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국가상징
  2. 어린이·청소년
  3. RSS
  4. ENGLISH

외교부

1,2차관

제2차관, 한-OECD 새마을운동 공동연구 워크숍 기조연설(10.24)

부서명
작성자
작성일
2014-10-24
조회수
2803


Keynote Speech
by H.E. Cho Tae-yul
Vice Minister of Foreign Affairs
of the Republic of Korea
at the Workshop on Rural Development Policies:
Lessons from Korea’s Saemaul Undong
and Other Country Experiences



24 October, 2014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Director Mario Pezzini,
Ambassador Lee Sihyung,
Prof. Kim Eun Mee,
Distinguished Participants,
Ladies and Gentlemen,

First of all, I would like to offer my warm welcome to all of you, who have been working closely with us for global poverty reduction in general and rural development in particular. I am proud that Korea, once one of the poorest countries in the world, has now become a full-fledged member of the OECD and combines efforts with the OECD to contribute to the rural development in developing countries. It is also with a sense of personal achievement that I address this important gathering as I played my due part in pursuing this joint project from the very beginning.

I would like to express my sincere gratitude to Mr. Mario Pezzini, Dr. Carl Dahlman and the OECD team for having so willingly provided research resources for this meaningful joint project on Saemaul Undong.

Ladies and Gentlemen,

When it comes to the global efforts to eradicate poverty, agricultural and rural development have always been a missing link. Since the 1980s, the interest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and its aid volume for, agriculture in developing countries have continued to decline. Furthermore, in addressing the issue of poverty, the MDGs did not draw a particular distinction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home to 75 percent of the world’s poorest.

A lack of interest in rural development has resulted in deteriorating conditions in the rural areas and a worsening food situ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In 1999, the volume of emergency food aid to developing countries exceeded the amount of agriculture-related ODA, an ironical phenomenon. And regrettably, this trend continued and even intensified thereafter.

Fortunately, however, since the 2000s, there has been growing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agricultural and rural development. Such recognition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clearly reflected in the adoption of the 2003 Maputo Declaration on Agriculture and Food Security which set out the commitment of African countries to allocate 10 percent of their annual budget on agriculture, the holding of the 2006 African Fertilizer Summit, and the launch of the l'Aquila Food Security Initiative in 2009 which aimed to increase agricultural productivity rather than to provide a posteriori food assistance.

Last year, the founder of Microsoft, Bill Gates emphasized that increased agricultural productivity is key to the eradication of poverty around the world.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the Proposal of the Open Working Group for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which was submitted to the UN General Assembly last September, included the promotion of sustainable agriculture as the second goal, along with food security and improved nutrition.

Rural development is closely interlinked not only with food security and nutrition, but also with the cross-cutting issues for poverty reduction such as gender equality, education, and maternal and child health. An analysis by the World Bank concluded that GDP growth generated in agriculture is at least twice as effective in reducing poverty as growth generated by other sectors. As such, there is growing consensus that rural developmen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domains that should be highlighted in the post-2015 development agenda where we place an emphasis on inclusiveness.

Indeed, revisiting Saemaul Undong is in line with such an increased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agricultural and rural development. The reason why most of the developing countries wishing to share Korea’s development experience have shown particular interest in the success of Saemaul Undong is simply because they recognize that rural development is a critical link to poverty reduction.

But the truth is that despite its critical role in Korea’s poverty reduction and ever-strengthening enthusiasm among developing countries to share the experience and lessons learned, the value of Saemaul Undong has not been fully recognized.

In fact, Saemaul Undong was considered as a part of Korea’s social governance, rather than a mere rural development program. Therefore, it has been assessed mainly from a socio-political perspective, not as an effective development model from the perspective of poverty reduction. Against this backdrop, the partnership between MOFA and the OECD is all the more meaningful as our joint efforts to review Saemaul Undong and to identify policy implications and lessons learned will be of great use for other developing countries in establishing their development strategies.

Ladies and Gentlemen,

Saemaul Undong played a tremendous part in poverty reduction and rural development in Korea in the 1970s. One of its unique characteristics as a comprehensive rural development program is that Saemaul Undong was implemented under the strong government and system-wide support that encompassed the entire spectrum of development policies, with a view to improving the overall living conditions of the rural populations, rather than just aiming to promote agriculture.

The achievements of Sameul Undong include the expansion of village infrastructure, improvements in overall living conditions in rural areas, and a significant rise in rural household incomes. The increase in rural household incomes was particularly remarkable. Annual rural household incomes increased with an average growth of 21 percent, from 825 dollars in 1970 to 4,602 dollars in 1979.

