들여다보고, 우리만이 부가가치를 창출해 낼 수 있는 역할을 모색하여, 지구촌의 공공선 증진에 적극 기여하여야 합니다. 특히, 개도국에 다가갈 때는 낮은 자세로 존중과 공감을 표하면서, 그들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홀로 설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합니다. 이러한 노력은 개도국의 마음을 얻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셋째, 선도자(initiator) 역할입니다.

우리는 개도국의 한계를 딛고 이제 막 선진국의 문턱에 도달하였기 때문에 지구촌의 문제와 해결 방안에 대해 균형된 시각을 가질 수 있는 더 좋은 위치에 있습니다. 과거와는 달리 우리가 하는 말과 행동 하나하나를 다른 나라들이 귀담아 듣고 주시하고 있다는 걸 외교현장에서 종종 느끼고 있는 이유도 그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신뢰를 기반으로 지구촌의 공공선 증진을 위해 새로운 의제를 발굴하고 국제규범을 형성하는 데 있어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해 나가야 합니다.

2012년 서울 핵 안보 정상회의나 2013년 서울 세계 사이버스페이스 총회 등은 규범형성 초기 단계에 있거나 아직 공론화되지 않은 글로벌 이슈에 대해 우리가 중견국으로서 가시적인 기여를 한 대표적 사례입니다. 2015년에 우리나라에서 개최되는 글로벌보건안보 구상(GHSA)과 세계교육포럼(WEF) 회의는 우리나라가 지속적으로 의제 설정자(agenda-setter)로서의 역할을 수행해 나가는데 의미 있는 발걸음이 될 것입니다.

우리 외교부는 금년 초에 이미 이러한 다자외교의 비전을 전 재외공관과 공유하였고, 현재 각 공관은 보다 적극적인 다자외교를 추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계획을 이행하고 있습니다. 비단 다자외교 공관뿐만 아니라, 양자외교를 담당하고 있는 공관도 보다 창의적이고 적극적인 다자외교를 펼칠 것을 주문하였습니다. 특히, 주재국이 중점을 두고 있는 다자외교 이슈나 주재국에 소재하고 있는 국제기구 또는 지역사무소와의 관계에서 우리가 기여할 수 있는 역할을 찾아 적극적인 활동을 벌이도록 지침을 주었습니다.

새로운 비전과 실천계획으로 무장한 우리 다자외교가 앞으로 그 가시성과 적실성을 더해 나갈 수 있도록 공관별 활동 성과를 정기적으로 점검해 나갈 계획입니다. 작지만 의미 있는 변화들이 축적되어 머지않은 장래에 큰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굳게 믿습니다.

내외귀빈 여러분,

반기문 사무총장께서 종종 언급하시는 것처럼 현재 국제사회는 “문제의 과잉공급과 해결방안의 결핍” 상황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어느 때보다도 강력한 다자적 협력과 파트너쉽이 절실히 요구됩니다.

우리나라는 위에 언급한 세 가지 비전, 즉, 촉진자, 후원자, 선도자 역할을 창의적이고 전략적인 자세로 수행함으로써 지구촌 현안을 풀어나가기 위한 국제적 노력에 적극 동참하고 기여해 나가고자 합니다.


금년 말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임기가 종료될 예정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ECOSOC 의장국, UNHCR 집행위 의장국, UNCITRAL 의장국, 장애인권리협약 당사국 회의 의장국, 인권이사회 이사국 그리고 평화구축위원회(PBC) 위원국으로서 인류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응분의 역할을 책임 있는 자세로 수행해 나갈 것입니다.

아울러 뜻을 같이 하는 나라들과 다층적인 관계망(multi-layered web)과 폭넓은 파트너십을 구축해 가면서, 유엔이 ‘지구촌 행복시대’를 건설해 나가는데 없어서는 안 될 동반자로서 힘들지만 보람찬 길을 함께 걸어 갈 것입니다. 그 길을 걸어 나가는데 여러분들이 강력한 지지자이자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로 계속 남아주실 것으로 확신합니다. 감사합니다.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