This remarkable success of Saemaul Undong is attributable to various factors such as land reform, education, a sense of ownership and a long-standing tradition of cooperation on the part of villagers, a strong determination on the part of government, and effective institutions. In addition, the 1970s was the period when the basis for industrialization was already laid out, making it possible to mobilize resources for modernizing rural areas.

However, in my opinion, one of the most decisive factors of its success was ‘motivation’. The central government signed contracts directly with village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infrastructure such as bridges and reservoirs necessary for the local community. Villagers provided the labor force for this construction and, doing so, earned income. Some part of this income was set aside as a form of village funds and these funds were used for other agricultural projects such as beekeeping and farming, which yielded further profits. Earning wages,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s, and an increase in funds for agricultural projects created a virtuous circle.

The expectation for an increased income as well as improved living conditions motivated the rural population to take ownership and assume an active role in rural development projects. Had Saemaul Undong only been driven and compelled by the government, it would not have been sustained for more than a decade and achieved the remarkable results. Witnessing a ‘can-do’ spirit translate into tangible achievements, people were motivated to become ‘agents of change’ and actively take part in improving their life. I firmly believe that this mental aspect of Saemaul Undong deserves greater attention.

Ladies and Gentlemen,

Saemaul Undong has already been applied in a number of countries with or without Korea’s support, and produced significant results. Countries have adapted Saemaul Undong to reflect the particular circumstances of their own as seen in the cases of Vietnam and the Philippines.

Such creative application of Saemaul Undong in various forms in many countries should come as no surprise. Due to the flexibility inherent in Saemaul Undong, each village had freedom to make a decision on which projects to work on and where to give priority and then implement the chosen projects in a creative manner. The institutional mechanisms were there to initiate and support the local initiatives, but not to impose them in every single village.

These elements of local innovation and adaptation of Saemaul Undong should also be highlighted. In responding to the request from our partner countries for sharing our rural development experiences, we have no intention to present a one-size-fits-all package of specific policies or projects. Nor would it be possible in reality. No development theory or experience can be applied blindly without any contextual adaptation.

We are well aware of the importance of contextual adaptations in the pursuit of the MOFA-OECD joint research project. Our objectives in pursuing this project is to produce a policy toolkit that we can share with our development partners, based on an analysis of Korea’s rural development strategies in the 1970s and a thorough comparison of Saemaul Undong with rural development policies of other countries. This policy toolkit should comprise key principles commonly found in both Saemaul Undong and rural development policies of other countries as well as various development modules applicable in different contexts and circumstances.

For instance, rural development strategies and approaches of the countries which have strong system of central government should differ from those which have not. Such differences should be duly reflected in the policy modules. In countries with weak governance, the modules should place an emphasis on building the capacity of local people so that they can implement projects on their own, while emphasizing the role of villagers as well as local governments as opposed to central governments. They should also offer a mechanism in which villagers can share success stories and best practices with each other and provide ways and means to expand the village-centered activities to a nation-wide movement.

Distinguished Guests,

Professor Jeffrey Sachs once reflected, “The key to ending extreme poverty is to enable the poorest of the poor to get their foot on the ladder of development."

Saemaul Undong is a clear case of this, where the Korean rural poor habituated to chronic poverty were able to get their foot on the ladder of development and escape from the poverty trap. I look forward to the MOFA-OECD research project, through an objective and systematic analysis, presenting ways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world’s rural poor and achieving the post-2015 development goals.

The workshop today marks the mid-point of our two-year journey of the joint research project which began in January of this year. It is my sincere hope that this workshop will provide us with a valuable opportunity to take stock of the progress we have achieved so far and provide the way forward in our unfinished journey.

Thank you very much. /End/ 

 -------------------------------------------------

한-OECD 새마을운동 공동연구 워크숍 기조연설



Mario Pezzini OECD 개발센터장님,
이시형 주OECD 대사님,
김은미 이화여대 국제대학원장님,
그리고 내외귀빈, 신사숙녀 여러분,

국제사회의 빈곤 감소와 농촌개발을 위해 그동안 함께 일해오신 여러분들을 환영합니다. 한때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 중 하나였던 한국이 이제는 어엿한 OECD 회원국이 되어 OECD와 함께 개도국 농촌개발에 함께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게 되었다는 사실을 가슴 뿌듯하게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의미있는 공동작업을 출범시키는데 나름대로의 역할을 할 수 있었던 것을 개인적인 보람으로 여깁니다.

이처럼 의미 있는 공동작업에 흔쾌히 협조해주신 Mario Pezzini OECD 개발센터장과 Carl Dahlman 연구부장을 비롯한 OECD 연구진에게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지구촌 빈곤퇴치에 관한 한 농업과 농촌개발은 이른바 ‘잃어버린 연결고리’(missing link)였었습니다. 1980년대부터 개도국 농업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과 원조규모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MDGs 역시 전 세계 극빈층의 약 75%가 거주하는 농촌의 빈곤문제를 도시와 분리하여 다루지 않았습니다.

농촌개발에 대한 낮은 관심은 개도국 농촌과 식량상황의 악화로 이어졌습니다. 1999년에는 개도국에 대한 긴급 식량지원규모가 농업 ODA 규모를 초과하는 역설적인 현상이 발생했고 아쉽게도 그 추세는 확대되었습니다.

다행스럽게도 2000년 이후 농업과 농촌 개발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었습니다. 아프리카 정부예산의 10%를 농업에 할당키로 한 2003년 마푸토선언이나 2006년 아프리카 비료정상회의, 사후적 식량원조 보다는 농업증산을 돕기 위한 2009년 라퀼라 식량안보선언은 바로 그러한 움직임들입니다.

지난해에는 Microsoft의 창시자인 Bill Gates가 농업생산성 향상이 지구촌 빈곤 퇴치의 핵심임을 강조하였고, 지난 9월 유엔총회에 제출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공개작업반 보고서의 두 번째 목표에 지속가능한 농업(sustainable agriculture)이 식량안보, 영양상태 개선 등과 함께 포함되기도 했습니다.

농촌개발은 식량안보와 기초적 영양공급과 같은 1차적 효과뿐만 아니라 성평등 제고, 교육보급, 모자보건과 같은 보편적 빈곤퇴치목표 달성과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World Bank도 농업분야의 성장이 다른 분야보다 빈곤퇴치에 기여하는 효과가 두 배 이상 높다고 보았습니다. 포용적 성장을 지향하는 post-2015체제가 주목해야할 분야가 바로 농촌개발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 것입니다.

새마을운동에 대한 재평가는 바로 이러한 인식의 확산과 그 궤를 같이 하는 것입니다. 한국의 개발경험을 전수받고자 하는 대부분의 개도국들이 특히 새마을운동의 성공에 지대한 관심을 보이는 것도 농촌개발이 빈곤퇴치에 있어 ‘결정적 연결고리‘(critical link)임을 인식하였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한국의 빈곤퇴치에 결정적 기여를 하였고, 오늘날 개도국들로부터 가장 수요가 높은 개발경험임에도 불구하고, 새마을운동은 그 동안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했습니다.

새마을운동은 단순한 농촌개발 프로그램이 아닌 사회적 거버넌스의 일부였기에 정치사회적 평가가 주를 이루었을 뿐, 빈곤퇴치의 관점에서 새마을운동이 얼마나 유용한 모델인지에 대한 평가는 극히 드물었습니다. 우리가 OECD와 함께 새마을운동을 재조명하고 여타 개도국들의 개발전략에 참고할 정책적 함의와 교훈을 찾아보는 것은 이러한 맥락에서 의미가 깊다고 생각합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새마을운동은 1970년대 한국 농촌지역의 빈곤감소와 발전에 획기적으로 기여했습니다. 통합적 농촌개발 프로그램인 새마을운동은 강력한 정부지원 하에, 농업뿐 아니라 농민의 삶을 전반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다른 분야의 개발정책과 연계되어 수행된 것이 특징입니다.

새마을운동의 주요 성과로는 농촌지역 인프라 확충과 주민 생활환경 개선, 그리고 소득증대를 꼽을 수 있습니다. 특히 농민소득의 증대는 놀라운 것이었습니다. 1970년 825달러에 불과하던 연평균 농가소득이 1979년에는 4,602달러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9년간 매년 21%씩 증가한 것입니다.

이토록 놀라운 새마을운동의 성공 배경에는 토지개혁, 교육, 주민들의 주인의식과 협동의 전통, 정부의 강력한 의지, 효율적 행정이라는 여러 요인이 있었습니다. 더구나 1970년대는 산업화의 기초가 닦여 있어 농촌 근대화에 필요한 재원공급이 가능했던 시기이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새마을운동의 성공을 가능하게 한 결정적 요인은 바로 ‘동기부여’였습니다. 중앙정부는 마을과 직접 계약을 체결하여 다리, 저수지와 같이 그 지역에 필요한 공사를 했고, 주민들은 공사에 참여하여 노동을 제공하고, 임금을 받았습니다. 또한, 정부는 임금의 일부를 예치해 양봉, 양식과 같은 별도의 영농사업을 하도록 지원했습니다. 이처럼 농민들은 공사에 참여함으로써 임금을 늘리고, 생업여건도 개선시키는가 하면, 영농자금도 늘려갈 수 있었습니다.

소득증대에 대한 기대심리는 농민의 참여유도와 주인의식 고양에 결정적 역할을 했습니다. 정부의 강압과 동원에 의한 것이었다면 새마을운동이 10년이나 지속되거나, 경이적인 성장도 이루기 어려웠을 것입니다. ‘하면 된다’는 믿음이 현실로 이뤄졌기 때문에 주민들이 동기부여가 되어 ‘변화를 일으키는 주체’로서 활약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새마을운동의 이런 정신적 측면은 반드시 재조명받아야할 부분이라 생각합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새마을운동은 한국 정부의 지원 여부와 무관하게 이미 여러 나라에서 시행되어 의미 있는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베트남과 필리핀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새마을운동을 들여온 나라들은 각자의 현지 사정에 맞게 이를 변형하였습니다.

여러 나라에서 새마을운동이 이처럼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고 있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새마을운동에 내포된 유연성으로 인해 각 마을이 각자의 우선순위와 사업을 스스로 결정하고 창의적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정부의 역할은 지역 이니셔티브가 착수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있었지, 모든 마을의 새마을운동을 독단적으로 이끌어가는 데 있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새마을운동의 혁신성과 유연성 역시 제대로 조명되어야 합니다. 한국의 농촌개발경험을 공유해달라는 다른 나라들의 요청에 대해, 우리는 특정 정책과 활동을 단일 패키지로 만들어 전수할 의도도 없으며 가능하지도 않은 일입니다. 그 어떠한 개발이론이나 경험도 각국의 환경에 따른 각색 없이 맹목적으로 적용될 수 없습니다.

OECD와의 새마을운동 공동연구도 이를 염두에 둔 것입니다. 1970년대 한국의 농촌개발전략을 분석하고, 다른 개도국의 농촌개발정책과 새마을운동을 비교하여, 최종적으로는 한국이 개발협력 파트너들과 공유할 수 있는 정책적 도구의 세트(toolkit)를 만드는 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이 정책 toolkit은 새마을운동과 다른 나라의 농촌개발정책에서 공통적으로 찾아볼 수 있는 핵심 원칙과 다양한 개도국의 상황과 환경에 맞춰 유연하게 적용될 수 있는 여러 모듈로 구성되어야 할 것입니다.

예를 들어, 강력한 중앙정부 시스템을 갖춘 나라와 그렇지 못한 나라의 농촌개발 전략과 프로그램 수행방식이 같을 수는 없습니다. 이와 같은 차이점이 정책모듈에 반영되어야 합니다. 거버넌스가 취약한 나라의 경우에는 자체적으로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주민들의 역량을 발굴하고 강화시키는 한편, 중앙정부 대신 지방정부와 마을주민의 역할을 강조하는 형태의 정책 모델이 유용할 것입니다. 다른 마을의 주민들이 서로의 성공사례와 모범사례를 배워나갈 수 있는 메커니즘을 체계화해서 마을 중심의 활동을 국가 단위로 확산해나갈 수 있는 방안도 마련되어야 할 것입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Jeffrey Sachs 교수는 “절대빈곤을 종식시키는 궁극적인 방법은 절대빈곤층이 그들의 발을 들어 개발이라는 사다리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능력을 길러주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새마을운동은 분명 가난에 익숙했던 한국 농민으로 하여금 빈곤의 덫에서 빠져나오기 위해 성장의 사다리를 쥐게 했던 사례입니다. 한-OECD 새마을 공동연구가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전 세계 빈곤 농민들의 삶의 질 향상과 post-2015 개발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해 낼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

오늘 워크숍은 금년 1월부터 시작되어 2년간 진행되는 새마을운동 공동연구라는 여정의 중간 지점이 됩니다. 지금까지의 성과를 돌아보고 앞으로의 방향을 설정하는 소중한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